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hrases 30 for Topik Level 3 (24) : ' --을/를 적극 지원하다', '-을/를 의무화하다'

Key phrases 30 for Topik 3급 Day 24 | 적극 지원과 대책 마련

Key phrases 30
한국어 핵심 구절 30일 완성 Essential Korean Phrases for TOPIK Level 3 (Day 24)

Day 24: 정책/노동
지원과 대책 마련 Policy/Labor: Active Support and Preparation of Measures

이 시리즈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 여러분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구문과 표현을 교육합니다. (This series teaches the core phrases and expressions essential for learners aiming for TOPIK Level 3.) 30일 동안 매일 한 프로그램씩 문제해결법을 공유합니다. (Over 30 days, we share problem-solving methods daily.)

핵심 어휘 및 문법 분석 Core Vocabulary and Grammar Analysis

핵심 표현 (Core Expressions)

-을/를 적극 지원하다 (積極 支援하다) [-eul/reul jeok-geuk ji-won-ha-da] (Exp.)

의미: 어떤 대상에게 능동적이고 강한 의지를 가지고 도움을 주다. (**To actively support/assist**)

활용: 청년 창업을 적극 지원하다, 피해 복구를 적극 지원하다. (To actively support youth startup, to actively support disaster recovery)

예문: 정부는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을 위해 예산과 인력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The government decided to actively support the technology innovation of SMEs with budget and personnel.)

-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다 (對策을 마련하다) [-e dae-han dae-chaek-eul ma-ryeon-ha-da] (Exp.)

의미: 특정 문제나 상황에 대비하여 해결책이나 계획을 준비하다. (**To prepare/devise measures/countermeasures for X**)

활용: 물가 안정 대책을 마련하다, 환경 오염 대책을 마련하다. (To prepare measures for price stability, to devise countermeasure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예문: 급격한 인구 감소 에 대한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It is urgent to prepare long-term measures for the rapid population decline.)

실효성을 거두다 (實效性을 거두다) [sil-hyo-seong-eul geo-du-da] (Exp.)

의미: 실제적인 효력이나 효과를 얻거나 달성하다. (**To achieve real effectiveness/results**)

활용: 정책의 실효성을 거두다, 계획의 실효성을 거두다. (To achieve the policy's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plan's results)

예문: 정부는 복지 정책이 소외 계층에게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government must strive for the welfare policy to achieve real effectiveness for the marginalized.)

핵심 문법 (Core Grammar)

-에 만전을 기하다 (萬全을 期하다) [-e man-jeon-eul gi-ha-da] (Exp.) 

의미: 조금도 소홀함이 없이 온갖 힘을 다해 완벽하게 준비하다. (**To put all efforts into preparation/prevention**)

활용: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하다, 예방 조치에 만전을 기하다. (To put all efforts into safety management, to ensure complete preventive measures)

예문: 태풍 피해를 막기 위해 주민 대피 및 시설 점검 에 만전을 기했다. (All efforts were made to ensure perfect preparation for resident evacuation and facility inspection to prevent typhoon damage.)

-을/를 의무화하다 (義務化하다) [-eul/reul ui-mu-hwa-ha-da] (Exp.)

의미: 특정한 행위나 규칙을 반드시 지키도록 강제적인 의무로 만들다. (**To make X mandatory/obligatory**)

활용: 안전 교육을 의무화하다, 휴게 시간을 의무화하다. (To make safety education mandatory, to mandate rest time)

예문: 근로자의 안전 보장을 위해 작업장 내 위험 표지 부착 을 의무화했다. (The attachment of warning signs in the workplace was made mandatory to ensure worker safety.)

-을/를 강구하다 (講究하다) [-eul/reul gang-gu-ha-da] (Exp.)

의미: 대책, 방안 등을 깊이 생각하여 찾거나 마련하다. (**To devise/seek measures**)

활용: 해결책을 강구하다, 대책을 강구하다. (To devise a solution, to seek measures)

예문: 긴급 상황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상 연락망 을 강구하고 있다. (An emergency contact network is being devised to minimize damag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의무화하다

실전 문제 풀이 (Practical Problem Solving)

실전 문제 풀이를 통해 핵심 구절을 익혀봅시다. (Let's master the core phrases through practical problem-solving.)

