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OPIK 30-Day Trap-Breaking Project: Review Mock Test
이 시리즈는 TOPIK에서 틀리기 쉬운 함정문제를 분석하고 극복하는 방법을 전달하는 데 있습니다.
This series aims to analyze and overcome the common trap questions in the TOPIK exam.
TOPIK 함정 모의고사 1회차
TOPIK Mock Exam No. 1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1일차부터 10일차까지의 핵심 함정 유형을 복습해 봅시다. 다음 문제들을 풀고 자신의 약점을 진단해 보세요.
Let's review the key trap types from Days 1 to 10 of the TOPIK 30-Day Trap-Breaking Project.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and diagnose your weaknesses.
문제 1 (1일차: '비슷하지만 다른 의미' 함정)
다음 밑줄 친 부분과 바꿔 쓸 수 있는 것은?
A: 김 대리, 회의 자료 결재 올리셨습니까?
B: 네, 부장님. 방금 올렸습니다.
① 결제 ② 결제하다 ③ 승인 ④ 서류
정답 및 해설
정답: ③ 승인
한국어 해설: '결재(決裁)'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이 제출한 안건을 허가하거나 승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문제에서는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서류에 대한 '승인' 여부를 묻고 있으므로, '승인'이 가장 적절한 대체어입니다. '결제(決濟)'는 대금을 지불하는 행위를 의미하는 전혀 다른 단어입니다.
English Explanation: '결재(決裁)' means approval or sanction by a superior for a subordinate's proposal. In the problem, the superior is asking for 'approval' of the document, so '승인' (approval) is the most appropriate substitute. '결제(決濟)' means payment for goods or services, which is a completely different word.
Trap Point: TOPIK 시험에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뜻이 다른 어휘를 활용한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결재'와 '결제'는 발음이 같아 보이지만 의미가 완전히 다릅니다. 문맥을 통해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rap Point: In the TOPIK exam, questions using words with similar pronunciation but different meanings are common. '결재' (gyeoljae) and '결제' (gyeolje) sound alike but have completely different meanings.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correct meaning through the context.
문제 2 (3일차: '결과만 보고 원인 오해' 함정)
다음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시오.
최근 1인 가구의 증가로 소형 가전제품의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는 가성비를 중시하는 젊은 세대의 소비 성향과도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소형 가전제품의 유행이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증가의 결과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① 1인 가구 증가가 소형 가전 판매량 급증의 한 원인이다.
② 젊은 세대는 가성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③ 소형 가전의 유행은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증가를 낳았다.
④ 소형 가전 판매량 증가는 여러 요인과 관련이 있다.
정답 및 해설
정답: ③ 소형 가전의 유행은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증가를 낳았다.
한국어 해설: 지문에서 '일부 전문가들은 소형 가전제품의 유행이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 증가의 결과라고 주장하기도 한다'고 했습니다. 이는 '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가 원인이고, '소형 가전의 유행'이 결과임을 말합니다. 따라서 ③번은 원인과 결과를 반대로 설명하고 있어 내용과 다릅니다.
English Explanation: The text states that 'some experts also argue that the popularity of small home appliances is a result of increased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This means that 'increased interest in the environment' is the cause, and 'the popularity of small appliances' is the result. Therefore, option ③ reverses the cause and effect, making it incorrect.
Trap Point: 지문의 인과관계를 교묘하게 뒤바꿔 놓은 선택지는 자주 나오는 함정입니다. 'A는 B의 결과이다'를 'B는 A를 낳았다'처럼 바꿔서 틀린 문장을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인과 결과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Trap Point: Choices that subtly reverse the cause and effect of the text are a common trap. Sentences like 'A is a result of B' are often rephrased incorrectly as 'B gave rise to A'. You mus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cause and effect.
문제 3 (5일차: '반전의 묘미' 함정)
다음 글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나는 한국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하면서 모든 것이 순조로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동료들은 친절했고, 업무도 크게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것은 회식 문화였다. 처음에는 즐거웠지만, 잦은 회식과 술자리에 익숙하지 않아 점점 힘들었다.
① 한국 직장생활은 순조롭다.
② 한국 동료들은 매우 친절하다.
③ 회식 문화는 한국 직장생활의 큰 즐거움이다.
