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 : 복습 및 모의고사_ Mock test #2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2차 모의고사
TOPIK Trap-Breaking 30-Day Strategy: Mock Test 2
주제: 실전 모의고사 (10문제) Topic: Practical Mock Test (10 Questions)
1일차부터 29일차까지 학습한 핵심 함정 유형을 총정리하는 2차 모의고사 시간입니다. 단순한 지식 복습을 넘어, 실제 시험 환경처럼 시간을 재고 문제를 풀어보며 자신의 실력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모의고사는 지난 프로그램에서 다루었던 유사 의미/동음이의어, 맥락 파악, 인과관계 혼동, 그럴듯한 오답, 역접 표현, 문장 배열 등 다양한 함정 유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This is the second mock test to review and consolidate the core trap types you've studied from Day 1 to Day 29. Beyond simply reviewing knowledge, it's crucial to time yourself and solve the problems as if you're in a real test environment to accurately assess your skills. This mock test includes a variety of trap types covered in the previous program, such as similar meanings/homonyms, context comprehension, cause-and-effect confusion, plausible incorrect answers, adversative expressions, and sentence ordering.
실전 문제 (10문제) Practical Problems (10 Questions)
문제를 꼼꼼히 읽고 정답을 고르세요. (Select the correct answer by reading the questions carefully.)
세트 1. (1-2) 다음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가장 비슷한 것을 고르시오.
1. 저는 최근에 개과천선하여 술을 끊고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 ① 일장춘몽하여
- ② 막무가내하여
- ③ 회심하여
- ④ 유아독존하여
2. 부하 직원의 실수로 프로젝트가 실패하자, 부장님은 노발대발했다.
- ① 감언이설했다
- ② 대성통곡했다
- ③ 흥청망청했다
- ④ 몹시 화를 냈다
해설 및 분석
1. 정답: ③
Solution: '개과천선(改過遷善)'은 '잘못을 뉘우치고 착한 사람으로 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회심(回心)하다'는 '마음을 돌이켜 잘못을 뉘우치다'라는 뜻으로, 개과천선과 가장 유사한 의미를 가집니다. 다른 보기는 의미가 전혀 다릅니다. 일장춘몽(一場春夢): 헛된 꿈이나 덧없는 인생. 막무가내(莫無可奈): 억지를 부려 도저히 어찌할 수 없는 상태. 유아독존(唯我獨尊): 세상에 오직 나만이 홀로 높다고 생각하는 오만한 태도.
Analysis: '개과천선' means 'to change one's ways and become a good person.' '회심(回心)하다' means 'to turn one's mind and repent for one's wrongdoings,' which is the most similar in meaning. The other options have completely different meanings. 일장춘몽(One-night's spring dream): a vain dream or fleeting life. 막무가내(No way to handle): stubbornly unmanageable. 유아독존(Only I am supreme): an arrogant attitude of believing oneself to be the only one of importance.
함정 포인트 (Trap Point): 한자성어는 정확한 의미를 모르면 문맥으로도 유추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유사 의미/동음이의어 함정은 정확한 뜻을 알고 있는지 묻는 문제이므로, 어휘를 외울 때 한자의 의미를 함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rap Point: Four-character idioms (사자성어) are often difficult to infer from context alone if you don't know their precise meaning. This is a similar meaning/homonym trap, so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when you memorize the vocabulary.
2. 정답: ④
Solution: '노발대발(怒發大發)하다'는 '매우 크게 화를 내다'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몹시 화를 냈다'가 가장 비슷한 의미를 가집니다. '감언이설(甘言利說)하다'는 '달콤한 말로 남의 비위를 맞추다'라는 뜻이고, '대성통곡(大聲痛哭)하다'는 '매우 크게 울다', '흥청망청하다'는 '돈이나 시간을 함부로 쓰다'라는 뜻입니다.
