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LY 3rd_Level Up Your Korean: Insights from Today's Headlines : Daejeon city _value-for-money travel destinations
오늘의 한국어 뉴스 TOP 5
Today's Korean News TOP 5
대전, 올여름 아시아 '가성비 여행지' 9위 선정
글로벌 여행 플랫폼 아고다가 선정한 올여름 아시아 '가성비 여행지' 순위에서 대전이 9위에 올랐습니다.6월부터 8월까지의 여름 시즌 동안 대전의 1박 평균 숙박 요금은 약 12만 6천 원으로 분석되었습니다아고다는 대전이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유잼 도시'(재미 있는 도시)로 거듭나면서 젊고 역동적인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cite: 1]. [cite_start]서울과의 뛰어난 접근성과 편리한 교통 인프라도 가성비를 중시하는 여행객들에게 인기를 끄는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특히 성심당의 빵지순례와 한화 이글스 홈경기 관람은 대전 여행의 필수 코스로 자리 잡았습니다.
Daejeon ranked 9th among Asia's 'value-for-money travel destinations' selected by global travel platform Agoda for this summer. During the summer season from June to August, the average nightly accommodation cost in Daejeon was analyzed to be approximately 126,000 Korean Won. Agoda evaluated that Daejeon is recently transforming into a 'fun city' (유잼 도시), especially among the MZ generation, gaining attention as a young and dynamic travel destinationExcellent accessibility from Seoul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were also cited as factors attracting travelers who prioritize cost-effectiveness. In particular, Sungsimdang's bakery tour and watching a Hanwha Eagles home game have become essential courses for Daejeon travel.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가성비 (價性比) [ga-seong-bi]
가격 대비 성능 또는 만족도가 좋음. (가격 + 성능 + 비)의 줄임말.
Good performance or satisfaction relative to price; cost-effectiveness. A compound of (price + performance + ratio).
예시: 이 스마트폰은 가성비가 매우 뛰어나다. (This smartphone has excellent cost-effectiveness.)
거듭나다 [geo-deum-na-da]
새롭게 다시 태어나거나 변화하다.
To be born again or undergo a transformation; to be reborn.
예시: 이 도시는 문화 예술의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This city is being reborn as a city of culture and arts.)
접근성 (接近性) [jeop-geun-seong]
어떤 장소나 정보 등에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정도.
The degree to which a place, information, etc., can be easily approached or accessed; accessibility.
예시: 이 식당은 역에서 가까워 접근성이 좋다. (This restaurant has good accessibility as it's close to the station.)
인프라 (infra) [in-peu-ra]
어떤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유지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기반 시설.
Basic facilities or systems necessary to maintain and operate a certain system or service; infrastructure.
예시: 도시 개발을 위해서는 교통 인프라 확충이 필수적이다. (Expanding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s essential for urban development.)
문법 포인트 (Grammar Point)
-으로/로 거듭나다 [-eu-ro/ro geo-deum-na-da]
새로운 모습이나 상태로 변화되거나 다시 태어남을 나타낸다.
Indicates that something is transformed or reborn into a new appearance or state. It means "to be reborn as," "to transform into."
예시: 이 회사는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났다. (This company was reborn as a global enterprise through continuous innovation.)
-(으)ㄹ 코스 [-(eu)l ko-seu]
어떤 목적을 위해 거쳐야 할 경로.
A route that must be taken for a certain purpose; a course.
예시: 이곳은 가족 여행의 필수 코스이다. (This place is a must-visit course for family trips.)
송강, 전역 후 복귀작 '포핸즈'로 피아니스트 변신 예고
배우 송강이 전역 후 복귀작으로 드라마 '포핸즈'를 선택하며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포핸즈’는 네 손 연주를 의미하는 피아노 용어로, 두 사람이 한 대의 피아노를 함께 연주하는 기법을 뜻합니다. 이 드라마는 예술고등학교를 배경으로 청춘들의 우정, 사랑, 경쟁, 성장 이야기를 담습니다. 특히 학창 시절과 성인이 된 후 피아니스트로 성장하는 주인공들의 폭넓은 이야기를 다룰 예정이어서 송강 배우의 다양한 연기 변신이 기대됩니다.
Actor Song Kang is garnering anticipation with his post-military comeback drama, 'Four Hands.' 'Four Hands' is a piano term meaning a four-hand performance, where two people play one piano together. This drama is set in an arts high school and tells the story of youth's friendship, love, competition, and growth. It is particularly expected to cover a wide range of stories of the protagonists, from their school days to their growth into pianists after becoming adults, raising expectations for Song Kang's diverse acting transformation.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전역 (轉役) [jeon-yeok]
군대 복무를 마치고 본래의 신분으로 돌아옴.