세트 1. Key Phrase: -을/를 적극 지원하다

[문제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는 신산업 분야의 연구 개발(R&D)을 (_______)할 필요가 있다.

  1. 대책을 마련
  2. 실효성을 거둘
  3. 적극 지원
  4. 만전을 기할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c

해설: '연구 개발(R&D)'은 정부의 능동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는 분야입니다. '국가 경쟁력 강화'라는 긍정적인 목적에 맞게 '적극 지원하다'(능동적으로 돕다)는 표현이 가장 적절합니다.

Analysis: R&D requires active assistance from the government. Given the positive goal of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expression '적극 지원하다 (to actively support)' is the most appropriate.

세트 2. Key Phrase: -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다

[문제 2]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s.)

최근 급변하는 기후 변화 (_______) 사회적 약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긴급 지원 (_______)을/를 (_______)해야 한다.

  1. 대책 / 의무 / 강구
  2. 에 대한 / 제도 / 마련
  3. 대책 / 만전 / 기하
  4. 에 따른 / 지원 / 거두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b

해설: 문맥상 '기후 변화'라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후 변화 에 대한'과 '긴급 지원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구성이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a의 '의무'와 '강구'는 제도와 어울리지 않음)

Analysis: The context requires preparation to deal with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Thus, the structure 'to prepare (마련) an emergency support system (제도) for (에 대한) climate change' is the most natural.

세트 3. 실전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문제 3]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사용이 가장 자연스러운 것을 고르시오. (Choose the most natural sentence.)

  1. 정부는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했다.
  2. 새로 도입된 정책이 현장에서 곧바로 만전을 기했다.
  3. 태풍 피해를 막기 위해 시설 점검에 의무화했다.
  4.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d

해설: a) '의견을 수렴했다' 또는 '대책을 마련했다'가 적절하며, '적극적으로'는 '지원'과 더 자연스럽습니다. b) '만전을 기하다'는 준비나 예방에 쓰이므로, 정책의 결과인 '실효성을 거두다'가 적절합니다. c) '의무화하다'는 규칙을 만들 때 쓰이며, '시설 점검에'는 '만전을 기하다'가 더 적절합니다. d) 사고 예방이라는 목적을 위해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하다'(완벽히 준비하다)는 표현이 가장 자연스럽고 올바른 표현입니다. (Correct)

Analysis: a) 'Actively devised measures for opinions' is awkward. 'Gathered opinions' is better. b) 'To put all efforts into preparation' (만전을 기하다) is used for preparation, not for a policy achieving results. 'To achieve effectiveness' (실효성을 거두다) is better. c) 'To make mandatory' (의무화하다) is used for rules, not for facility inspection itself. 'To put all efforts into' is better for inspection. d) It is most natural and correct to 'put all efforts into safety management' to prevent accidents. (Correct)

복습 연습 문제 (Review Practice)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나 표현을 넣어보세요. (Fill in the blanks with the appropriate words or expressions.)

1. 정부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실효성 있는 (___________)을/를 (___________)하고 있다.

2. 새 학기 시작 전에 시설물 안전 점검 (___________)에 (___________)해야 한다.

3.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현장에서 (___________)을/를 (___________)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

(정답 예시: 1. 대책, 강구 / 2. 만전, 기하 / 3. 실효성, 거두)

오늘의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더 깊고 넓은 한국어 세상으로 GO!

Based on today's learning, GO to a deeper and broader world of Korean!

GO TO FURTHER & DEEPER
#TOPIK3급 #한국어문법 #핵심구절30 #적극지원 #대책마련 #정책 #노동 #TOPIK어휘 #한국어능력시험 #실전문제 #TOPIKLevel3 #CorePhrases #ActiveSupport #PolicyMeasure #KoreanExpressions

popular & loved

Topik writing type no.53! How to prepare?

Indepth Korea_K-food, 이제 일상 간식까지 인기! (K-Food Tourist Snack Trend)

🛣️Mastering Korean / 한국어 장소 부사 : 여기, 저기, 거기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① 존댓말 압존법

TOPIK60_DAY29 : 유추하다, 짐작하다, ~(으)면

Confused Korean Grammar: ~거든요, ~(으)면, ~ㄹ/을지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