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s learn Korean through K-drama ④ 미생 - 안영이

안영이의 현실 직장 생존기: 한국 사무실 여성의 도전 | Ahn Young-yi's Realistic Workplace Survival: Challenges for Women in Korean Offices - SUPER REAL KOREAN

안영이의 현실 직장 생존기

Ahn Young-yi's Realistic Workplace Survival

🌟 Business Korean - Intermediate 🌟

드라마 '미생'은 한국 직장 생활의 날것 그대로를 보여주며 많은 시청자의 공감을 얻었습니다. 특히 능력 있는 신입사원 안영이의 이야기는 여성 직원이 직장에서 겪을 수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차별을 생생히 담아냅니다. 본 글에서는 안영이가 어떤 상황에서 힘들어했는지, 주요 장면 대사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고 관련 단어문법심층 분석합니다.

The drama 'Misaeng' garnered significant empathy from many viewers by portraying the raw reality of Korean workplace life. In particular, the story of capable rookie Ahn Young-yi vividly depicts the realistic difficulties and discrimination female employees can face at work. This article will delve into the situations Ahn Young-yi struggled with through key scene dialogues, with an in-depth analysis of related vocabulary and grammar.

📌 한국 직장 내 성차별의 현실 (Reality of Gender Discrimination in Korean Workplaces)

과거 가부장적 사회의 영향으로 한국 직장에서는 여성에게 특정 역할을 기대하거나 능력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미묘한 차별이 남아있습니다. 안영이의 사례는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잘 보여줍니다.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결혼 후에도 경력을 이어가는 여성이 늘고 있지만, 여전히 평등기회대우를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In the past, influenced by a patriarchal society, Korean workplaces tended to expect specific roles from women or undervalue their abilities. Although much improvement has been made recently, subtle discrimination still persists. Ahn Young-yi's case clearly illustrates these structural issues. As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becomes more active, an increasing number of women are continuing their careers even after marriage, but efforts for equal opportunities and treatment are still needed.

장면 1: 제대로 된 업무를 배정받지 못하는 상황

Scene 1: Situation of Not Being Assigned Proper Work

(자원팀 사무실. 안영이는 뛰어난 능력을 가졌지만, 직속 상사인 성준식 과장에게 사소하거나 부적절한 업무만 지시받는다.)

(Resource Team office. Ahn Young-yi is highly capable, but is only assigned trivial or inappropriate tasks by her immediate superior, Section Chief Sung Joon-sik.)

💃 안영이 (Ahn Young-yi): 과장님, 혹시 제가 오늘 할 일이 있을까요? 말씀해주시면 바로 진행하겠습니다.

Manager, is there anything I can do today? Please tell me, and I will proceed immediately.

🧔 성준식 과장 (Section Chief Sung): (서류를 보며 무심하게) 음... 안영이 씨는 오늘... 저기 복사기 옆에 쌓인 서류들 좀 문서고로 옮겨놔. 보기 지저분하네.

(Looking at documents indifferently) Hmm... Ahn Young-yi... Today... take those documents piled up next to the copy machine over there and move them to the archive. It looks messy.

💃 안영이 (Ahn Young-yi): ...문서고로요? 네.

...To the archive? Yes.

핵심 단어 (Key Vocabulary):

복사기 (bok-sa-gi): copy machine. 사무실에서 문서를 복사하는 데 사용하는 기계입니다. | A machine used for copying documents in an office.

문서고 (mun-seo-go): archive / document storage. 중요한 서류나 자료를 보관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 Refers to a space for storing important documents or data.

💃 안영이 (내레이션 / Narration): 내 머릿속에 있는 정보,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은 이곳에서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 같았다. 나는 그저... 사무실의 짐을 옮기는 사람이 되었다.

The information in my head, the things I am capable of... seemed to have no meaning here. I just... became someone who moves things in the office.

(다른 날 / Another Day)

💃 안영이 (Ahn Young-yi): 과장님, 얼마 전에 저희가 검토했던 B사 프로젝트 관련해서 추가적으로 파악한 내용이 있습니다. 보고드릴까요?

Manager, regarding the Project B we reviewed recently, I have additionally identified some information. Should I report it?