④ 한국 직장 문화의 어려움은 회식에 있다.
정답 및 해설
정답: ④ 한국 직장 문화의 어려움은 회식에 있다.
한국어 해설: 글 초반에는 순조로운 직장 생활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하지만'이라는 역접 접속사 이후에 글의 중심 내용이 전환됩니다. 글쓴이가 진정으로 말하고 싶었던 것은 순조로운 직장 생활이 아닌, 회식 문화로 인한 어려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번입니다.
English Explanation: The beginning of the text talks about smooth work life, but the main point changes after the adversative conjunction '하지만' (however). What the writer truly wanted to convey was not a smooth work life, but the difficulty caused by the office dinner culture. Therefore, the answer is ④.
Trap Point: '하지만', '그러나', '그런데' 같은 역접 접속사가 나오면 글의 흐름이 반전된다는 신호입니다. 이 부분을 놓치면 앞부분의 내용만 기억해 오답을 고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Trap Point: Adversative conjunctions like '하지만', '그러나', and '그런데' signal a reversal in the text's flow. If you miss this part, you might choose an incorrect answer based only on the initial content, so be careful.
문제 4 (8일차: '관점 변경' 함정)
다음 글을 쓴 사람의 관점과 다른 것은?
이번 프로젝트는 실패로 끝났지만, 나는 이 경험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다. 실패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위한 중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부족했던 점을 보완해서 다음에는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
①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이다.
② 실패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은 많다.
③ 실패는 더 나은 시작을 위한 발판이다.
④ 이번 프로젝트는 더 이상의 희망이 없다.
정답 및 해설
정답: ④ 이번 프로젝트는 더 이상의 희망이 없다.
한국어 해설: 글쓴이는 프로젝트의 실패를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이를 통해 배우고 다음을 기약하겠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④번은 부정적인 관점을 담고 있어, 글쓴이의 생각과 완전히 다릅니다.
English Explanation: The writer views the project's failure from a positive perspective, stating that they learned from it and will try again. However, option ④ expresses a negative perspective,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writer's view.
Trap Point: Choices that change the perspective (positive, negative, objective, etc.) of the text are a common trap. You must accurately grasp the writer's emotions and attitude.
Trap Point: Choices that change the perspective (positive, negative, objective, etc.) of the text are a common trap. You must accurately grasp the writer's emotions and attitude.
문제 5 (13일차: '문장 순서 배열' 함정)
다음을 순서대로 맞게 배열한 것을 고르시오.
(가) 그러므로, 이 문제는 단기적인 해결책보다는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나) 최근 환경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다) 이는 무분별한 산업 개발과 개인의 무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① (나) - (가) - (다)
② (가) - (나) - (다)
③ (나) - (다) - (가)
④ (다) - (나) - (가)
정답 및 해설
정답: ③ (나) - (다) - (가)
한국어 해설: 글의 첫 문장은 화제를 제시해야 하므로 (나)가 가장 먼저 와야 합니다. (다)의 '이는'은 (나)의 '환경 오염 문제'를 가리키므로 (나) 다음에 와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가)의 '그러므로'는 앞 문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므로 가장 마지막에 오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English Explanation: The first sentence of the text should present the topic, so (나) must come first. '이는' (this) in (다) refers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in (나), so (다) should follow (나). Lastly, '그러므로' (therefore) in (가) draws a conclusion based on the preceding sentences, making it natural for it to come at the end.
Trap Point: 연결어나 지시어를 잘 활용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하지만', '이것', '그것'과 같은 단어는 앞뒤 문장의 논리적 연결을 보여주는 중요한 힌트입니다. 이 단어들을 잘 파악하면 함정을 피할 수 있습니다.
Trap Point: You must make good use of connective words and demonstratives. Words like '그러므로' (therefore), '하지만' (however), '이것' (this), and '그것' (that) are important clues that show the logical connection between sentences. By understanding these words well, you can avoid traps.
문제 6 (15일차: '내용 일치/불일치' 미세 차이 함정)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새로 개발된 스마트폰은 기존 모델보다 배터리 수명이 20% 늘어났고, 무게는 10% 가벼워졌다. 특히 카메라 기능이 대폭 개선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었다. 가격은 기존 모델과 동일하다.