Returning to one's original status after completing military service.
예시: 그는 전역 후 곧바로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 (He started his acting career immediately after his military discharge.)
복귀작 (復歸作) [bok-gwi-jak]
활동을 쉬다가 다시 복귀하여 처음으로 하는 작품.
The first work after returning from a break.
예시: 이번 드라마는 그의 복귀작이라 팬들의 기대가 크다. (This drama is his comeback project, so fans have high expectations.)
눈여겨보다 [nun-yeo-gyeo-bo-da]
어떤 것을 주의 깊게 살피거나 중요하게 생각하다.
To watch carefully or consider something important.
예시: 그는 다음 프로젝트를 위해 신인 배우들을 눈여겨보고 있다. (He is keeping an eye on rookie actors for his next project.)
폭넓다 [pok-neolp-da]
범위나 정도가 넓다.
Wide or broad in scope or extent.
예시: 이 책은 폭넓은 독자층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This book is popular with a wide range of readers.)
문법 포인트 (Grammar Point)
-뿐 아니라 [-ppun a-ni-ra]
'~뿐만 아니라'의 줄임말로, 앞의 내용에 더하여 뒤의 내용도 해당됨을 나타낸다.
A shortened form of '-ppunman a-ni-ra', indicating that in addition to the preceding content, the following content also applies. It means "not only... but also."
예시: 그는 노래를 잘할 뿐 아니라 춤도 잘 춘다. (He not only sings well but also dances well.)
-(으)ㄹ 예정으로 [-(eu)l ye-jeong-eu-ro]
어떤 계획이나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할 계획으로'와 유사하다.
Used to indicate a plan or intention. Similar to 'to be planned to do something'.
예시: 다음 주에 제주도로 여행 갈 예정으로 비행기 표를 예매했다. (I booked a flight, planning to travel to Jeju Island next week.)
한국 인구, 100년 뒤 753만 명까지 감소 전망
현재의 인구 감소 추세가 지속될 경우, 100년 후 대한민국 인구가 현재의 15% 수준인 753만 명까지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이는 서울시 인구에도 못 미치는 수치입니다. 특히 2085년에는 생산연령 인구 100명이 최대 노인 165명까지 부양해야 할 것으로 예측되어, 심각한 사회 경제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If the current population decline continues, the population of South Korea could decrease to 7.53 million people, 15% of its current level, in 100 years. This figure is even less than the current population of Seoul. Particularly, by 2085, it is predicted that 100 working-age people will have to support up to 165 elderly people, which could lead to severe socio-economic problems.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추세 (趨勢) [chu-se]
어떤 현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
A tendency for a phenomenon to progress in a certain direction.
예시: 최근 경제는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The economy has shown a growth trend recently.)
전망 (展望) [jeon-mang]
앞으로의 사태나 상황을 예측하여 내다봄.
A prediction or outlook on future events or situations.
예시: 전문가들은 내년 경제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Experts released a positive outlook on next year's economy.)
생산연령 인구 (生産年齡人口) [saeng-san-nyeon-nyeong in-gu]
경제 활동이 가능한 나이의 인구 (주로 15세~64세).
The population of working age (primarily 15-64 years old) capable of economic activity.
예시: 생산연령 인구 감소는 국가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The decrease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significantly impacts national competitiveness.)
부양하다 (扶養-) [bu-yang-ha-da]
생활 능력이 없는 사람을 돌보고 도와주다.
To support and care for someone who is unable to support themselves.
예시: 자녀를 부양하는 것은 부모의 책임이다. (It is the parents'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ir children.)
문법 포인트 (Grammar Point)
-(으)ㄹ 경우 [-(eu)l gyeong-u]
어떤 상황이나 조건이 발생할 때를 가정하여 말할 때 사용한다.
Used to assume a certain situation or condition will occur. It means "in case of," "if."
예시: 비가 올 경우 소풍은 다음 주로 연기될 것이다. (In case it rains, the picnic will be postponed to next week.)
-에 못 미치다 [-e mot mi-chi-da]
어떤 기준이나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다.
To fall short of a certain standard or level.
예시: 이번 시험 성적은 기대치에 못 미쳤다. (My test scores fell short of expectations this time.)
이 대통령, 취임 후 첫 기자회견... 대국민 소통 의지 강조
이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기자회견을 가집니다. 역대 대통령들이 보통 취임 100일 즈음에 첫 기자회견을 열었던 것과 달리, 이 대통령은 대국민 소통 의지를 강조하며 이른 시기에 회견을 갖게 되었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습니다. 이번 기자회견은 유튜브로 생중계되어 국민 누구나 시청할 수 있습니다.
