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OPIK Trap-Busting 30-Day Operation
5일차: '반전의 묘미' 함정 공략
Day 5: Tackling the 'Twist' Trap
안녕하세요,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5일차입니다. 오늘은 글의 흐름을 뒤집는 '하지만', '그러나', '반면에'와 같은 역접 접속사를 놓쳐서 틀리기 쉬운 함정 문제를 공략해 보겠습니다. TOPIK 문제에서는 글의 초반부 내용과 반대되는 주장이 후반부에 나오는 경우가 많아, 전체 글을 주의 깊게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Hello, and welcome to Day 5 of the TOPIK Trap-Busting 30-Day Operation. Today, we'll tackle trap questions that are easy to get wrong by missing adversative conjunctions like '하지만 (however)', '그러나 (but)', and '반면에 (on the other hand)' that reverse the flow of the text. In TOPIK problems, the argument in the latter part of the text often contradicts the beginning, so it's important to read the entire passage carefully.
글의 '반전'이 일어나는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면, 글쓴이의 진짜 의도와 핵심 주장을 놓치지 않고 정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If you accurately identify the 'twist' in the text, you won't miss the author's true intention and main argument, and you can find the correct answer.
세트 1
다음 글을 읽고,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최근에는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기업들 또한 이러한 흐름에 맞춰 다양한 친환경 제품들을 앞다투어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기업에서는 친환경 이미지를 내세우기 위해 실제로는 환경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제품을 친환경이라고 광고하는 경우가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1) 친환경 제품은 더 이상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다.
2) 기업들이 출시하는 모든 친환경 제품은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된다.
3)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가 많아져 친환경 제품 시장이 커지고 있다.
4)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광고가 줄어들어 소비자들이 정보를 얻기 어렵다.
✏️ 정답 및 해설: 3번
한국어: 지문 초반부에서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친환경 제품 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3번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1번은 지문 내용과 반대이며, 2번은 '하지만' 이후의 반전 내용인 "실제로는 환경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제품"이 있다는 점과 모순됩니다. 4번은 광고가 줄었다는 언급이 없습니다.
English: The beginning of the passage explains that "as more consumers become environmentally conscious, the demand for eco-friendly product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This aligns with option 3, which states that the eco-friendly product market is growing. Option 1 is the opposite of the passage, and option 2 contradicts the twist after the word '하지만 (however)', which mentions that there are "products that are not actually helpful to the environment." There is no mention in the passage that advertising has decreased in option 4.
세트 2
다음 글을 읽고, 글쓴이의 주장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과거에는 기술 발전에 대한 기대가 매우 컸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삶을 더 풍요롭게 할 것이라고 믿었다. 기술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도 많았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기술이 가져온 여러 부작용에 주목해야 한다. 디지털 격차, 개인 정보 유출, 그리고 인간 소외와 같은 문제들이 심각해지면서 기술 발전의 어두운 면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 기술 발전은 인간의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었다.
2) 인공지능은 모든 사회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
3) 기술 발전의 긍정적인 측면만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
4) 과거의 기술 발전 방식이 현재보다 더 좋았다.
✏️ 정답 및 해설: 3번
한국어: 지문의 핵심 주장은 '그러나' 이후에 나옵니다. 글쓴이는 과거의 긍정적인 기대와 달리 "기술이 가져온 여러 부작용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긍정적인 측면만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는 3번이 글쓴이의 주장을 가장 잘 나타냅니다. 1번과 2번은 '그러나' 이전의 과거 내용에 불과하며, 글쓴이의 최종적인 주장과는 거리가 멉니다. 4번은 지문에 언급되지 않은 내용입니다.
English: The main argument of the passage appears after '그러나 (but)'. The author argues that contrary to past positive expectations,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various side effects brought by technology." Therefore, option 3, 'we must not only look at the positive aspec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best represents the author's argument. Options 1 and 2 are just content from the past, mentioned before '그러나', and are far from the author's final point. Option 4 is not mentioned in the passage.
세트 3
다음 글을 읽고,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한국의 전통 음악은 서양 음악과 달리 5음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자연의 소리를 담아내려 하는 특징 때문에 느리고 정적인 분위기가 강하다. 이러한 점은 한국 전통 음악이 명상이나 심리 치료에 활용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반면에 서양 음악은 7음계를 사용하며, 규칙적인 박자와 강한 리듬으로 활기차고 역동적인 분위기를 낸다.
1) 한국 전통 음악은 7음계를 사용한다.
2) 한국 전통 음악은 서양 음악에 비해 느리고 정적이다.
3) 서양 음악은 활기차고 역동적인 분위기를 특징으로 한다.
4) 한국 전통 음악은 명상이나 심리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 정답 및 해설: 1번
한국어: 이 문제는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는 문제입니다. 지문에서는 "한국의 전통 음악은 서양 음악과 달리 5음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따라서 '7음계'를 사용한다는 1번은 내용과 다릅니다. 2, 3, 4번은 모두 지문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특히 '반면에'를 중심으로 한국 전통 음악과 서양 음악의 특징을 비교하고 있음을 파악해야 합니다.
