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hrases 30 for Topik Level 3 (29) : '박차를 가하다.' '돌입하다.'
Key phrases 30
한국어 핵심 구절 30일 완성
Essential Korean Phrases for TOPIK Level 3 (Day 29)
Day 29: 추진과 시작
속도를 높이고 새로운 단계로
Acceleration and Commencement / Boosting Speed and Entering a New Phase
이 시리즈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 여러분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구문과 표현을 교육합니다. (This series teaches the core phrases and expressions essential for learners aiming for TOPIK Level 3.) 30일 동안 매일 한 프로그램씩 문제해결법을 공유합니다.
핵심 어휘 및 문법 분석 Core Vocabulary and Collocation Analysis
핵심 표현 (Core Expressions)
박차를 가하다 (拍車를 加하다) [bak-cha-reul ga-ha-da] (Exp.)
의미: 속도나 힘을 높이다. 일의 진행에 더욱 힘쓰다. (**To spur/accelerate/speed up**)
예문: 회사는 신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The company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the new product.)
돌입하다 (突入하다) [do-rip-ha-da] (Exp.)
의미: 어떤 단계나 일에 들어가기 시작하다. (**To commence/enter a phase/begin**)
예문: 복잡했던 협상이 마침내 최종 단계에 돌입했다. (The complex negotiations finally entered the final stage.)
핵심 문법 (Core Collocations/Grammar)
-에 착수하다 (着手하다) [-e chak-su-ha-da] (Exp.)
의미: 어떤 일을 시작하다. (**To embark on/start a task**)
예문: 정부는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규모 사업에 착수했다. (The government embarked on a large-scale project for youth job creation.)
실전 문제 풀이 (Practical Problem Solving)
실전 문제 풀이를 통해 핵심 구절을 익혀봅시다. (Let's master the core phrases through practical problem-solving.)
세트 1. Key Phrase: 박차를 가하다
[문제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선진국들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에 (_______)을/를 (_______)할 방침이다.
- 결과 / 초래
- 문제 / 제기
- 단계 / 돌입
- 박차 / 가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d
해설: '개발에 더욱 힘쓰다'라는 의미와 연결되어, 속도를 높이는 표현인 '박차를 가하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Analysis: The context suggests increasing effort in development. Thus, '박차를 가하다 (to accelerate/speed up)' is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세트 2. Key Phrase: 돌입하다
[문제 2]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두 회사의 합병 논의는 모든 세부 사항을 조율하고 최종 계약 (_______)에/로 (_______)했다.
- 논란 / 해소
- 근거 / 바탕
- 방안 / 강구
- 단계 / 돌입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d
해설: '논의가 최종 계약을 맺는 단계로 들어섰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단계에 돌입하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Analysis: The discussion 'has entered the stage of final contract'. Therefore, '단계에 돌입하다 (to enter the final stage)' is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세트 3. 실전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문제 3]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사용이 가장 자연스러운 것을 고르시오.
- 시장의 변화에 박차를 돌입했다.
- 규제를 완화하고 새로운 제도에 박차를 가했다.
- 회사 경영진은 긴급 회의에 착수했다.
- 정부는 국민들의 의견을 박차를 가했다.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c
해설: a) '박차를 가하다'와 '돌입하다'는 함께 쓰기 부자연스럽습니다. b) '제도에 박차를 가했다'는 어색합니다. ('제도 도입에 박차를 가했다'가 적절) c) '회의에 착수했다'는 '회의를 시작했다'는 의미로 '착수했다'가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Correct) d) 의견은 '수렴하다'가 적절하며, '박차를 가하다'는 속도를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Analysis: a) Unnatural combination of 'accelerate' and 'commence'. b) Unnatural to 'accelerate a system'. c) 'to embark on (a meeting)' means to start a meeting, which is natural. (Correct) d) 'To accelerate' is incorrect; 'to gather' or 'to collect' opinions is appropriate.
복습 연습 문제 (Review Practice)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나 표현을 넣어보세요. (Fill in the blanks with the appropriate words or expressions.)
1.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한 투자에 (___________)을/를 (___________)하고 있다.
2. 새 학기가 시작되자마자 시험 준비 (___________)에 (___________)했다.
3. 우리는 다음 주부터 새로운 환경 보호 프로젝트에 (___________)할 예정이다.
(정답 예시: 1. 박차, 가 / 2. 단계, 돌입 / 3. 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