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zakh Workers to Enter Korea via EPS _ 카자흐 노동자 한국취업길(E-9) 열려...

카자흐 노동자, 한국 고용허가제(E-9)로 입국한다 (Kazakh Workers to Enter Korea via EPS)

카자흐 노동자, 한국 고용허가제(E-9)로 입국한다
Kazakh Workers to Enter Korea via EPS (Employment Permit System)

한국-카자흐스탄 협력 이미지

(Caption: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협력 강화)

18번째 고용허가제 송출국 지정 예정
Designation as 18th EPS Sending Country 

카자흐스탄이 18번째 고용허가제(E-9 비자) 송출국으로 지정될 예정입니다. 이는 내국인 근로자 확보가 어려운 중소기업의 외국인 근로자 합법 고용을 정부가 허가하는 시스템입니다. (Kazakhstan is scheduled to be designated as the 18th sending country fo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E-9 Visa). This system permits SMEs struggling to hire domestic workers to legally employ foreign workers.)

카자흐스탄 지정은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양국 협력 강화라는 두 가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The designation of Kazakhstan is expected to bring two effects: easing the labor shortage for SMEs and strengthening public-privat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 관련 글: 외국인 근로자, 한국 농업 10가지 사실 (Foreign Worker, 10 Facts about Korean Agriculture)

핵심 어휘 및 문법 학습
Core Vocabulary & Grammar Study

1. 고용허가제 (goyongheogaje)

의미: 한국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고용을 허가하는 제도. (E-9 비자) Meaning: A system that permits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to solve the labor shortage in Korean SMEs. (Employment Permit System - EPS)

작년에 고용허가제를 통해 10만 명 이상이 입국했습니다. Last year, more than 100,000 foreign workers entered Korea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2. 인력난 (illyeongnan)

의미: 일할 사람이 부족하여 겪는 어려움. (노동력 부족) Meaning: Difficulty experienced due to a shortage of workers. (Labor Shortage/Manpower Crisis)

건설 현장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Measures are needed to solve the severe labor shortage at construction sites.

3. 양해각서 (yanghae gakseo)

의미: 국가나 단체 간의 합의나 교섭 결과를 기록한 문서. (MOU) Meaning: A document recording the results of an agreement or negotiation between countries or organizations. (Memorandum of Understanding - MOU)

양국 정부는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협력 확대를 약속했습니다. The governments of the two countries promised to expand cooperation by signing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4. ~을/를 통해 (~eul/reul tonghae)

의미: 어떤 수단이나 방법을 거침을 나타냅니다. (Through/Via/By means of) Meaning: Indicates going through a certain means or method.

고용허가제 를 통해 인력난 문제를 해결하려 합니다. We are trying to solve the labor shortage problem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5. ~으로 인해 (~euro inhae)

의미: 앞선 내용이 뒤따르는 내용의 원인이나 이유가 됨을 나타냅니다. (격식 표현) Meaning: Indicates that the preceding content is the cause or reason for the following content. (Due to/As a result of)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 근로자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Worker demand has increased due to seasonal factors.

* 관련 글: 한국, 폭염 수당이 시급하다 (South Korea Urgently Needs Heatwave Pay)

6. ~할 수 있게 됐다 (~hal su itge dwaetda)

의미: 변화의 결과로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가능해졌음을 나타냅니다. (가능해지다) Meaning: Indicates that a certain action or state has become possible as a result of a change. (Became possible to do/Is now able to do)

새로운 제도로 더 많은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A new system was introduced, so we are now able to employ more foreign workers.

송출국 지정 절차와 시기
Designation Procedure and Timeline

카자흐스탄은 지난달 송출국 지정 절차 중 가장 어려운 서면 심사를 통과했습니다. 정부는 내년 현장 조사 및 최종 심의를 거쳐 MOU를 체결하고 근로자 입국을 허가할 예정입니다. (Kazakhstan passed the document review last month, which is known as the most difficult stage to pass in the sending country designation process. The government will conduct an on-site survey and final review next year, sign an MOU, and permit workers' entry.)

정부는 카자흐스탄 근로자의 입국 시기를 2027년으로 예상하며, 이는 17번째 송출국인 타지키스탄처럼 MOU 체결 후 약 1년 뒤에 입국이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The government anticipates the entry of Kazakh workers around 2027. Similar to the case of Tajikistan, the 17th sending country, entry is expected to occur about a year after the MOU is signed.)

고용허가제의 역할과 확대
The Role and Expansion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고용허가제는 2004년 도입되어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와 외국인 근로자 처우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근로자는 한국에서 최소 4년 10개월 일할 수 있으며, 올해 외국인 근로자 규모는 최대 13만 명으로 3년 만에 두 배 확대되었습니다. (The EPS is a system introduced in 2004 to resolve the labor shortage in SMEs and improve foreign workers' conditions. EPS workers can work in Korea for a minimum of 4 years and 10 months, and the scale of foreign workers this year has doubled in three years to a maximum of 130,000 people.)

송출국이 18곳으로 늘어나면 중소기업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이 더 수월해질 전망입니다. (As the number of sending countries increases to 18,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come easier for SMEs to hire foreign workers.)

* 관련 글: 한국 직장에서 쓰는 진짜 한국어 (Real Korean Used in Korean Workplaces)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 투자로 한국어 학습에 힘내세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popular & loved

Topik writing type no.53! How to prepare?

Indepth Korea_K-food, 이제 일상 간식까지 인기! (K-Food Tourist Snack Trend)

🛣️Mastering Korean / 한국어 장소 부사 : 여기, 저기, 거기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① 존댓말 압존법

TOPIK60_DAY29 : 유추하다, 짐작하다, ~(으)면

Confused Korean Grammar: ~거든요, ~(으)면, ~ㄹ/을지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