English: This question asks you to choose what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 The passage clearly states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based on a 5-note scale, unlike Western music." Therefore, option 1, which says it uses a '7-note scale,'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 Options 2, 3, and 4 all match the passage. You must recognize that the passage is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with '반면에 (on the other hand)' as the central point.
세트 4
다음 글을 읽고,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과거에는 많은 사람들이 성공을 위해 한 가지 일에만 평생을 바쳐야 한다고 생각했다. 한 직장에서 오래 근무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겼다. 하지만 오늘날은 시대가 변했다. 사람들은 한 가지 직업에 얽매이기보다는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처럼 현대 사회에서는 <빈칸>.
1) 한 직장에서 오랫동안 일하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이다
2) 직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과거와는 많이 달라졌다
3) 직업의 종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4) 사람들은 한 가지 일에만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정답 및 해설: 2번
한국어: 빈칸 앞 문장에서 '하지만'을 기준으로 과거와 현재의 직업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한 가지 일에 평생을 바치는 것'을 미덕으로 여겼지만,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를 포괄하는 '직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과거와는 많이 달라졌다'는 2번이 빈칸에 가장 적절합니다.
English: The sentence before the blank uses '하지만 (however)' to explain that people's perceptions of work have changed significantly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In the past, 'devoting one's life to a single job' was considered a virtue, but now, people think it's important to 'challenge themselves in various fields.' Therefore, option 2, 'people's perception of work has changed a lot from the past,' which encompasses both points, is the most suitable answer for the blank.
세트 5
다음 글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우리는 보통 대화할 때 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듣는 것이 중요하다고 배운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이며, 오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때로는 상대방의 말을 중간에 끊고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도 필요하다. 특히 업무상 중요한 회의에서는 불필요한 논쟁을 피하고 핵심을 파악하기 위해 자신의 주장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용기가 요구된다.
1) 대화할 때는 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들어야 한다.
2) 업무상 회의에서는 불필요한 논쟁을 피해야 한다.
3) 자신의 주장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용기가 필요하다.
4) 상황에 따라 대화의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 정답 및 해설: 4번
한국어: 이 글은 '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듣는 것'과 '말을 끊고 의견을 제시하는 것' 두 가지 대화법을 모두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라는 접속사를 통해 일반적인 대화법과 특정 상황(회의)에서의 대화법을 대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내용을 모두 포함하는 중심 내용은 '상황에 따라 대화의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는 4번입니다. 1번은 '그러나' 이전의 내용만 담고 있고, 2번과 3번은 '그러나' 이후의 내용 중 일부만을 언급하고 있어 전체를 아우르는 중심 내용이 될 수 없습니다.
English: This passage mentions two different conversation methods: 'listening to the other person until the end' and 'interrupting and presenting one's own opinion.' The conjunction '그러나 (but)' contrasts a general conversation method with a method for specific situations (meetings). Therefore, the central idea that includes both of these points is option 4, 'we must change our conversation method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ption 1 only contains content from before '그러나', and options 2 and 3 mention only a part of the content after '그러나', so they cannot be the central idea that encompasses the whole text.
GO TO FURTHER & DEEPER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뜻: 인생이나 사물을 밝고 좋게 보는. 또는 그런 것. (Seeing life or things brightly and positively; or such a thing.)
예시: 그녀는 항상 어려운 상황에서도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She always maintained an optimistic attitude even in difficult situations.)
연습 문제: '모든 일이 잘 될 거라고 믿는 태도'와 가장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는?
1) 비판적 2) 긍정적 3) 부정적 4) 냉소적
정답: 2)
뜻: 사물을 대수롭지 않게 보아 넘기다. (To regard something as insignificant and pass it over.)
예시: 우리는 작은 문제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We should not overlook small problems.)
연습 문제: '중요한 사실을 놓치고 지나가다'와 가장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는?
정답: 무시하다, 소홀히 하다
뜻: 여러 가지를 한데 묶거나 포함하다. (To group or include various things together.)
예시: 이 계획은 모든 부서의 의견을 포괄하는 방식으로 수립되었다. (This plan was established in a way that encompasses the opinions of all departments.)
연습 문제: '여러 내용을 하나로 묶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는?
정답: 통합하다, 아우르다
핵심 문법 (Key Grammar)
뜻: 어떤 행동이나 상황을 위한 수단, 이유, 조건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Used to indicate the means, reason, or conditions for a certain action or situation.)
예시: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It took a lot of time to solve that problem.)
연습 문제: '성공하는 데는'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정답: 성공하는 데는 운도 중요하지만, 노력이 더 중요하다.
뜻: 앞에 오는 내용과 뒤에 오는 내용이 서로 다름을 나타내는 표현. (An expression indicating that the content before it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 after it.)
예시: 형과 달리, 동생은 공부를 잘한다. (Unlike his older brother, the younger brother is good at studying.)
연습 문제: '예전과 달리'라는 표현을 사용해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정답: 예전과 달리, 요즘은 책을 읽는 사람이 줄었다.
뜻: 어떤 것에 구속되거나 자유롭지 못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To be constrained or not free by something.)
예시: 그는 과거의 실패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He started a new challenge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past failures.)
연습 문제: '고정관념에 얽매이다'라는 표현을 사용해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정답: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말고 자유롭게 생각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