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4) : 그럴듯한 오답 함정_Avoiding the 'Plausible but Incorrect Answer' Trap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 Trap30 Day 4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OPIK Trap-Busting 30-Day Operation
Trap30 Day 4: Avoiding Plausible Traps

4일차: '그럴듯한 오답' 함정 피하기
Avoiding the 'Plausible but Incorrect Answer' Trap

안녕하세요, 학습자 여러분!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4일차입니다. 오늘은 많은 학습자들이 가장 흔하게 빠지는 함정 중 하나인, 지문에 나오는 단어를 그대로 사용해서 정답처럼 보이게 만드는 '그럴듯한 오답'을 어떻게 피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Hello, students! Welcome to Day 4 of the TOPIK Trap-Busting 30-Day Operation. Today, we'll learn how to avoid one of the most common traps for many learners: the 'plausible but incorrect answer' that uses the same words from the text to make it seem correct.

지문에 나온 단어 몇 개만 보고 선택지를 고르면 쉽게 함정에 빠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단어가 아니라, 글의 핵심 논리와 문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입니다. If you choose an option just by looking at a few words from the text, you can easily fall into a trap. The important thing is not the words themselves, but to accurately grasp the core logic and context of the passage.


세트 1

다음 글을 읽고,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활용품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는 가정이 늘었다.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자는 움직임이 활발하며, 이는 환경 보호의 중요한 실천 방안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여전히 분리수거 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해 일반 쓰레기와 섞어서 버리는 경우가 많아 계도와 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다.

1) 젊은 세대들은 분리수거 방법을 잘 몰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2)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져 분리수거가 완전히 정착되었다.

3)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자는 운동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4)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플라스틱 사용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 정답 및 해설: 3번

한국어: 지문에서 "젊은 세대 사이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자는 움직임이 활발하며"라고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3번 선택지는 이 내용을 그대로 담고 있어 정답입니다. 1번은 '젊은 세대'와 '분리수거 방법'이라는 단어가 지문에 있지만, 젊은 세대가 방법을 모른다는 내용은 '일부' 사람들이라는 내용과 다르기 때문에 함정입니다. 2번은 '분리수거'라는 단어가 있지만, '완전히 정착되었다'는 내용은 "일부에서는 여전히... 버리는 경우가 많아"라는 부분과 모순됩니다. 4번은 '플라스틱 사용'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내용은 지문과 정반대입니다.

English: The passage directly states, "an active movement to reduce plastic use is spreading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Option 3 accurately reflects this, making it the correct answer. Option 1 uses the words 'younger generation' and 'waste separation method,' but it's a trap because the passage states that 'some' people, not the younger generation in general, are having trouble. Option 2 uses the word 'waste separation,' but the phrase 'completely established' contradicts the passage's mention of "some people still improperly mixing waste." Option 4 uses 'plastic use' but presents the opposite meaning of the passage.

💡 Trap-Point: 1번과 2번은 지문 속의 특정 단어('젊은 세대', '분리수거')를 사용해 정답처럼 보이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단어만 보지 말고, 문장의 전체적인 의미와 논리적 관계를 파악해야 합니다. 💡 Trap-Point: Options 1 and 2 are traps that use specific words from the passage ('younger generation,' 'waste separation') to appear correct. Don't just focus on the words; you must understand the overall meaning and logical relationship of the sentences.

세트 2

다음 글을 읽고, 글쓴이의 주장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성공적인 인생을 살기 위해서는 수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단순히 열심히 일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새로운 것을 배우며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해야 한다. 때로는 실패를 통해 배우고, 때로는 예상치 못한 기회를 잡기도 한다. 결국, 진정한 성공은 '멈추지 않는 성찰과 도전'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1) 열심히 일하는 것이 성공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2) 실패는 성공적인 인생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3) 끊임없이 노력하고 새로운 것을 배워야 성공할 수 있다.

4) 성공하려면 예전 방식을 고수하며 자신의 길을 걸어야 한다.

✏️ 정답 및 해설: 3번

한국어: 지문의 핵심 주장은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새로운 것을 배우며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해야 한다"는 부분과 "성공은 '멈추지 않는 성찰과 도전'에서 비롯되는 것이다"라는 결론입니다. 3번은 이 주장을 가장 잘 요약하고 있습니다. 1번은 '열심히 일하는 것'이라는 단어가 나오지만, 지문에서는 "단순히 열심히 일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했으므로 오답입니다. 2번은 '실패'라는 단어가 있지만, 지문에서는 "실패를 통해 배우고"라고 했으므로 정반대 내용입니다. 4번은 '자신의 길'이라는 표현이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예전 방식을 고수'하라는 내용은 변화에 적응하라는 지문의 내용과 맞지 않습니다.

