TOPIK60_Day9 : 그래프 문제 정복!
DAY 9: 쓰기 Q53 그래프 읽기 연습
TOPIK 2/3 (Mid Level)
안녕하세요! TOPIK 60일 코스의 아홉 번째 날입니다.
Hello! It's the ninth day of the TOPIK 60-Day Course.
오늘은 TOPIK 쓰기 53번 문제의 기본 중 기본, 그래프를 읽는 연습을 해볼 거예요.
Today, we will practice reading graphs, which is the absolute basic skill for TOPIK Writing Question 53.
그래프에 담긴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쓰기 답안 작성의 첫걸음이니까, 집중해서 함께 연습해 봅시다!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in a graph is the first step in writing your answer, so let's focus and practice together!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콘텐츠 제작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Clicking on ads greatly helps in content creation.
🚀 TOPIK 쓰기 Q53 이란?
What is TOPIK Writing Q53?
TOPIK 쓰기 53번 문제는 주어진 표나 그래프의 내용을 분석해서 설명하는 문제입니다. 200~300자로 작성해야 해요.
TOPIK Writing Question 53 asks you to analyze and explain the content of given tables or graphs. You need to write between 200 and 300 characters.
그래프를 정확하게 읽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장을 만드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The ability to read graphs accurately and create Korean sentences based on that information is important.
💡 오늘의 목표 (Today's Goal)
그래프의 제목 (jemok), 항목 (hangmok), 수치 (suchi)를 정확하게 읽는 연습하기
Practice reading the graph's title, items, and values accurately.
📊 그래프 읽는 법 (How to read graphs)
그래프에는 중요한 정보가 담겨 있어요. 이 세 가지를 먼저 찾아봅시다.
Graphs contain important information. Let's find these three things first.
1. 제목 읽기 (Reading the Title) (5분)
그래프의 가장 위에 있는 제목은 무엇에 대한 그래프인지 알려줘요.
The title at the top of the graph tells you what the graph is about.
주제 (juje): Topic
현황 (hyeonhwang): Current Status
변화 (byeonhwa): Change
조사 결과 (josa gyeolgwa): Survey Result
예시: 한국인의 여가 활동 현황 이라는 제목은 한국 사람들이 여가 시간에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그래프임을 알려줍니다.
Example: The title '한국인의 여가 활동 현황' (Current Status of Koreans' Leisure Activities) tells you it's a graph about what Koreans do in their free time.
2. 항목 읽기 (Reading the Items) (5분)
그래프에서 비교하거나 보여주는 대상들이 항목이에요. 보통 가로축이나 세로축에 있습니다.
The things being compared or shown in the graph are the items. They are usually on the horizontal or vertical axis.
대상 (daesang): Subject, Target
항목 (hangmok): Item, Category
분야 (bun-ya): Field, Area
연령별 (yeonryeongbyeol): By age group
성별 (seongbyeol): By gender
예시: 여가 활동 그래프에서 'TV 시청', '운동', '취미 활동' 등이 항목이 될 수 있어요.
Example: In a leisure activity graph, 'watching TV', 'exercising', 'hobby activities', etc., can be items.
예시: 연령별 스마트폰 사용 시간 그래프에서는 '10대', '20대', '30대 이상' 등이 항목일 수 있습니다.
Example: In a graph about smartphone usage time by age group, 'teens', '20s', '30s or older', etc., can be items.
3. 수치 읽기 (Reading the Values) (5분)
항목별로 나타나는 숫자나 비율이 수치예요. 보통 세로축이나 그래프 막대/선 위에 표시됩니다.
The numbers or percentages shown for each item are the values. They are usually displayed on the vertical axis or above/on the graph bars/lines.
수치 (suchi): Value, Figure
비율 (bi-yul): Percentage, Rate
명 (myeong): Counter for people (e.g., 10명 - 10 people)
% (퍼센트 - peosenteu): Percent
년 (nyeon): Year (e.g., 2020년 - Year 2020)
예시: 'TV 시청' 항목의 수치가 30%라면, 한국인의 30%가 여가 활동으로 TV를 본다는 뜻이에요.
Example: If the value for 'watching TV' is 30%, it means 30% of Koreans watch TV for leisure.
예시: 2020년 수치가 500명이라면, 2020년에 500명이었다는 뜻입니다.
Example: If the value for 2020 is 500 people, it means there were 500 people in the year 2020.
✨ 팁 (Tip)
제목, 항목, 수치를 눈으로만 보지 말고, 소리 내어 읽어보세요 (sori naeeo ilgeoboseyo)! 한국어 단어와 숫자에 익숙해지는 좋은 방법이에요.
Don't just look at the title, items, and values with your eyes, read them out loud! It's a good way to become familiar with Korean words and numbers.
🗣️ 대화로 배우기 (Learning with Dialogue) (10분)
마이크와 그레이스의 대화를 보면서 그래프 읽는 연습을 해봅시다.
Let's practice reading graphs by looking at Mike and Grace's conversation.
마이크, 토픽 쓰기 53번 문제 그래프 보는 거 연습해야 하는데 같이 볼래?
그래! 마침 그래프 읽는 게 어렵다고 생각했어.
이 그래프 좀 봐. 제목이 뭐야?
음... '스마트폰 사용 시간 변화'네.
맞아. 그럼 어떤 항목들이 있어?
'2018년', '2020년', '2022년' 이렇게 년도가 항목이네.
응, 시간을 나타내는 항목들이지. 그럼 2020년의 수치는 얼마야?
그래프를 보니까 '2시간 30분'이라고 되어 있어.
정확해! 이렇게 제목, 항목, 수치를 먼저 파악하는 게 중요해.
응, 혼자 볼 때보다 훨씬 이해하기 쉬운데?
📝 반복과 연습 (Repetition and Practice) (5분)
오늘 배운 핵심 단어와 표현들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소리 내어 읽어봅시다.
Let's review the key words and expressions we learned today and read them out loud.
이 단어들을 그래프를 보면서 적용하는 연습을 계속 해보세요.
Keep practicing applying these words while looking at graphs.
❓ 미니 체크 (Mini Check) (5분)
오늘 내용을 잘 이해했는지 간단하게 확인해 봅시다.
Let's quickly check if you understood today's content well.
1. 그래프에서 '무엇에 대한 내용인지' 알려주는 것은 무엇인가요? ()
2. 그래프에서 비교하는 대상들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
3. 그래프에서 숫자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
단어 힌트: 항목, 제목, 수치
정답:
1. 제목
2. 항목
3. 수치
✍️ 실전 문제 (Past Question Example) (10분)
실제 TOPIK 쓰기 53번 문제의 일부를 보면서 오늘 배운 내용을 적용해 봅시다.
Let's apply what we learned today by looking at part of a real TOPIK Writing Question 53.
다음 그래프는 '환경 보호에 대한 시민 의식 변화'를 조사한 결과이다. 그래프를 읽고 ( )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그래프 제목: 환경 보호에 대한 시민 의식 변화
항목: 2010년, 2020년, 2030년(예상)
수치: 2010년(40%), 2020년(65%), 2030년(80%)
환경 보호에 대한 시민 의식이 점점 ( ) 있다.
① 높아지고
② 낮아지고
③ 변화가 없고
④ 유지되고
정답: ① 높아지고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콘텐츠 제작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Clicking on ads greatly helps in content creation.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