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6) : '숫자놀이' _'number game' traps hidden in the graphs and charts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6일차)
Overcoming TOPIK Traps 30-Day Strategy (Day 6)
6일차: '숫자놀이' 함정 해독
오늘은 TOPIK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그래프나 도표 문제에 숨겨진 '숫자놀이' 함정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이 유형은 단순한 수치 비교를 넘어서, 비율, 증가/감소폭, 시점 등을 교묘하게 섞어 학습자를 혼란에 빠뜨립니다. 정확한 자료 해석 능력과 함정 포인트를 짚어내는 훈련을 통해 완벽하게 극복할 수 있습니다.
Today, we will delve into the 'number game' traps hidden in the graphs and charts that frequently appear on the TOPIK test. This type of problem goes beyond simple numerical comparisons, cleverly mixing percentages, rates of increase/decrease, and time points to confuse test-takers. You can overcome this challenge perfectly through training that focuses on accurate data interpretation and identifying trap points.
실전 문제 풀이 (Practice Problems)
[세트 1] 다음은 '한국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이다. 이 내용을 바르게 이해한 것은?
① 아르바이트를 하는 학생들의 수는 작년보다 15% 이상 증가했다.
② '카페/음식점' 분야에서 일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그중 1/4이 넘는 수가 이 분야에서 일한다.
③ '편의점'에서 일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사무보조'보다 낮다.
④ 2024년 대비 2025년에 모든 분야의 아르바이트 비율이 증가했다.
정답: ②
Solution:
② '카페/음식점' 분야는 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그중 1/4이 넘는 수'는 25%를 넘는다는 의미이므로, 40%는 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정확합니다. / The 'cafe/restaurant' sector accounts for the highest percentage at 40%. 'More than 1/4' means over 25%, and 40% fits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is statement is correct.
Trap Point & Analysis:
①번: '15% 이상 증가'는 수치(증가율)를 제시하고 있으나, 그래프에는 '아르바이트 비율'만 나와 있을 뿐, 작년 대비 '학생 수'의 증가는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이런 경우 함정입니다. / Statement ① presents a specific figure (growth rate), but the graph only shows the 'percentage of students working part-time,' not the 'number of students' that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is is a classic trap.
③번: '편의점'은 15%, '사무보조'는 20%로, 편의점 비율이 더 낮으므로 이 문장은 틀렸습니다. 단순 수치 비교를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함정입니다. / Statement ③ is incorrect because the percentage for 'convenience stores' is 15%, which is lower than 'office assistance' at 20%. This is a trap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by a simple numerical comparison.
④번: '모든 분야가 증가'했다는 언급은 그래프에 없습니다. 이는 지나친 일반화의 함정에 속합니다. / Statement ④ claims that 'all sectors increased,' but the graph does not provide this information. This falls under the trap of overgeneralization.
[세트 2] 다음은 '직장인의 스트레스 원인'에 대한 조사 결과이다. 이 내용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업무량'이 스트레스의 가장 큰 원인이었으며, 이는 전체의 절반에 가깝다.
② '인간관계'로 스트레스받는 비율은 '상사와의 관계'보다 낮다.
③ '임금'과 '승진'은 스트레스 원인 순위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④ '업무능력.지식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업무량'의 약 1/3 수준이다.
정답: ④
Solution:
④ '업무능력+지식부족은'은 7.8%, '23.7%'은 45%입니다. 24의 1/3은 8이므로, '업무능력+지식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업무량'의 1/3 수준이라는 설명은 정확합니다. / 'ablity' is 7.8%, and 'workload' is 23.7%. Since 1/3 of 24 is 8, the statement that stress from 'ablity' is at a level of 1/3 of 'workload' is correct.
Trap Point & Analysis:
①번: '업무량'이 45%로 가장 높지만, '전체의 절반'은 50%이므로 '가깝다'는 주관적인 판단이 함정입니다. '절반에 가깝다'는 모호한 표현을 정확한 수치로 확인해야 합니다. / Statement ① says 'workload' is close to half, but half is 50%. This is a trap that uses a subjective term like 'close to'. You must verify ambiguous expressions with exact figures.
②번: '인간관계'는 20%, '상사와의 관계'는 10%입니다. 따라서 '인간관계' 비율이 더 높습니다. 유사해 보이는 항목을 묶어 혼란을 주는 함정입니다. / Statement ② is incorrect because 'human relations' is 20%, which is higher than 'relationship with boss' at 10%. This is a trap that tries to confuse you by grouping similar-looking items.