English: The core argument of the passage is found in the sentences, "one must constantly reflect on oneself, learn new things, and adapt to the changing world" and the conclusion, "true success comes from 'unceasing reflection and challenge'." Option 3 is the best summary of this argument. Option 1 mentions 'working hard,' but the passage states that "simply working hard is not enough," making it incorrect. Option 2 uses the word 'failure,' but the passage says "learn through failure," so the content is the opposite. Option 4 might seem positive with 'one's own path,' but 'sticking to old ways' contradicts the passage's point about adapting to change.

💡 Trap-Point: 1번은 지문의 문장을 부분적으로만 인용하여 의미를 왜곡하는 함정입니다. '단순히 ~만으로는 부족하다'는 표현을 놓치면 틀리기 쉽습니다. 글쓴이의 최종적인 주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Trap-Point: Option 1 is a trap that distorts the meaning by quoting only a part of a sentence. It's easy to get caught if you miss phrases like 'simply ~ is not enough.' It is crucial to identify the author's final argument.

세트 3

다음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새로운 도시 개발 계획이 발표되자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찬반 논란이 뜨겁다. 찬성 측은 개발을 통해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고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 기대한다. 반대 측은 자연 환경이 훼손되고, 기존 주민들이 거주지에서 밀려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양측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시청은 주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1) 도시 개발 계획에 대한 찬성 의견과 반대 의견이 모두 있다.

2) 개발로 인해 지역 경제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3) 개발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자연 환경 훼손을 걱정하고 있다.

4) 시청은 주민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공청회를 열기로 했다.

✏️ 정답 및 해설: 2번

한국어: 지문에서 찬성 측은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2번은 이와 반대로 '지역 경제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말하고 있어 내용과 다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입니다. 1번은 "찬반 논란이 뜨겁다"는 내용과 일치하고, 3번은 "반대 측은 자연 환경이 훼손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는 내용과 일치하며, 4번은 "주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라는 내용과 일치합니다.

English: The passage states that the pro-development side expects 'the local economy to be revitalized.' Option 2, on the other hand, says there are concerns that 'the local economy will become difficult,' which contradicts the passage. Therefore, the answer is 2. Option 1 aligns with the statement "a heated debate between pros and cons," Option 3 matches the statement that "the opposition worries about the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Option 4 corresponds to the plan to "hold a public hearing to gather residents' opinions."

💡 Trap-Point: 이 문제는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는 문제로, '찬성 측'의 기대와 '반대 측'의 우려를 혼동하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지문의 각 주체가 어떤 주장을 하는지 명확하게 구분해야 합니다. 💡 Trap-Point: This question asks you to find what is different from the passage. The trap is to confuse the expectations of the 'pro-development' side with the concerns of the 'opposition' side. You must clearly distinguish which subject (pro or con) is making which claim.

세트 4

다음 글을 읽고,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최근의 과학기술 발전은 우리 삶을 편리하게 만들었다. 스마트폰 하나로 쇼핑, 금융 거래, 정보 검색 등 다양한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편리함의 이면에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건강 문제를 야기하며,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기술의 이점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빈칸>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1) 경제적 가치

2) 잠재적 위험

3) 새로운 기능

4) 혁신적 발전

✏️ 정답 및 해설: 2번

한국어: 빈칸 앞 문장에서는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건강 문제를 야기하며,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기술이 가져오는 부정적인 측면, 즉 위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점'과 반대되는 '잠재적 위험'이 빈칸에 들어가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1번, 3번, 4번은 모두 기술의 긍정적인 측면이나 일반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로, 문맥에 맞지 않습니다.

English: The sentence before the blank explains that "excessive smartphone use can cause health problems and decrease one's ability to think and judge independently." This describes the negative aspects or risks brought by technology. Therefore, 'potential risks', which is the opposite of 'benefits,' is the most natural fit for the blank. Options 1, 3, and 4 are words that represent positive aspects or general phenomena of technology, and they do not fit the context.

💡 Trap-Point: 이 문제는 지문 속 단어('발전', '기능', '혁신')를 사용한 오답으로 유인하는 전형적인 함정입니다. '하지만'이라는 역접 접속사 뒤에 나오는 부정적 의미의 문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Trap-Point: This is a classic trap that tries to lure you with incorrect answers using words from the text like ('development,' 'functions,' 'innovation'). The key is to correctly identify the negative context that follows the adversative conjunction '하지만 (however).'

세트 5

다음 글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우리 사회는 외모 지상주의에 빠져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본질적인 가치보다 겉모습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미디어의 영향이 크다. 광고나 드라마에서는 항상 아름다운 외모를 가진 주인공들이 성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외모를 가꾸는 데 시간과 돈을 쏟고, 내면을 가꾸는 데는 소홀해지고 있다. 진정한 아름다움은 내면에서 나온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1) 미디어는 사람들의 외모를 아름답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

2) 외모를 가꾸는 것은 사회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3) 사회에 만연한 외모 지상주의의 문제점을 인식해야 한다.