🧔 성준식 과장 (Section Chief Sung): (안영이를 쳐다보지도 않고) 됐어. 그런 건 내가 알아서 할게. 안영이 씨는 오늘 외부 손님 오시는데, 탕비실 좀 확인해서 다과 준비해 줘. 깔끔하게 부탁해.

(Without looking at Ahn Young-yi, continuing to talk to Park Dae-ri) ...Ah, that method doesn't fit the current situation. We need to go with a new route this time.

💃 안영이 (Ahn Young-yi): ...네.

...Yes.

핵심 단어 (Key Vocabulary):

추가적으로 (chu-ga-jeok-eu-ro): additionally / furthermore. 어떤 기존 내용이나 상황에 더해서 정보를 제시할 때 사용합니다. | Used when present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existing content or situations.

탕비실 (tang-bi-sil): office kitchen / pantry room. 회사 내에서 차나 커피, 간단한 음료를 준비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 Refers to a space within a company for preparing tea, coffee, or simple beverages.

다과 (da-gwa): refreshments / snacks. 손님 접대용으로 준비하는 간단한 음식이나 음료를 총칭합니다. | A general term for simple food or drinks prepared for guests.

🔍 설명 및 분석 (Explanation & Analysis)

이 장면들은 안영이의 뛰어난 능력과 적극적인 업무 태도에도 불구하고, 상사가 그녀에게 전문적인 업무 대신 단순 반복 업무나 흔히 여직원에게 기대되는 역할을 배정하는 편견을 보여줍니다. 그녀가 추가적으로 파악한 중요한 내용조차 보고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상황은 성별에 대한 선입견이 업무 배정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드러냅니다. 이는 개인의 역량보다 성별이 우선시되는 불공정한 현실을 대변합니다.

These scenes illustrate the prejudice where a superior assigns Ahn Young-yi simple, repetitive tasks or roles commonly expected of female employees instead of specialized work, despite her excellent abilities and proactive work attitude. The situation where she doesn't even get a chance to report important information she additionally identified reveals how significantly gender bias influences work assignments. This represents an unfair reality where gender takes precedence over individual competence.

핵심 단어 (Key Vocabulary):

편견 (pyeon-gyeon): prejudice / bias. 특정 대상에 대해 미리 형성된 치우친 생각이나 의견을 의미합니다. | Refers to a preconceived, biased idea or opinion about a particular subject.

선입견 (seon-ip-gyeon): preconception / prejudice.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미리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이나 편향된 생각을 뜻하며, '편견'과 유사하게 사용됩니다. | Means a preconceived notion or biased thought about a subject or situation, used similarly to 'prejudice'.

역량 (yeok-ryang): competence / capability.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이나 잠재력을 의미합니다. | Refers to the ability or potential to accomplish something.

장면 2: 팀 내에서의 소외와 무시

Scene 2: Alienation and Disregard within the Team

(자원팀 팀원들이 모여 중요한 프로젝트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안영이가 대화에 참여하려 하지만 팀원들은 그녀를 배제한다.)

(Resource Team members are gathered, discussing an important project. Ahn Young-yi tries to join the conversation, but the team members exclude her.)

🧔 김대리 (Kim Dae-ri): 그래서 이 부분은 이렇게 처리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박대리님 생각은 어떠세요?

So, I think handling this part like this is correct. What do you think, Park Dae-ri?

🧔 박대리 (Park Dae-ri): 저는 그게 좀 비효율적일 것 같은데요. 전에 했던 방식대로...

I think that might be a bit inefficient. Like the way we did it before...

💃 안영이 (Ahn Young-yi): 죄송한데 잠시... 그 부분에 대해서 제가 전에 알고 있던 정보로는...

Excuse me for a moment... Regarding that part, based on the information I knew before...

🧔 김대리 (Kim Dae-ri): (안영이를 쳐다보지도 않고 박대리에게 계속 얘기하며) ...아, 그 방식은 지금 상황에는 안 맞아요. 이번엔 새로운 루트로 가야 합니다.

(Without looking at Ahn Young-yi, continuing to talk to Park Dae-ri) ...Ah, that method doesn't fit the current situation. We need to go with a new route this time.