Analysis: '노발대발(怒發大發)하다' means 'to become extremely angry.' Therefore, '몹시 화를 냈다' (became extremely angry) is the most similar in meaning. '감언이설(Sweet words and profitable talk)' means 'to flatter someone with sweet words,' '대성통곡(Great voice, painful cry)' means 'to cry very loudly,' and '흥청망청(Spend lavishly)' means 'to spend money or time recklessly.'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 문제는 어휘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문제입니다. '노발대발'의 '노(怒)'가 '성낼 노'라는 한자임을 알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대성통곡'과 같이 비슷해 보이는 표현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Trap Point: This question tests whether you have a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vocabulary's meaning. If you know that '노(怒)' in '노발대발' is the Chinese character for 'anger,' you can solve it easily. You must be careful not to be misled by similar-looking expressions like '대성통곡.'
세트 2. (3-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최근 연구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면의 질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가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나) 그러나 중요한 것은 스마트폰 사용 자체를 무조건 줄이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시간대에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다. (다) 특히, 잠자리에 들기 2시간 전부터는 스마트폰을 멀리하는 것이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라) 밤늦게까지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멜라토닌 분비가 방해받아 잠들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3. 위 글의 요지로 가장 알맞은 것은?
- ① 스마트폰 사용을 완전히 중단해야 한다.
- ② 스마트폰의 블루라이트가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한다.
- ③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된다.
- ④ 스마트폰 사용 시간대를 조절해야 숙면을 취할 수 있다.
4. 위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 ①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하면 잠을 설치기 쉽다.
- ② 멜라토닌이 숙면을 방해하는 물질이다.
- ③ 잠들기 전에 스마트폰을 보면 잠들기 어렵다.
- ④ 밤에 스마트폰을 보는 습관은 고치는 것이 좋다.
해설 및 분석
3. 정답: ④
Solution: 이 글의 핵심은 '스마트폰을 완전히 끊으라'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시간대에 사용하라'는 것입니다. 특히 (나) 문장의 "그러나"라는 역접 접속사가 글의 핵심 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스마트폰 사용 자체의 문제보다 사용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사용 시간대를 조절해야 숙면을 취할 수 있다'는 ④가 가장 정확한 요지입니다.
Analysis: The core point of this text is not "completely stop using your smartphone," but "use it at the appropriate time." The adversative conjunction "그러나 (however)" in sentence (나) introduces the main topic of the text.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sage habits over the problem of smartphone use itself, so ④, "You can get a good night's sleep by adjusting the time you use your smartphone," is the most accurate main poin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 문제는 '부분과 전체 혼동' 함정과 '역접의 묘미' 함정이 결합된 유형입니다. 지문의 첫 문장만 보면 ①이나 ②가 정답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러나" 이후에 등장하는 문장이 글의 전체적인 결론을 이끌어냅니다. 지문의 전체적인 흐름을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Trap Point: This question is a combination of the 'part vs. whole confusion' trap and the 'twist of a reverse conjunction' trap. Looking only at the first sentence, ① or ② might seem like the correct answer, but the sentence that appears after "그러나 (however)" leads to the overall conclusion of the text. You must not miss the overall flow of the passage.
4. 정답: ②
Solution: ①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하면 수면의 질이 저하된다고 했으므로 일치합니다. ③ 잠자리에 들기 2시간 전부터 스마트폰을 멀리해야 한다고 했으므로, 잠들기 전에 스마트폰을 보면 잠들기 어렵다는 내용과 일치합니다. ④ 밤늦게까지 사용하면 멜라토닌 분비가 방해받으므로, 고치는 것이 좋다는 내용과 일치합니다. 그러나 ②는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가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한다고 했으므로 멜라토닌은 숙면을 돕는 물질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멜라토닌이 숙면을 방해하는 물질'이라는 내용은 글의 내용과 반대됩니다.
Analysis: ① It is consistent with the text that using a smartphone for a long time lowers the quality of sleep. ③ It is consistent with the text that you should stay away from your smartphone for at least 2 hours before bed, so it is difficult to fall asleep if you use it before bed. ④ It is consistent that it is better to break the habit of using a smartphone at night because it hinders melatonin secretion. However, ② states that 'the blue light from smartphones suppresses melatonin secretion,' which means melatonin is a substance that helps with a good night's sleep. Therefore, the statement 'melatonin is a substance that hinders a good night's sleep' is contrary to the content of the tex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 문제는 '내용 일치/불일치 미세 차이 함정'입니다. 지문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선택지의 내용이 지문의 어떤 부분과 관련되는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멜라토닌'과 같이 지문에 직접 언급된 단어를 활용해 정오답을 교묘하게 뒤집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Trap Point: This question is a 'subtle difference in content match/mismatch' trap. You must accurately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passage and carefully check how the content of each option relates to the passage. Be especially careful because often, direct words from the passage, like 'melatonin,' are used to cleverly reverse the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세트 3. (5-6) 다음 대화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마이크: 안녕하세요, 박민수 대리님. 어제 보내주신 기획안을 다 읽어봤습니다. 아주 훌륭한데요.