President Lee is holding his first press conference since taking office. Unlike previous presidents who typically held their first press conference around 100 days after inauguration, the Presidential Office explained that President Lee decided to hold the conference earlier to emphasize his commitment to public communication. This press conference will be live-streamed on YouTube, accessible to all citizens.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취임 (就任) [chwi-im]
어떤 직위나 직무를 처음으로 맡음.
Taking on a position or duty for the first time; inauguration.
예시: 새 시장의 취임식이 성대하게 열렸다. (The new mayor's inauguration ceremony was held grandly.)
기자회견 (記者會見) [gi-ja-hoe-gyeon]
언론에 어떤 사실이나 입장을 알리기 위해 기자들을 모아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질문에 답하는 자리.
A formal event where information or a stance is announced to the press, and questions are answered.
예시: 장관은 새로운 정책에 대해 기자회견을 가졌다. (The minister held a press conference about the new policy.)
대국민 (對國民) [dae-gung-min]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Directed towards the entire nation or public.
예시: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다. (The president announced a message to the nation.)
생중계 (生中繼) [saeng-jung-gye]
방송 매체를 통해 현장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것.
Broadcasting live events in real-time through media.
예시: 올림픽 경기는 전 세계에 생중계되었다. (The Olympic games were broadcast live worldwide.)
문법 포인트 (Grammar Point)
-(으)ㄹ 즈음 [-(eu)l jeu-eum]
어떤 시간이나 시기에 가까워졌을 때 사용한다.
Used to indicate a time or period is approaching. It means "around the time when."
예시: 점심 즈음에 친구를 만나기로 했다. (I decided to meet a friend around lunchtime.)
-에 따라 [-e tta-ra]
어떤 기준이나 원인에 근거하여 달라지거나 그렇게 됨을 나타낸다.
Indicates that something changes or happens based on a certain standard or reason. It means "according to," "depending on."
예시: 날씨에 따라 옷차림이 달라진다. (Dressing changes according to the weather.)
대전, '나노코리아 2025'에서 반도체-바이오 융합 기술 선보인다
대전시가 '나노코리아 2025'에서 반도체-바이오 융합 기술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는 나노 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와 결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사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행사를 통해 대전시는 첨단 과학 기술 도시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것입니다.
Daejeon City will showcase semiconductor-bio convergence technology at 'Nano Korea 2025'. This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example of nano technology combining with various industrial fields to create new value. Through this event, Daejeon City will further solidify its status as a high-tech science city.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융합 (融合) [yung-hap]
다른 종류의 것이 녹아서 하나로 합쳐지거나 그렇게 되게 함.
The act of different kinds of things melting together and combining into one, or making them do so; convergence.
예시: 정보통신 기술과 의료 기술의 융합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고 있다.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edical technology is creating new industries.)
선보이다 [seon-bo-i-da]
새로운 것이나 뛰어난 것을 처음으로 여러 사람에게 보이거나 내놓다.
To present or display something new or excellent to many people for the first time.
예시: 이 회사는 다음 주 박람회에서 신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This company plans to unveil its new product at next week's expo.)
위상 (位相) [wi-sang]
어떤 사물이 다른 사물과의 관계 속에서 가지는 위치나 상태.
The position or status that an object holds in relation to other objects; standing.
예시: 그 가수는 이번 앨범으로 세계적인 위상을 확립했다. (The singer established a global standing with this album.)
공고히 하다 (鞏固히-) [gong-go-hi ha-da]
바탕이나 조직, 관계 등을 굳고 튼튼하게 하다.
To strengthen or solidify a foundation, organization, or relationship.
예시: 이번 협약을 통해 양국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 (Through this agre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could be further solidified.)
오늘의 한국어 한마디 (Korean Phrase of the Day)
마이크, 너 한국어 실력이 엄청 늘었네! 비결이 뭐야?
음... 매일 "오늘의 한국어 뉴스"를 읽고, 핵심 어휘랑 문법을 꾸준히 공부했어!
와, 정말 꾸준함이 답이구나! 나도 이제부터 열심히 해야겠다.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비결 (秘訣) [bi-gyeol]
숨겨진 중요한 방법이나 요령.
A hidden important method or knack; a secret.
예시: 성공의 비결은 노력과 열정이다. (The secret to success is effort and passion.)
꾸준하다 [kku-jun-ha-da]
어떤 일이나 행동을 끊임없이 계속하다.
To continue doing a task or action without stopping; to be steady, consistent.
예시: 그녀는 꾸준히 운동해서 건강을 유지한다. (She maintains her health by exercising consistently.)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