💃 안영이 (Ahn Young-yi): (다시 말하려 함 / Attempts to speak again)

🧔 성준식 과장 (Section Chief Sung): 안영이 씨는 듣고만 있어. 지금 우리가 하는 얘기는 안영이 씨가 이해하기 좀 어려울 거야.

Ahn Young-yi, just listen. What we're talking about now might be a bit difficult for you to understand.

💃 안영이 (Ahn Young-yi): ...네.

...Yes.

📚 문법 노트 (Grammar Note): '-고만 있다' (Just keep ~ing / Only ~ing)

'-고만 있다'는 어떤 행동을 '계속해서 하고 있거나' 또는 '다른 것은 하지 않고 오직 그 행동만 하고 있다'는 의미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부정적인 상황이나 답답함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

The grammatical pattern '-고만 있다' emphasizes that an action is either 'continuously being performed' or 'only that action is being done, without doing anything else.' It is often used to express negative situations or frustration.

예시 (Examples):

1. 그는 말없이 보고만 있었다. (He just kept watching without saying anything.)

2. 문제가 심각한데 해결하려 하지 않고 걱정하고만 있다. (The problem is serious, but instead of trying to solve it, they are just worrying.)

🔍 설명 및 분석 (Explanation & Analysis)

이 대화는 안영이가 팀의 중요한 업무 논의에 참여하려 시도하지만, 팀원들과 상사에 의해 무시당하고 배제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상사가 "안영이 씨가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단정 짓는 부분에서 그녀의 능력기여 가능성이 처음부터 평가절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안영이가 팀 내에서 느끼는 소외감과 직결되며, 투명하지 않은 정보 공유와 배제의 문화를 여실히 드러냅니다.

This dialogue shows Ahn Young-yi attempting to participate in important team work discussions but being ignored and excluded by her team members and superior. When the superior asserts that it "might be difficult for Ahn Young-yi to understand," it reveals that her abilities and potential contributions are being undervalued from the start.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 feeling of alienation Ahn Young-yi experiences within the team and vividly exposes a culture of non-transparent information sharing and exclusion.

핵심 단어 (Key Vocabulary):

소외감 (so-oe-gam): feeling of alienation / exclusion. 집단이나 관계에서 자신이 속하지 못하거나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다고 느끼는 감정입니다. | The feeling of not belonging or not being considered important within a group or relationship.

단정 짓다 (dan-jeong jit-da): to conclude / to assert definitively. 어떤 사실이나 상황에 대해 확실하게 결정하거나 판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To definitively decide or judge a fact or situation.

평가절하 (pyeong-ga-jeol-ha): to undervalue / to depreciate. 어떤 대상의 가치나 능력을 실제보다 낮게 평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To evaluate the value or ability of something lower than its actual worth.

장면 3: 동료에게 털어놓는 솔직한 심경

Scene 3: Expressing Honest Feelings to a Colleague

(장그래와 안영이가 회사 옥상 등에서 대화하며 서로의 어려움을 나눈다.)

(Jang Geu-rae and Ahn Young-yi talk on the company rooftop, sharing their difficulties.)

💃 안영이 (Ahn Young-yi): 장그래 씨는... 그래도 일을 배우고 있잖아? 진짜 회사 일을...

Jang Geu-rae... you're still learning work, aren't you? Real company work...

🧔 장그래 (Jang Geu-rae): 네. 배우고 있다. 많이 부족하지만. 안영이 씨도 마찬가지 아닌가?

Yes. I am learning. Although I'm very lacking. Isn't it the same for you, Ahn Young-yi?

💃 안영이 (Ahn Young-yi): 저는... 무슨 일을 해야 할지도 모르겠어. 능력이 있고 없고를 떠나서... 그냥 여기서는... 제가 숨쉬기 힘든 것 같아.

Me... I don't even know what work I should be doing. Putting aside whether I have ability or not... it just feels like... it's hard for me to breathe here.

🧔 장그래 (Jang Geu-rae): ...

...

💃 안영이 (Ahn Young-yi): 다른 팀의 동기들은 다들 바쁘게 뛰어다니고 뭔가 배우고 있는데... 저만... 계속 제자리걸음인 것 같아.

Colleagues in other teams are all busy running around and learning something... but I feel like... I'm just making no progress/stagnating.