박민수 대리: 아, 마이크 씨. 감사합니다. 그런데 혹시 혹평은 없으셨나요?
마이크: 솔직히 말하면, 기획안의 큰 그림은 정말 좋았습니다. 하지만 일부 세부적인 예산 부분이 조금 비현실적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박민수 대리: 아, 그 부분은 저도 미처 신경 쓰지 못했네요. 역시 마이크 씨는 세심하십니다. 제가 그 부분을 다시 한번 검토해 보겠습니다.
5. 윗글에서 박민수 대리가 마이크의 말을 듣고 느꼈을 감정은?
- ① 기획안을 칭찬받아 매우 기쁘다.
- ② 예기치 못한 비판에 당황하고 있다.
- ③ 마이크의 솔직함에 불쾌함을 느끼고 있다.
- ④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인정하고 감사하게 생각한다.
6. 밑줄 친 '미처'와 바꾸어 쓸 수 있는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미리
- ② 간신히
- ③ 제대로
- ④ 충분히
해설 및 분석
5. 정답: ④
Solution: 마이크가 기획안의 부족한 점을 지적했음에도 불구하고, 박민수 대리는 "미처 신경 쓰지 못했네요"라며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역시 마이크 씨는 세심하십니다"라며 칭찬까지 합니다. 이는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겸허하게 인정하고, 솔직하게 조언해 준 마이크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Analysis: Even after Mike pointed out the shortcomings of the proposal, Deputy Park acknowledges his mistake by saying, "I hadn't even thought of that," and even compliments Mike by saying, "You are so meticulous, Mike." This expresses a humble acceptance of his own weaknesses and gratitude toward Mike for his honest advice.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 문제는 '말의 의도 파악' 함정 유형입니다. 상대방의 비판에 대해 당황하거나 불쾌해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박민수 대리의 반응은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상대방의 장점을 칭찬하는, 진심을 담은 감사의 표현입니다. 대화의 표면적인 내용보다 숨겨진 의도와 감정을 읽어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Trap Point: This question is a 'grasping the speaker's intention' trap. While it's common to be flustered or upset by criticism, Deputy Park's reaction is an expression of sincere gratitude, acknowledging his own shortcomings and complimenting the other person's strengths. It requires practice to read the hidden intentions and emotions rather than just the surface-level content of the conversation.
6. 정답: ③
Solution: '미처'는 '미리, 충분히 또는 제대로 갖추어'라는 뜻으로, 주로 뒤에 부정적인 의미의 문장("~하지 못하다")과 함께 쓰여 '미리 생각하지 못했다', '제대로 신경 쓰지 못했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제대로'가 가장 유사한 의미를 가집니다. '미리'는 문맥상 어색하고, '간신히'나 '충분히'는 정반대의 의미를 가집니다.
Analysis: '미처' means 'in advance, sufficiently, or properly,' and is primarily used with a negative sentence ("~하지 못하다") to mean 'could not think of in advance' or 'could not properly pay attention to.' Therefore, '제대로' (properly/correctly) has the most similar meaning. '미리' (in advance) is awkward in this context, and '간신히' (barely) or '충분히' (sufficiently) have the opposite meaning.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 문제는 부사어의 미묘한 의미 차이를 묻는 문제입니다. '미처'는 항상 부정문과 함께 쓰여 '완전히, 충분히'의 뜻을 나타낸다는 점을 파악해야 합니다. 문법적 활용을 통해 어휘의 의미를 유추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Trap Point: This question asks about the subtle meaning differences of adverbs. You must grasp that '미처' is always used with a negative sentence to convey the meaning of 'completely' or 'sufficiently.' Practice is needed to infer the meaning of a word through its grammatical usage.