4) 내면의 아름다움보다 외모를 가꾸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 정답 및 해설: 3번

한국어: 이 글은 '외모 지상주의'라는 사회적 현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해결책으로 '내면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글 전체를 아우르는 중심 내용은 '외모 지상주의의 문제점을 인식해야 한다'는 3번입니다. 1번은 '미디어'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미디어가 외모 지상주의를 심화시키는 '문제점'에 대한 언급 없이 긍정적인 측면만 강조하고 있어 오답입니다. 2번과 4번은 지문의 내용과 정반대되는 주장으로, 함정 선택지입니다.

English: This passage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social phenomenon of 'lookism' and emphasizes 'inner beauty' as a solution. Therefore, the central idea that encompasses the entire text is option 3, 'we must recognize the problems of the lookism rampant in our society.' Option 1 uses the word 'media' but only emphasizes the positive aspects of media's influence without mentioning the 'problem' of how it deepens lookism, making it incorrect. Options 2 and 4 are arguments that are the complete opposite of the passage's content and are therefore traps.

💡 Trap-Point: 1번은 지문에 언급된 '미디어'라는 단어를 이용해 만든 부분적 사실 왜곡 함정입니다. 지문에서는 미디어가 외모 지상주의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는데, 선택지는 미디어가 도움을 준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글쓴이의 비판적 관점을 놓치면 오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 Trap-Point: Option 1 is a trap that distorts a partial fact using the word 'media' mentioned in the passage. While the passage criticizes media as a cause of lookism, the option states that media helps. If you miss the author's critical perspective, you might choose the wrong answer.

GO TO FURTHER & DEEPER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1. 그럴듯하다 (Plausible)

뜻: 언뜻 보기에 사리에 맞는 듯하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Appearing reasonable or probable, but not necessarily true in reality.)

예시: 그의 이야기는 그럴듯하게 들렸지만, 사실은 거짓말이었다. (His story sounded plausible, but it was actually a lie.)

연습 문제: 다음 문장에서 '그럴듯하다'와 바꿔 쓸 수 있는 단어는?

A: "그의 변명은 그럴듯했지만, 증거가 부족했다."

1) 설득력 있지만 2) 재미있었지만 3) 이상했지만 4) 어려웠지만

정답: 1)

2. 지상주의 (-ism, Supremacy)

뜻: 어떤 것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기는 사상이나 태도. (An ideology or attitude that regards something as the most important thing.)

예시: 우리 사회는 아직도 남성 지상주의적인 가치관이 남아 있다. (Our society still has values of male supremacy.)

연습 문제: '돈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사상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정답: 물질 만능 지상주의

3. 왜곡하다 (Distort, Misrepresent)

뜻: 사실과 다르게 잘못 해석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다. (To interpret something incorrectly or lead it in a wrong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truth.)

예시: 그의 발언은 언론에 의해 왜곡되어 보도되었다. (His statement was distortedly reported by the media.)

연습 문제: '사실을 다르게 바꾸어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는?

정답: 왜곡


핵심 문법 (Key Grammar)

1. ~는 이면에는 (On the other side of~)

뜻: 어떤 현상의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부정적 측면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표현. (An expression used to emphasize the negative, hidden side of a phenomenon.)

예시: 화려한 성공의 이면에는 수많은 실패와 노력이 있었다. (On the other side of spectacular success were countless failures and efforts.)

연습 문제: '첨단 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부정적 측면을 이 문법을 사용해 표현해 보세요.

정답: 첨단 기술 발전의 이면에는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문제점도 있다.

2. ~는 데 (In doing/for doing~)

뜻: 어떤 행동이나 상황에 필요한 시간, 노력 등을 나타낼 때 사용. (Used to indicate the time, effort, etc., required for a certain action or situation.)

예시: 이 보고서를 완성하는 는 3시간이 걸렸다. (It took 3 hours to complete this report.)

연습 문제: '한국어를 배우는 데'라는 표현을 사용해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정답: 한국어를 배우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3. ~에 따르면 (According to~)

뜻: 어떤 정보의 출처를 밝힐 때 사용하며, 인용하는 내용을 나타냅니다. (Used to cite the source of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 being quoted.)

예시: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경기 회복은 아직 멀었다고 한다. (According to the experts' opinions, the economic recovery is still a long way off.)

연습 문제: '조사에 따르면'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정답: 최근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 이용자가 크게 증가했다.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 superrealkorean, All rights reserved.

#TOPIK #토픽 #한국어능력시험 #함정문제 #오답피하기 #그럴듯한오답 #논리적사고 #한국어공부 #TOPIK시험 #TOPIKListening #TOPIKReading #TOPIKgrammar #KoreanLearning #LearningKorean #TOPIKPrep #KoreanLanguageTest #Trap30 #KoreanVocabulary #KoreanGrammar #Hangeul #टॉपिक #कोरियाईभाषा #कोरियाईअध्ययन #कोरियाईव्याकरण #कोरियाईशब्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