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해 우리는 (Our Beloved Summer) 속의 한국어(Korean) 탐험 : (4) -(으)ㄹ 것 같다
'그 해 우리는'으로 배우는 한국어
Learning Korean with 'Our Beloved Summer'
안녕하세요! 오늘은 SBS 드라마 '그 해 우리는'의 가슴 아픈 재회 장면을 통해 한국어 표현들을 배워볼게요. 끔찍하게 헤어졌던 최웅과 국연수는 10년 만에 비즈니스로 다시 만나게 됩니다. 억지로 시작된 두 번째 다큐멘터리 촬영, 그 속에서 서로의 진심을 확인하는 순간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Hello! Today, let's learn Korean expressions through the heart-wrenching reunion scene from the SBS drama 'Our Beloved Summer.' After a terrible breakup, Choi Woong and Kook Yeon-soo meet again after 10 years for business. Check out the video to witness the moment they confirm their true feelings amidst the forcibly restarted second documentary filming.
선행 학습: 꼭 알아야 할 한국어
Pre-learning: Essential Korean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영상에 나오는 주요 어휘와 문법 표현을 미리 배워두면 훨씬 더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어요!
Before we dive into the main content, you can learn more effectively and have more fun by pre-learning the key vocabulary and grammar expressions from the video!
보고 싶다
발음: [보고 십따]
품사: 동사구
의미: 'to miss someone' 또는 'to want to see someone'을 의미하는 아주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영상에서 최웅과 국연수 모두 서로에게 "보고 싶었어"라고 말하며 지난 시간 동안의 그리움을 표현합니다.
예시:
1. 멀리 있는 가족들이 너무 보고 싶어요. (I really miss my family who are far away.)
2. 어제 본 영화인데 또 보고 싶다. (I just saw that movie yesterday, but I want to see it again.)
상처
발음: [상처]
품사: 명사
의미: 신체적인 'wound'나 'injury'를 의미하기도 하고, 정신적인 'hurt'나 'scar'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영상의 대사에서는 "상처 같은 이름"이라며 과거의 아픈 기억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예시:
1. 넘어져서 무릎에 상처가 났어요. (I fell and got a wound on my knee.)
2. 그의 말은 나에게 큰 상처가 되었다. (His words hurt me deeply.)
항상
발음: [항상]
품사: 부사
의미: 'always' 또는 'all the time'을 의미합니다. 어떤 상태나 행동이 변함없이 계속됨을 나타냅니다. 영상에서 국연수는 "보고 싶었어, 항상"이라고 말하며 그리움이 계속되었음을 강조합니다.
예시:
1. 그는 항상 약속 시간을 잘 지켜요. (He is always on time for appointments.)
2. 저는 아침에 항상 커피를 마셔요. (I always drink coffee in the morning.)
-고 싶었다
의미: 과거에 무언가를 하고 싶었지만 하지 못했거나, 과거의 소망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동사 어간에 '-고 싶다'를 붙이고 과거형 '었다'를 더합니다. 'I wanted to...'의 의미입니다.
Meaning (English): This expression is used to indicate a past desire or something you wanted to do but couldn't. You attach '-고 싶다' to a verb stem and add the past tense '었다'. It means 'I wanted to...'.
예시:
1. 보고 싶었다, 국연수. (I missed you, Kook Yeon-soo.)
2. 어렸을 때 가수가 되고 싶었어요. (I wanted to be a singer when I was young.)
-(으)ㄹ 것 같다
의미: 어떤 상황에 대한 추측이나 자신의 의견을 부드럽게 말할 때 사용합니다. 'it seems like...' 또는 'I think...'의 의미를 가집니다.
Meaning (English): This is used to express a guess about a situation or to state one's opinion gently. It means 'it seems like...' or 'I think...'.
예시:
1. 근데 이제 알 것 같아. (But I think I know now.)
2. 내일은 비가 올 것 같아요. (I think it's going to rain tomorrow.)

K-드라마 대화 속 숨은 한국어
Hidden Korean in K-Drama Dialogue
이 영상에서 최웅과 국연수는 10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서로를 그리워했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한국 문화에서는 직접적인 애정 표현을 아끼는 경향이 있지만, 이별 후의 그리움은 '보고 싶다'는 말을 통해 솔직하게 드러나곤 합니다. 이 장면은 두 사람의 관계가 다시 시작될 수 있음을 암시하며 시청자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In this video, Choi Woong and Kook Yeon-soo realize they still missed each other despite 10 years having passed. In Korean culture, people tend to be reserved with direct expressions of affection, but the longing after a breakup is often honestly revealed through the words 'I miss you.' This scene leaves a lasting impression on viewers, hinting that their relationship could start anew.
박민수 대리님, 한국에서는 헤어진 연인에게 '보고 싶었다'고 솔직하게 말하는 것이 흔한가요? 정말 로맨틱한 것 같아요.
Deputy Park Min-su, is it common in Korea to honestly say 'I missed you' to an ex-lover? It seems so romantic.
네, 그레이스 씨. 모든 경우가 그렇진 않지만, 깊은 감정이 남아있다면 가능하죠. 특히 '그 해 우리는'처럼 애증의 관계였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미워하면서도 그리워하는 복잡한 감정을 한국에서는 '미운 정'이라고도 표현해요. 이 드라마는 그런 복잡한 감정선을 섬세하게 그려내서 많은 사랑을 받았죠. 한국의 관계 문화에 대해 더 알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거예요.
Yes, Grace. It's not always the case, but it's possible if deep feelings remain. Especially in a love-hate relationship like in 'Our Beloved Summer.' The complex feeling of missing someone while also resenting them is sometimes called 'mi-un jeong' in Korean. This drama was beloved for its delicate portrayal of such complicated emotional lines. It might also be interesting to learn more about Korean relationship culture.
관련 표현 및 문화 팁 | Related Expressions and Cultural Tips
한국의 '정(情)' 문화는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키워드입니다. '미운 정'은 미워하는 마음과 사랑하는 마음이 섞인 복합적인 감정으로, 오랜 시간을 함께한 관계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그 해 우리는'은 바로 이 '정' 때문에 헤어지고도 서로를 완전히 잊지 못하는 두 주인공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보여줍니다. 한국어 실력 향상 팁에 대한 글도 확인해 보세요.
The Korean culture of 'Jeong(情)' is a key word for understanding relationships. 'Mi-un Jeong' is a complex emotion blending feelings of dislike and affection, often found in long-term relationships. 'Our Beloved Summer' realistically portrays two protagonists who cannot completely forget each other even after breaking up, precisely because of this 'Jeong'. Also, check out the article on tips for improving your Korean skills.
💡 오늘의 팁 | Today's Tip
'보고 싶다'는 현재형이고, '보고 싶었다'는 과거형입니다. 과거에 그리워했던 마음을 표현할 때는 '보고 싶었다'를 사용해야 정확한 뉘앙스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상황에 맞게 시제를 잘 구분해서 사용해 보세요!
'Bogo sipda' is present tense, and 'bogo sipeotda' is past tense. To express feelings of missing someone in the past, you should use 'bogo sipeotda' to convey the correct nuance. Try to distinguish and use the tenses correct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아래 링크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 스물다섯 스물하나: K-드라마로 배우는 한국어 | Twenty-Five Twenty-One: Learn Korean with K-Drama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K-드라마로 배우는 한국어 | Extraordinary Attorney Woo: Learn Korean with K-Drama
- 한국어 고급 문법 및 표현 | Advanced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