핵심 표현 (Key Expression):

제자리걸음 (je-ja-ri-geol-eum): Making no progress / Stagnating (literally "walking in place"). 실제로는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한자리에서 맴도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유적으로는 발전이나 진전이 없는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It literally means spinning in one place without moving forward. Figuratively, it is used to describe a state of no progress or stagnation.

예시 (Examples):

1. 프로젝트가 여러 달째 제자리걸음이다. (The project has been stagnating for several months.)

2. 공부를 열심히 하는데도 성적이 제자리걸음이라니 답답하다. (It's frustrating that my grades are stagnating even though I study hard.)

💃 안영이 (Ahn Young-yi): 어쩌면... 제가 여자라서... 이 팀에서는 안 되는 걸까.

Perhaps... because I'm a woman... I can't make it in this team?

📚 문법 노트 (Grammar Note): '-는 것 같다' (Seems like / It appears that...)

'-는 것 같다'는 어떤 상황이나 사실에 대한 추측이나 불확실한 판단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화자의 주관적인 느낌이나 생각을 표현할 때 유용합니다.

The grammatical pattern '-는 것 같다' is used to express conjecture or an uncertain judgment about a situation or fact. It is useful for conveying the speaker's subjective feelings or thoughts.

예시 (Examples):

1. 비가 올 것 같아요. (It seems like it's going to rain.)

2. 그 사람은 이 일을 잘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It seems like he can do this job well.)

3. 요즘 제가 좀 지쳐 있는 것 같아요. (It seems like I'm a bit tired these days.)

🔍 설명 및 분석 (Explanation & Analysis)

이 대화는 안영이가 느끼는 깊은 좌절감무력감을 직접적으로 드러냅니다. 다른 동기들이 성장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보며 자신만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고 느껴 고통스러워합니다.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입사했지만, 그 능력을 발휘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좌절감과 상황을 스스로 바꾸기 어렵다는 무력감이 뒤섞여 있습니다. 특히 "여자라서 안 되는 걸까"라는 마지막 질문은 그녀가 겪는 어려움의 근원이 개인의 능력이 아닌 성별에서 오는 차별일 수 있다는 고통스러운 인식을 보여줍니다. 이는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성차별 문제를 시사합니다.

This dialogue directly reveals the deep frustration and powerlessness Ahn Young-yi feels. Seeing her colleagues grow and develop, she suffers from feeling she is just making no progress. Despite being hired with excellent abilities, it's a mix of frustration about the reality of not even getting the chance to demonstrate her abilities, and powerlessness from feeling unable to change the situation herself. In particular, the final question, "Perhaps... because I'm a woman... I can't make it?" shows the painful realization that the root of her difficulties might be gender-based discrimination, not her individual ability. This suggests a deep-seated gender discrimination issue in Korean society.

핵심 단어 (Key Vocabulary):

좌절감 (jwa-jeol-gam): feeling of frustration. 목표 달성이나 원하는 바를 이루지 못했을 때 느끼는 실망감과 절망감입니다. | The feeling of disappointment and despair when failing to achieve a goal or desired outcome.

무력감 (mu-ryeok-gam): feeling of powerlessness / helplessness. 스스로 어떤 상황을 통제하거나 변화시킬 수 없다고 느낄 때의 감정입니다. | The feeling of being unable to control or change a situation oneself.

뿌리 깊다 (ppuri gip-da): deep-seated / deeply rooted. 어떤 현상이나 문제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고치기 어렵거나, 그 원인이 깊숙이 박혀있음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Used when a phenomenon or problem has persisted for a long time, making it difficult to change, or its cause is deeply embedded.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콘텐츠 제작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Clicking on ads greatly helps with content creation.

#미생 #안영이 #직장생활 #성차별 #한국직장 #Misaeng #AhnYoungyi #WorkplaceLife #GenderDiscrimination #KoreanOfficeCulture #कोरियन #कार्यालय #भेदभाव #शिक्षण #भाषा

©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How to Dramatically Advance Your Business Korean Proficiency② 판매, 인플루언서, 도달, 핫스팟

🗣️A Korean job interview? 면접 체크리스트

🎬Learning Korean with Korean Movie①Default 국가부도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