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재한외국인과 해외 교민에게 희소식이 될까?
Will Non-Face-to-Face Care Be a Boon for Foreign Residents and Koreans Abroad?
구독 (Subscribe) CTRL+D
✏️ 해설:
5년 넘게 진행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이 전면 도입 검토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총 492만 명이 이용한 이 서비스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에도 꾸준히 사용되며, 특히 만성질환이나 경증 질환에 대한 재진 진료에 주로 활용되었습니다.
For over five years, the non-face-to-face medical care pilot program has been under review for full-scale implementation. Used by a total of 4.92 million people, this service has been consistently utilized even after the COVID-19 pandemic, primarily for follow-up appointments for chronic or minor illnesses.
또한, 대면 진료에 비해 휴일·야간 진료 이용 비율이 높아 시간적 제약이 있는 환자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했습니다. 이러한 성공적인 시범사업 결과는 비대면 진료가 보건의료체계의 중요한 한 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Furthermore, the ratio of weekend and nighttime consultations was higher compared to in-person visits, providing significant convenience to patients with time constraints. These successful pilot program results suggest that non-face-to-face care could become a crucial part of the healthcare system.
외국인과 해외 교민을 위한 비대면 진료의 가능성
Potential of Non-Face-to-Face Care for Foreigners and Koreans Abroad
현재까지 비대면 진료는 국내 거주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정식으로 허용될 경우 재한 외국인과 해외 거주 한인들에게 획기적인 의료 접근성을 제공할 것입니다. 언어 장벽, 진료 시간의 제약, 물리적 거리 등의 문제로 병원 방문이 어려웠던 이들에게는 한국의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합리적인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됩니다.
While non-face-to-face care has so far been focused on domestic residents, if officially approved, it would provide groundbreaking medical accessibility for both foreign residents in Korea and Koreans living abroad. For those who struggled to visit hospitals due to language barriers, limited consultation hours, and physical distance, this opens up an opportunity to access Korea's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at a reasonable cost.
환자가 의료기관에 직접 가지 않고 전화, 화상 통화 등을 통해 의사에게 진료를 받는 행위.
The act of a patient receiving medical care from a doctor via phone, video call, etc., without visiting a medical institution in person.
예문: 해외에 있는 어머니가 비대면진료로 한국 의사에게 상담을 받으셨어요.
Example: My mother overseas received a consultation from a Korean doctor through non-face-to-face medical care.
새로운 정책이나 기술을 전면적으로 시행하기 전에, 효과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특정 지역이나 대상에 한해 시험적으로 진행하는 사업.
A project conducted on a trial basis in a specific area or with a specific target group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or identify potential problems before full-scale implementation.
예문: 정부는 스마트 도시 건설을 위한 시범사업을 시작했습니다.
Example: The government has launched a pilot project for smart city construction.
글로벌 의료 시장에서의 새로운 기회
New Opportunities in the Global Healthcare Market
한국의 의료 기술은 세계 최정상급이면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의료비로 정평이 나 있습니다. 만약 비대면 진료가 해외 환자들에게까지 확장된다면, 한국은 물리적 경계를 넘어선 글로벌 의료 서비스의 허브로 부상할 수 있습니다.
Korea's medical technology is known for being world-class, yet its healthcare costs are relatively low. If non-face-to-face care is expanded to include international patients, Korea could emerge as a hub for global medical services, transcending physical borders.
해외 환자들은 간단한 상담이나 2차 소견, 만성 질환 관리 등을 한국의 우수한 의료진에게 받을 수 있게 되며, 이는 한국 의료의 글로벌 영향력을 크게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특히 한국에 거주했던 외국인들이 본국으로 돌아간 후에도 지속적으로 한국 의사의 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은 강력한 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International patients would be able to receive simple consultations, second opinions,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from Korea's excellent medical staff, which would be a major opportunity to significantly expand the global influence of Korean healthcare. The ability for foreigners who have lived in Korea to continue receiving care from Korean doctors after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ies could be a strong competitive advantage.
제도나 정책 등을 시험적으로 일부만 시행하지 않고, 모든 분야나 대상에 대해 완전히 시행하는 것.
Implementing a system or policy completely for all areas or targets, instead of partially on a trial basis.
예문: 정부는 비대면진료 전면 도입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구하고 있습니다.
Example: The government is seeking social consensus for the full-scale implementation of non-face-to-face medical care.
어떤 행위나 수단을 거쳐 목적을 이루거나 결과를 얻을 때 사용.
Used to indicate that an objective is achieved or a result is obtained through a certain action or means.
예문: 비대면 진료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Example: You can save time and money through non-face-to-face medical care.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세상에 널리 알려진 좋은 평가.
A good reputation that is widely known to the public about a person or thing.
예문: 이 식당은 맛있는 음식으로 정평이 나 있습니다.
Example: This restaurant has a good reputation for its delicious food.
✏️ 복습 퀴즈 (Review Quiz)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나 표현을 채워 넣으세요.
Fill in the blank in the following sentences with the appropriate word or expression.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들을 위해 ______가 활성화되었습니다. (힌트: remote consulta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______ was activated for patients who had difficulty going to the hospital. (Hint: remote consultation) - 정부는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______을 진행했습니다. (힌트: pilot program)
The government first conducted a ______ to identify the system's problems. (Hint: pilot program) - 그 회사는 고객 서비스가 좋기로 ______ 있습니다. (힌트: to have a good reputation)
That company ______ for having good customer service. (Hint: to have a good repu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