세트 4. (7-8) 다음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다른 것을 고르시오.
7. 내일 회의에 필요한 자료는 제가 만들어 놓겠습니다.
- ① 제작해 놓겠습니다.
- ② 준비해 놓겠습니다.
- ③ 보관해 두겠습니다.
- ④ 작성해 놓겠습니다.
8. 갑작스러운 폭우로 인해 행사는 취소될 수밖에 없었다.
- ① 취소될 뻔했다.
- ② 취소될 수 없었다.
- ③ 취소될 수밖에 없다.
- ④ 취소될 리가 없다.
해설 및 분석
7. 정답: ③
Solution: '만들어 놓겠습니다'는 '만들다'와 '놓다'가 결합된 표현으로, 어떤 행동을 해놓고 그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즉, '제작해서', '준비해서', '작성해서' 보관해 두겠다는 뜻입니다. '보관해 두겠습니다'는 '만들어 놓다'의 의미에 포함되지만, 나머지 ①, ②, ④는 '만들어 놓다'와 직접적으로 유사한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 ③ '보관해 두겠습니다'는 '만들다'의 의미가 아닌, '만든 것을 저장해 두는 행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가장 의미가 다릅니다.
Analysis: '만들어 놓겠습니다' is a combination of '만들다' (to make) and '놓다' (to put/place), meaning "to do an action and keep that state." It implies making, preparing, or writing something and then keeping it. While '보관해 두겠습니다' (I will keep it stored) is a part of this meaning, options ①, ②, and ④ are more direct synonyms. On the other hand, ③ '보관해 두겠습니다' focuses on the act of storing something that has been made, rather than the act of making itself, making it the most different in meaning.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 문제는 동사-보조 동사 결합 표현의 미묘한 의미 차이를 묻는 문제입니다. '-어 놓다'의 의미는 '결과 상태의 유지'이므로, '만든다'는 행위 자체가 아닌, '만들어 둔' 상태에 초점을 맞추는 보기를 찾아야 합니다. '제작하다', '준비하다', '작성하다'는 모두 '만들다'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므로, 이들은 정답이 아닙니다. 이처럼 미세한 의미 차이가 정오답을 가르는 함정입니다.
Trap Point: This question is about the subtle meaning differences of verb-auxiliary verb combinations. The meaning of '-어 놓다' is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result,' so you must look for an option that focuses on the state of 'being made' rather than the act of 'making' itself. '제작하다' (to produce), '준비하다' (to prepare), and '작성하다' (to write) all have meanings similar to '만들다' (to make), so they are not the correct answer. The subtle difference in meaning like this is a trap that divides the correct from the incorrect answers.
8. 정답: ①
Solution: '취소될 수밖에 없었다'는 '어쩔 수 없이, 반드시 ~하게 되다'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즉, 실제로 취소되었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취소될 뻔했다'는 '취소될 위기에 처했지만, 실제로는 취소되지 않았다'는 뜻으로, 의미가 정반대입니다. 나머지 '취소될 수 없었다'나 '취소될 리가 없다' 역시 문맥상 '취소될 수밖에 없다'와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Analysis: '취소될 수밖에 없었다' means 'it had no choice but to be canceled.' This implies that it was actually canceled. However, '취소될 뻔했다' means 'it was on the verge of being canceled, but it wasn't actually canceled,' which is the exact opposite meaning. '취소될 수 없었다' (it couldn't be canceled) or '취소될 리가 없다' (there's no way it would be canceled) also have completely different meanings from '취소될 수밖에 없다.'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 문제는 문법적 표현의 미세한 의미 차이를 묻는 문제입니다. '-ㄹ 수밖에 없다'와 '-ㄹ 뻔했다'는 형태가 유사해 보이지만, 하나는 '필연적 결과'를, 다른 하나는 '실행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는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닙니다. 이처럼 유사한 문법 형태에 속지 않도록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rap Point: This question is about the subtle meaning differences of grammatical expressions. '-ㄹ 수밖에 없다' and '-ㄹ 뻔했다' may seem similar in form, but one expresses an 'inevitable outcome' while the other expresses an 'unrealized outcome.' It's important to grasp the exact meaning to avoid being tricked by similar grammatical forms.
