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bate Like a Korean Pro: The Unspoken Rules" [설득과 논리] 결론부터!

6가지 흔한 회사 토론 실수
회사에서 토론할 때는 다양한 의견 충돌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In the workplace, it's natural for different opinions to clash during discussions.
하지만 감정이 격해지거나 긴장감이 높아지면, 몇 가지 치명적인 실수를 저지를 수 있습니다. 마이크, 그레이스, 최고봉 과장의 대화를 통해 실제 상황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However, when emotions run high, it's easy to make critical mistakes. Let's look into conversations between Mike, Grace, and Manager Choi to learn how to overcome them.

1. 반대를 위한 반대
최고봉 과장: "지금 프로젝트는 무조건 실패야. 새로 시작해야 해."
Manager Choi: "This project is destined to fail. We must start over."
마이크: "(침착하게) 과장님, 조금 더 구체적으로 문제를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Mike: "(Calmly) Manager, could you explain the problem a bit more specifically?"
📚 핵심 표현 (Key Expressions)
한국어 | 영어식 발음 | 영어 의미 |
---|---|---|
무조건 | mujeogeon | unconditionally, absolutely |
구체적으로 | guchejeogeuro | specifically |
'무조건'은 논리 없이 주장할 때 주로 사용되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Be careful with '무조건' as it's often used when making claims without logical basis.
2. 장황하게 설명하기 (결론 없이)
그레이스: "(긴 한숨) 처음부터 계획이 어긋났고, 과정도 복잡했고, 소통도 부족했고, 결국은..."
Grace: "(Sighing) The plan was flawed from the beginning, the process was complicated, communication was lacking, and eventually..."
마이크: "(속으로) 제발 결론부터 말해줘..."
Mike: "(Thinking) Please, get to the conclusion first..."
📚 핵심 표현 (Key Expressions)
한국어 | 영어식 발음 | 영어 의미 |
---|---|---|
어긋나다 | eogeutnada | to go wrong, to deviate |
과정 | gwajeong | process |
소통 | sotong | communication |
발표할 때 '결론을 먼저' 말하는 것은 한국 직장 문화의 기본입니다.
In Korean business culture, it's standard to 'state the conclusion first' when presenting.
3. 데이터 없이 감에만 의존하기
최고봉 과장: "내 느낌이야. 데이터 같은 건 필요 없어."
Manager Choi: "It's just my feeling. We don't need data."
마이크: "(조심스럽게) 그래도 객관적인 자료가 있으면 모두가 더 납득할 것 같습니다."
Mike: "(Carefully) Still, if we have objective data, everyone might understand better."
📚 핵심 표현 (Key Expressions)
한국어 | 영어식 발음 | 영어 의미 |
---|---|---|
객관적 | gaekgwanjeok | objective |
납득하다 | napdeukhada | to understand and accept |
'납득'은 단순한 이해를 넘어, 수긍까지 포함하는 깊은 개념입니다.
'납득' goes beyond simple understanding - it implies full acceptance and agreement.
4. 경험을 앞세워 부하직원 무시하기
최고봉 과장: "내가 이 업계에서만 20년 일했어. 네가 뭘 알아?"
Manager Choi: "I've been working in this industry for 20 years. What do you know?"
마이크: "(조심스럽게) 과장님, 그래도 새로운 아이디어가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Mike: "(Carefully) Manager, still, new ideas could be helpful."
최고봉 과장: "(비웃으며) 초짜가 뭘 알겠어. 그냥 시키는 대로 해."
Manager Choi: "(Sneering) What would a rookie know? Just do as you're told."
그레이스: "(속으로) 경험이 많아도 귀를 닫으면 아무 소용 없는데..."
Grace: "(Thinking) Even with a lot of experience, it's useless if you close your ears..."
📚 핵심 표현 (Key Expressions)
한국어 | 영어식 발음 | 영어 의미 |
---|---|---|
업계 | eopgye | industry |
초짜 | chojja | rookie, beginner |
시키는 대로 하다 | sikineun daero hada | to do as told |
비웃다 | biutda | to sneer, to mock |
귀를 닫다 | gwireul datda | to close one's ears (to not listen) |
경력을 내세워 상대방 의견을 무시하면 오히려 리더십을 잃게 됩니다.
Flaunting your experience while ignoring others' opinions will actually make you lose leadership credibility.
5. 비속어, 은어 사용
최고봉 과장: "XX, 이렇게 복잡할 일이냐?"
Manager Choi: "Damn, does it have to be this complicated?"
마이크: "(차분히) 모두가 함께 일하는 자리이니, 정중한 표현을 사용해 주세요."
Mike: "(Calmly) Since we are working together, let's use polite expressions."
📚 핵심 표현 (Key Expressions)
한국어 | 영어식 발음 | 영어 의미 |
---|---|---|
정중하다 | jeongjunghada | to be polite, courteous |
비속어 | bisogeo | slang, swear word |
공식 자리에서는 반드시 정중하고 격식을 갖춘 언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In formal settings, you must use polite and professional language at all times.
6. 중간에 끼어들어 대화 끊기
그레이스: "그러니까, 제 발언은..."
Grace: "So, my suggestion is..."
최고봉 과장: "(끼어들며) 알아 알아, 그냥 내 방식대로 해."
Manager Choi: "(Interrupting) Yeah yeah, just do it my way."
마이크: "(정중히) 모두의 발언을 끝까지 듣는 게 중요합니다."
Mike: "(Politely) It's important to listen to everyone's opinions until the end."
📚 핵심 표현 (Key Expressions)
한국어 | 영어식 발음 | 영어 의미 |
---|---|---|
발언 | bareon | comment, remark, suggestion |
끝까지 듣다 | kkeutkkaji deutda | to listen until the end |
한국 비즈니스 문화에서는 끼어들지 않고, 끝까지 듣는 태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In Korean business culture, not interrupting and listening until the end is extremely important.

마무리: 존중과 경청이 답이다
Conclusion: Respect and Listening Are the Keys
토론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주장을 강하게 펼치는 것만이 아닙니다.
What's important in discussions is not just asserting your opinions forcefully.
서로를 존중하고, 끝까지 귀 기울이는 자세가 성공적인 팀워크를 만듭니다.
Respecting each other and listening attentively lead to successful teamwork.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