③번: '임금'과 '승진'은 각각 5%로 최하위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최하위를 기록'했다고 표현해야 더 정확합니다. 정확한 표현의 차이를 이용한 함정입니다. / Statement ③ says 'wage' and 'promotion' recorded the lowest ranks. It is more accurate to say they 'tied for the lowest rank.' This is a trap that uses a subtle difference in precise phrasing.
[세트 3] 다음은 '2024년과 2025년 스마트폰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에 대한 자료이다. 이 내용을 옳게 이해한 것은?
① 삼성브랜드의 점유율은 2023년에 비해 2024년에 10% 증가했다.
② 애플브랜드는 2023년과 2024년 모두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③ 2024년에는 삼성 브랜드가 샤오미 브랜드보다 점유율이 2배 이상 높았다.
④ 오포 oppo 브랜드는 2024년 대비 점유율이 감소했으나, 순위에는 변화가 없었다.
정답: ④
Solution:
④ D 브랜드의 점유율은 2024년 10%에서 2025년 5%로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2024년과 2025년 모두 C 브랜드(5%)와 함께 최하위 순위를 유지했으므로, 순위에는 변화가 없다는 설명이 맞습니다. / The market share of brand D decreased from 10% in 2024 to 5% in 2025. However, since it maintained the lowest rank along with brand C (5%) in both years, the statement that there was no change in its ranking is correct.
Trap Point & Analysis:
①번: 2023년 20%에서 2024년 19%로 감소했습니다. / Statement ① says the share increased by 10%. incorrec!.
②번: 2023년에는 애플가 19%로 2위였으나, 2024년에는 삼성(19%)와 애플(18%)가 거의 공동 1위입니다. 미세한 변화를 놓치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 Statement ② claims that brand A maintained the number one market share in both years. In 2023, samsung was first with 19%, but in 2024, samsung (19%) and apple (18%) almost tied for first place. This is a trap that makes you overlook subtle changes.
③번: 2024년에 samsung 브랜드(19%)는 샤오미 브랜드(14%)보다 1.5배 높습니다./ In 2024, brand samsung (19%) was 1.5 times higher than brand xiaomi (14%). finding the most accurate number is a good practice. This is a more lenient trap, but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ost precise relationship.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꾸준히 (steadily, consistently)
의미: 변함없이 계속.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 Without change, continuously. Without stopping and consistently.
예문: 꾸준히 운동하면 건강이 좋아질 거예요. / If you exercise steadily, your health will improve.
연습문제: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채우세요. '그는 매일 일기를 ( ) 썼습니다.'
정답: 꾸준히 / (He wrote a diary steadily every day.)
~에 가깝다 (close to, nearly)
의미: 어떤 수치나 상태에 거의 다다랐음을 나타내는 표현. / An expression indicating that something is almost at a certain number or state.
예문: 이 제품의 판매량은 100만 개에 가깝다. / The sales volume of this product is close to 1 million units.
연습문제: '반쯤'이라는 의미로 '50%에 ( )'라는 표현을 만들어 보세요.
정답: 가깝다 / (close to 50%)
핵심 문법 (Key Grammar)
~에 비해 / ~와 비교하여 (compared to, in comparison with)
의미: 둘 이상의 대상을 놓고 그 차이점이나 공통점을 말할 때 사용. / Used when comparing two or more subjects to state their differences or similarities.
예문: 작년 에 비해 올해 매출이 크게 늘었습니다. / This year's sale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last year.
연습문제: '어제보다'라는 의미를 담아 문장을 완성해 보세요. '오늘은 어제( ) 날씨가 맑네요.'
정답: 와 비교하여 / (The weather is clearer today compared to yesterday.)
~포인트 (-percentage points)
의미: 비율의 차이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단위. '10%에서 15%로 증가'는 '5%포인트 증가'를 의미. / A unit that directly indicates the difference in percentages. 'An increase from 10% to 15%' means 'an increase of 5 percentage points.'
예문: 지난달에 비해 고객 만족도가 3포인트 상승했습니다. / Customer satisfaction increased by 3 percentage points compared to last month.
연습문제: 40%에서 50%로 증가했을 때, 그 차이를 '포인트'를 사용하여 설명해 보세요.
정답: 10%포인트 증가 / (an increase of 10 percentage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