세트 5. (9-10)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9. 다음 글을 순서대로 바르게 배열한 것을 고르시오.
(가) 그 결과, 생산성은 오히려 떨어지고 직원들의 사기도 저하되었다.
(나) 경영진은 비용 절감을 위해 업무 강도를 높이고 인원을 감축했다.
(다) 이는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라) 단기적으로는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를 보였다.
- ① (가)-(나)-(라)-(다)
- ② (나)-(라)-(가)-(다)
- ③ (다)-(나)-(가)-(라)
- ④ (라)-(나)-(가)-(다)
10. 다음 밑줄 친 부분의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팀장이 제시한 새로운 아이디어는 획기적이었지만, 현실적으로는 실행하기 어려운 점이 많았다.
- ① 아이디어가 훌륭해서 즉시 실행했다.
- ② 아이디어가 좋았으나 한계도 있었다.
- ③ 아이디어에 대한 문제점만 있었다.
- ④ 아이디어가 좋아서 팀원 모두가 반대했다.
해설 및 분석
9. 정답: ②
Solution: 이 글은 어떤 상황과 그에 따른 결과, 그리고 최종적인 결론을 제시하는 인과 관계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 '경영진이 ~했다'는 원인 행위의 시작입니다.
(라): '단기적으로는 ~효과를 보였다'는 (나)의 행위에 대한 단기적 결과입니다.
(가): '그 결과, ~떨어지고~ 저하되었다'는 (나)의 행위에 대한 장기적, 부정적 결과입니다.
(다): '이는 ~방해하는 요인이 되었다'는 (가)에서 제시된 부정적 결과를 종합하는 최종 결론입니다.
따라서 가장 자연스러운 순서는 (나)→(라)→(가)→(다)입니다.
Analysis: This text has a cause-and-effect structure that presents a situation, its results, and a final conclusion.
(나): 'The management ~did' is the beginning of the causal action.
(라): 'In the short term, it showed the effect of ~' is the short-term result of the action in (나).
(가): 'As a result, ~fell and ~deteriorated' is the long-term, negative result of the action in (나).
(다): 'This became a factor hindering ~' is the final conclusion that summarizes the negative results presented in (가).
Therefore, the most natural order is (나)→(라)→(가)→(다).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 문제는 문장의 흐름과 논리적 관계(인과 관계)를 파악하는 문제입니다. 특히, '그 결과', '이는'과 같은 연결어를 통해 문장 간의 관계를 유추해야 합니다. 시간적 순서(단기 → 장기)와 논리적 인과 관계를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Trap Point: This question requires you to grasp the flow of the sentences and their logical relationships (cause and effect). In particular, you must infer the relationship between sentences through linking words like '그 결과' (as a result) and '이는' (this). It is necessary to practice considering both the temporal order (short-term → long-term) and the logical cause-and-effect relationship.
10. 정답: ②
Solution: '~였지만'은 앞 문장과 뒷 문장이 서로 상반된 내용임을 나타내는 역접의 의미를 가집니다. 앞 문장에서 아이디어가 '획기적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뒷 문장에서는 '실행하기 어려운 점'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디어가 좋았으나 한계도 있었다'는 ②가 가장 정확한 의미를 전달합니다.
Analysis: '~였지만' indicates a reversal, meaning the preceding and following sentences have contrasting content. In the first part, the idea is positively evaluated as '획기적이었다' (groundbreaking), but in the second part, a negative evaluation is given: '실행하기 어려운 점' (difficult to implement). Therefore, ②, 'The idea was good, but it also had limitations,' conveys the most accurate meaning.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 문제는 연결어미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문제입니다. '지만'은 앞뒤 내용이 양립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며, 한쪽의 긍정적 평가와 다른 한쪽의 부정적 평가가 모두 공존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문제점만 있었다'는 ③과 같이 한쪽으로 치우친 해석을 경계해야 합니다.
Trap Point: This question tests your understanding of the precise meaning of a connective ending. '지만' is used when the preceding and following content can coexist, indicating that both a positive and a negative evaluation can exist simultaneously. You should be wary of one-sided interpretations, such as option ③, which states 'there were only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