① 기존 모델보다 배터리 수명이 길다.
② 무게가 10% 줄었다.
③ 어두운 곳에서도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다.
④ 기존 모델보다 가격이 싸다.
정답 및 해설
정답: ④ 기존 모델보다 가격이 싸다.
한국어 해설: 지문에서 '가격은 기존 모델과 동일하다'라고 명확히 언급했습니다. ①, ②, ③은 모두 지문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④번은 지문의 내용과 미세하게 다른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정답입니다.
English Explanation: The text explicitly states that 'The price is the same as the existing model.' Options ①, ②, and ③ all match the content of the text. Therefore, option ④, which provides information that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text, is the correct answer.
Trap Point: '내용 일치/불일치' 문제는 미세한 수치나 단어 차이로 함정을 만듭니다. '늘어났다'와 '줄었다'를 헷갈리게 하거나, '동일하다'를 '저렴하다'로 바꿔서 오답을 유도합니다. 지문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Trap Point: 'Content match/mismatch' questions create traps with subtle differences in numbers or words. They may confuse 'increased' with 'decreased' or change 'the same' to 'cheaper' to lead to an incorrect answer. You must check the text carefully.
문제 7 (18일차: '문법 오류' 함정)
다음 중 문법적으로 옳은 문장을 고르시오.
① 사장님께서 저에게 선물을 줍니다.
② 그 사람이 나에게 선물을 주셨다.
③ 부모님께서는 나에게 선물을 주셨습니다.
④ 제가 부모님에게 선물을 주셨습니다.
정답 및 해설
정답: ③ 부모님께서는 나에게 선물을 주셨습니다.
한국어 해설: 문장 내 주어, 목적어, 동사에 맞는 적절한 높임말과 격조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①은 주어 '사장님'에 높임 표현 '주셨습니다'를 사용해야 합니다. ②는 주어 '그 사람'이 높임의 대상이 아니므로 '주셨다'가 아닌 '주었다'가 맞습니다. ④는 주어 '제가'와 동사 '주셨습니다'가 호응하지 않습니다. '제가 부모님께 선물을 드렸습니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English Explanation: You must use appropriate honorifics and particles that match the subject, object, and verb in the sentence. In ①, the subject '사장님' (boss) requires the honorific form '주셨습니다'. In ②, the subject '그 사람' (that person) is not an object of honorifics, so '주셨다' should be '주었다'. In ④, the subject '제가' (I)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verb '주셨습니다'. The correct expression is '제가 부모님께 선물을 드렸습니다' (I gave a gift to my parents).
Trap Point: TOPIK 쓰기 및 읽기 영역에서는 주체 높임, 객체 높임, 상대 높임 등 높임말 사용에 관한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주어, 목적어에 따라 동사를 적절히 바꾸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Trap Point: Questions about the use of honorifics (subject, object, relative honorifics) frequently appear in the TOPIK writing and reading sections. You must practice appropriately changing verbs according to the subject and object.
문제 8 (20일차: '긴 문장' 함정)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은?
현대 사회는 과거에 비해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높아졌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누구나 손쉽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쉽게 얻은 정보는 그만큼 검증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정보를 그대로 믿었다가는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일수록 정보의 진위를 스스로 판단하고 분별하는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① 현대 사회에서는 정보가 매우 중요해졌다.
② 스마트폰은 우리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③ 정보가 많아질수록 정보의 진위를 파악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진다.
④ 정보의 홍수 속에서 우리는 항상 조심해야 한다.
정답 및 해설
정답: ③ 정보가 많아질수록 정보의 진위를 파악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진다.
한국어 해설: 긴 문장에서 핵심 내용을 파악하는 문제입니다. 글의 초반은 정보 접근성이 높아졌다는 현상을 설명하고, '그러나' 이후에 문제점을 제시합니다. 마지막 문장인 '따라서 ~ 중요하다'라는 결론이 글의 핵심입니다. ③번은 이 핵심 내용을 정확하게 요약하고 있습니다.
English Explanation: This question requires you to grasp the core content of a long text. The beginning of the text explains the phenomenon of increased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after '그러나' (however), it presents a problem. The last sentence, '따라서 ~ 중요하다' (Therefore ~ is important), is the key conclusion of the text. Option ③ accurately summarizes this core content.
