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한국어 간접 높임법 완벽 가이드
Complete Guide to Korean Indirect Honorifics
Level: Intermediate to Advanced Korean Language
안녕하세요, 한국어 학습자 여러분! 한국어 높임말은 단순히 상대방을 높이는 것을 넘어, 화자와 청자, 그리고 대화의 대상 간의 관계를 섬세하게 조절하는 한국어의 핵심 문법 요소입니다. 특히 오늘은 '간접 높임법'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Hello, Korean learners! Korean honorifics go beyond simply elevating the other person; they are a core grammatical element that subtly adjus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listener, and the subject of the conversation. Today, we will specifically focus on 'indirect honorifics.'
간접 높임은 직접적으로 상대방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과 관련된 사물이나 생각, 행동 등을 높임으로써 존경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한국어 높임말의 진정한 고수가 되기 위해서는 간접 높임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Indirect honorifics express respect not by directly elevating the other person, but by elevating objects, thoughts, or actions related to them. To truly master Korean honorifics, proficient use of indirect honorifics is essential.
한국어 간접 높임의 이해와 활용
Understanding and Applying Korean Indirect Honorifics
'-시-'를 통한 간접 높임
Indirect Honorifics through '-시-'
동사나 형용사에 '-시-'를 붙여 주어를 높이는 것은 직접 높임이지만, 주어가 아닌 주어의 소유물이나 신체, 생각 등을 높일 때도 '-시-'를 사용합니다.
Adding '--시-' to a verb or adjective to elevate the subject is direct honorifics, but '-시-' is also used to elevate possessions, body parts, or thoughts related to the subject, not the subject itself.
할아버지께서는 키가 크시다. (O)
Grandfather is tall. (Correct)
할아버지께서는 팔다리가 기시다. (O)
Grandfather's arms and legs are long. (Correct)
선생님께서는 따님이 예쁘시다. (O)
The teacher's daughter is pretty. (Correct)
할머니께서는 아직 귀가 밝으시다. (O)
Grandmother's hearing is still good. (Correct)
주의: 주어가 신체 일부나 소유물일지라도, 문장의 주어가 직접 높임의 대상이 아닐 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위에 예시들은 높임의 대상(할아버지, 선생님, 할머니)의 신체나 소유물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그들을 높이는 것입니다.
Caution: Even if the subject is a body part or possession, it's generally not used if the subject of the sentence is not the direct object of honorification. The examples above indirectly elevate the objects of honorification (grandfather, teacher, grandmother) by elevating their body parts or possessions.
간접 높임이 어색한 경우
Cases Where Indirect Honorifics Are Awkward
모든 상황에서 간접 높임을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은 아닙니다. 특히 사물에 대한 존경 표현은 과도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It's not always natural to use indirect honorifics in every situation. Expressing respect for inanimate objects, in particular, can feel excessive.
사장님, 말씀하실 책이 있으세요? (X) → 사장님, 말씀하실 책이 있으십니까? (O)
CEO, do you have a book to speak about (honorific)? (Incorrect) → CEO, do you have a book to speak about? (Correct)
과장님, 안경이 크세요. (X) → 과장님, 안경이 크시네요. (O) (자연스러운 칭찬의 의미) 또는 과장님, 안경이 크네요. (O)
Manager, your glasses are big (honorific). (Incorrect) → Manager, your glasses are big. (Correct, as a natural compliment) or Manager, your glasses are big. (Correct)
위 예시처럼 사물에 직접 '-시-'를 붙이는 것은 어색할 수 있습니다. 대신 '-시-'를 사용하지 않거나, 문맥에 따라 다른 높임 표현을 선택해야 합니다.
As in the example above, directly attaching '-시-' to inanimate objects can be awkward. Instead, you should either avoid using '-시-' or choose a different honorific expression depending on the context.
간접 높임말 오류 줄이기: 흔한 실수와 교정
Minimizing Indirect Honorific Errors: Common Mistakes and Corrections
잘못된 간접 높임
Incorrect Indirect Honorifics
이 의자 편안하세요. (X)
This chair is comfortable (honorific). (Incorrect)
→ 이 의자 편안합니다/편안하네요. (O)
→ This chair is comfortable. (Correct)
이 의자는 선생님을 편안하게 해 드립니다. (O)
This chair provides comfort to the teacher. (Correct)
연습 문제
Practice Problem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간접 높임 표현을 넣어보세요.
Fill in the blank with the appropriate indirect honorific expression.
선생님께서는 따뜻한 마음이 (있다).
The teacher has a warm heart (honorific verb).
정답: 선생님께서는 따뜻한 마음이 있으시다.
Answer: The teacher has a warm heart. (honorific)
대화 연습: 간접 높임말 구사하기
Conversation Practice: Using Indirect Honorifics
실제 대화를 통해 간접 높임말의 미묘한 뉘앙스를 익혀봅시다.
Let's learn the subtle nuances of indirect honorifics through real conversations.
🧔 Mike Mike
그레이스 씨, 김 교수님께서 말씀이 있으실까요?
Grace, does Professor Kim have something to say (honorific)?
💃 Grace Grace
네, 마이크 씨. 교수님께서 회의 시작 전에 간단히 말씀하시겠다고 하셨습니다.
Yes, Mike. The professor said he would speak briefly before the meeting begins (honorific).
🧔 Mike Mike
아, 그렇군요. 혹시 교수님 계신 곳은 어디이신가요?
Ah, I see. By any chance, where is the professor's location (honorific)?
💃 Grace Grace
지금 잠시 자료실에 계십니다. 곧 오실 거예요.
He is currently in the资料室 (archive room) for a moment (honorific). He will be here soon.
이 대화에서 그레이스는 김 교수님을 직접적으로 높이는 표현과 간접적으로 높이는 표현을 적절히 섞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계신 곳'과 '계십니다'는 직접적인 높임과 간접적인 높임이 자연스럽게 결합된 예시입니다.
In this conversation, Grace appropriately mixes direct and indirect honorifics for Professor Kim. Especially, '계신 곳 (location)' and '계십니다 (is/are - honorific)' are examples where direct and indirect honorifics are naturally combined.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