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28일차)
Conquer TOPIK Traps in 30 Days (Day 28)
주제: 읽기: '빈칸 채우기' 문맥적 뉘앙스 함정 공략
Topic: Reading: Conquering the 'Fill-in-the-Blank' Contextual Nuance Trap
28일차 프로그램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TOPIK 읽기 영역에서 가장 까다로운 유형 중 하나인 ‘빈칸 채우기’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특히, 단순한 어휘나 문법적 지식만으로는 풀 수 없는, 문맥의 미묘한 뉘앙스를 파악해야 하는 함정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것입니다.
Welcome to Day 28! Today, we will focus on one of the trickiest types of questions in the TOPIK reading section: 'fill-in-the-blank' problems. Specifically, we will analyze and learn how to solve trap questions that cannot be solved with simple vocabulary or grammatical knowledge alone, but require an understanding of the subtle nuances of the context.
세트 1: 실전 문제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우리 회사의 이번 신제품은 시장 반응이 긍정적이지만, 예상보다 생산 비용이 많이 들어서 수익성이 낮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품의 가격을 ( ).
(1) 낮춰야 할 필요가 있다.
(2) 인하해야만 한다.
(3)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올릴지 고민해야 한다.
(5) 재검토하는 게 좋겠다.
정답: (4) 올릴지 고민해야 한다.
함정 포인트 (Trap Point):
빈칸 앞에 있는 ‘따라서’라는 접속사를 보고 단순히 수익성이 낮으니 '가격을 낮춰서 더 많이 팔아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맥을 자세히 보면, ‘생산 비용이 많이 들어서 수익성이 낮다’는 원인이 제시됩니다. 이 경우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가격을 올려서 비용을 보충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The '따라서 (therefore)' at the beginning of the blank might lead you to think that because profitability is low, the price should be 'lowered' to sell more. However, looking closely at the context, the cause is 'high production costs leading to low profitability'. In this situation, to improve profitability, you must raise the price to cover the costs, not lower it.
세트 2: 실전 문제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새로운 팀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팀원들과 서로의 의견을 충분히 ( ), 성공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1) 나누지 않는다면
(2) 교환하면
(3) 공유하기만 하면
(4) 듣는다면
(5) 제시할 때
정답: (1) 나누지 않는다면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 문장은 ‘~다면’과 ‘어려울 것이다’라는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긍정적인 행위(의견 교환)가 이루어지면 긍정적인 결과(성공적인 결과)가 나와야 하는데, 뒤에 ‘어려울 것이다’라는 부정적 결과가 나왔습니다. 따라서 빈칸에는 부정적인 조건이 들어가야 합니다. 문장의 전체적인 논리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e sentence structure shows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using '~다면 (if)' and '어려울 것이다 (it will be difficult)'. A positive action (exchanging opinions) should lead to a positive outcome (successful result), but here a negative outcome ('it will be difficult') is presented. Therefore, the blank must contain a negative condition.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overall logical flow of the sentence.
세트 3: 실전 문제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그는 아무리 힘든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노력했다. 결국 그는 모두가 ( ) 목표를 이루는 데 성공했다.
(1) 가능하다고 생각했던
(2)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3) 당연하게 여겼던
(4) 쉽다고 생각했던
(5) 예상하지 못했던
정답: (2)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앞 문장에서 '아무리 힘든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노력했다'고 했으므로, 이는 목표 달성이 쉽지 않았음을 암시합니다. 이는 뒷문장의 '성공했다'라는 긍정적인 결과와 대비를 이룹니다. 따라서 '성공'이라는 결과는 모두가 어렵다고 생각했던 일이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The first sentence, 'he never gave up and tried until the end, no matter how difficult the situation,' implies that achieving the goal was not easy. This contrasts with the positive result 'succeeded' in the next sentence. Therefore, we can infer that the 'success' was something that everyone thought was impossible or difficult.
핵심 어휘 및 문법 복습
'~는 데' (in doing ~)
의미: 어떤 행위나 상황의 목적, 수단, 혹은 결과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Meaning: Used to indicate the purpose, means, or result of an action or situation.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It took a lot of time to solve this problem.)
여행을 가는 데 필요한 물건을 챙겼다. (I packed the things I need for the trip.)
재검토하다 (to re-examine, to review)
의미: 이미 검토했던 것을 다시 자세히 살펴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계획, 결정 등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때 사용합니다.
Meaning: To look at something that has already been examined again in detail. It is mainly used when reconsidering a plan or decision.
계획을 다시 재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We need to re-examine the plan.)
그의 제안을 재검토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How about re-examining his proposal?)
~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desirable to ~)
의미: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좋고 옳다고 판단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Meaning: An expression used when an action or state is judged to be good and righ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It is desirable to cooperate to solve the problem.)
너무 늦기 전에 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It would be desirable to depart before it gets too late.)
연습 문제
한국어 | 영어 |
---|---|
(1) 이 보고서 ______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요? (재검토하다) | (1) How long will it take to ______ this report? (to re-examine) |
(2) 이 프로젝트의 성공은 팀원들의 협력 ______ 달려 있다. (~는 데) | (2) The success of this project depends on the cooperation of the team members ______ . (in doing ~) |
(3) 갈등을 피하기 위해 대화를 ______ 것은 바람직하다. (~는 것이 바람직하다) | (3) It is desirable to have a conversation to avoid conflict. (it is desirable to ~) |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광고를 클릭해 주세요! 여러분의 작은 클릭이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힘이 됩니다. 😊
※ If this article was helpful, please click on the ad below! Your small click empowers us to create better con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