Trap Point: 긴 글에서는 현상 설명과 핵심 주제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그러므로'와 같이 결론을 나타내는 접속사 뒤에 나오는 문장이 글의 중심 내용인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 깊게 읽어야 합니다.
Trap Point: In long texts,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description of a phenomenon and the core topic. Pay close attention to sentences that follow conjunctions indicating a conclusion, such as '따라서' (therefore) or '그러므로' (consequently), as they often contain the main point of the text.
문제 9 (22일차: '속담' 함정)
다음 대화에서 Mike가 하고 싶은 말로 가장 알맞은 속담은?
Grace: 이번 시험 준비를 정말 열심히 했는데, 결과는 너무 아쉽네요.
Mike: 괜찮아요. 모든 일이 다 잘 될 수는 없잖아요. 실패를 통해 다음에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게 중요하죠.
①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②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
③ 시작이 반이다.
④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이다.
정답 및 해설
정답: ④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이다.
한국어 해설: Mike의 말은 실패의 경험이 미래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이다'라는 속담의 뜻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English Explanation: Mike's words mean that the experience of failure become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success. This perfectly matches the meaning of the proverb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이다' (Failure is the mother of success).
Trap Point: 속담 문제는 속담의 의미와 맥락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속담의 단어 하나하나에 집중하기보다는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Trap Point: For proverb questions, it's important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roverb. You should practice grasping the overall meaning rather than focusing on each individual word of the proverb.
문제 10 (29일차: '동음이의어' 함정)
다음 밑줄 친 부분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은?
어제 밤 늦게까지 배를 탔더니 피곤하네요.
① 나는 어릴 때부터 배가 자주 아팠다.
② 그 사람에게서 배신감을 느꼈다.
③ 우리 모두 함께 배를 타고 섬으로 가자.
④ 여름에는 시원한 배를 먹는 것이 좋다.
정답 및 해설
정답: ③ 우리 모두 함께 배를 타고 섬으로 가자.
한국어 해설: 밑줄 친 '배'는 '강이나 바다 위를 오가는 운송 수단'을 의미합니다. ①, ②, ④의 '배'는 각각 '신체의 일부', '배신', '과일'을 의미하는 동음이의어입니다. 따라서 운송 수단으로서의 '배'를 의미하는 ③이 정답입니다.
English Explanation: The underlined '배' means 'a means of transport that travels on a river or sea.' The '배' in ①, ②, and ④ are homonyms meaning 'a part of the body,' 'betrayal,' and 'a type of fruit,' respectively. Therefore, ③, which means '배' as a means of transport, is the correct answer.
Trap Point: 동음이의어 함정은 문맥을 통해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유추하는 능력을 테스트합니다. 문맥을 잘 살피지 않으면 쉽게 틀릴 수 있습니다.
Trap Point: Homonym traps test your ability to infer the correct meaning of a word through context. It's easy to get it wrong if you don't carefully examine the context.
핵심 어휘 (Core Vocabulary)
결재 (決裁) [명사] : [gyeoljae] (noun) - 상급 기관의 승인이나 허가. (Approval or sanction from a superior authority.)
결제 (決濟) [명사] : [gyeolje] (noun) - 돈을 주고받아 거래를 끝냄. (The act of settling a payment.)
낭패 (狼狽) [명사] : [nangpae] (noun) - 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 매우 곤란하거나 딱한 처지. (A situation where things go wrong, leading to great difficulty or a predicament.)
연습문제: 다음 문장에서 올바른 단어를 고르시오.
팀장님께서는 ( 결재 / 결제 ) 서류를 확인하고 서명하셨다.
정답: 결재
핵심 문법 (Core Grammar)
~에 따르면 (according to~) : 어떤 정보의 출처나 근거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뒤에 오는 내용은 그 정보의 출처에 의해 보증됩니다.
(으)므로 (since/because) :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에 대한 이유나 원인이 됨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연습문제: 다음 빈칸에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오늘 날씨는 기상청 예보 ______ 맑을 것입니다.
① 에 따르면 ② 으므로 ③ 에서
정답: ① 에 따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