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3) : 결과만 보고 원인 오해? _ Breaking the 'Misinterpreting Cause and Effect' Trap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 TRAP30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RAP30: Overcoming TOPIK Traps in 30 Days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소개 이미지

3일차: '결과만 보고 원인 오해' 함정 타파

Breaking the 'Misinterpreting Cause and Effect' Trap

TOPIK 시험에서 인과관계를 교묘하게 뒤바꿔 놓은 선택지는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함정 중 하나입니다. 지문에서는 'A 때문에 B가 일어났다'고 말했는데, 선택지에서는 'B 때문에 A가 일어났다'고 제시하는 식이죠. 이 함정을 피하기 위해서는 글의 논리적인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오늘 학습을 통해 이러한 함정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해 봅시다.

In the TOPIK exam, one of the most common mistakes students make is falling for traps where the cause and effect are cleverly reversed. For example, the text might say, "B happened because of A," but the multiple-choice option presents it as, "A happened because of B." To avoid this trap, you need to train yourself to accurately grasp the logical flow of the text. Through today's lesson, let's master how to solve these tricky cause-and-effect problems.


세트 1. 실전 문제

다음 글을 읽고,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요즘은 개인의 취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식물을 키우는 것이 단순히 자연을 즐기는 행위를 넘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꽃이나 채소 등 전통적인 식물들이 인기를 끌었지만, 최근에는 독특한 모양의 선인장이나 이국적인 분위기의 관엽식물 등 희귀하고 특색 있는 식물들이 더 많이 사랑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사람들이 식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① 식물을 키우는 것이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이 되고 있다.

② 예전에는 꽃이나 채소 같은 전통적인 식물이 인기가 있었다.

③ 독특한 모양의 식물이 인기를 끈 것은 온라인 커뮤니티 덕분이다.

④ 사람들은 희귀한 식물을 키우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

정답: ③

해설 및 분석: 지문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식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는 '독특한 식물들이 인기를 끈' 것의 원인이 아니라, 희귀하고 특색 있는 식물들이 사랑받는 '이러한 변화'의 원인입니다. 즉,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성화는 '식물을 키우는 것이 취향 표현 수단이 되는' 변화를 이끌었고, 그 결과 독특한 식물들이 인기를 끌게 된 것입니다. ③번 선택지는 이 인과관계를 반대로 설명하고 있어 틀린 내용입니다. ①, ②, ④번은 지문의 내용과 일치하거나 추론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Solution and Analysis: The text states that people were able to shar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about plants because online communities became active. This is not the direct cause of "unique-looking plants gaining popularity" but rather the cause of the overall "change" in which rare and distinctive plants are being loved more. In other words, the 활성화 (invigoration) of online communities led to the change where plant cultivation became a means of self-expression, which, in turn, resulted in unique plants gaining popularity. Option ③ reverses this cause and effect, making it incorrect. Options ①, ②, and ④ are consistent with or can be inferred from the tex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지문에서 '독특한 모양의 식물'과 '온라인 커뮤니티'라는 단어를 보고 둘 사이에 관계가 있다고 섣불리 판단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온라인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라는 문장이 '이러한 변화'의 원인임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The trap makes you hastily assume a relationship between "unique-looking plants" and "online communities" just because the words appear in the text. However, you must accurately identify that the sentence '온라인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is the cause of '이러한 변화' (this change), not the specific popularity of unique plants.

세트 2. 실전 문제

다음 글을 읽고, 글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운동을 꾸준히 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스트레스 해소 능력이 더 뛰어나다고 한다. 연구진은 그 원인이 운동 시 분비되는 '행복 호르몬'인 엔도르핀 때문이라고 밝혔다. 엔도르핀이 스트레스 호르몬을 억제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결과는 운동이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① 스트레스 해소 능력이 뛰어난 사람일수록 엔도르핀이 많이 분비된다.

② 엔도르핀은 운동을 할 때 분비되며 스트레스 호르몬을 억제한다.

③ 운동은 신체 건강에만 영향을 미치고 정신 건강과는 무관하다.

④ 운동을 꾸준히 하는 사람들은 스트레스가 없는 편이다.

정답: ②

해설 및 분석: 지문에서는 운동을 하면 엔도르핀이 분비되고, 이 엔도르핀이 스트레스 호르몬을 억제하여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준다고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습니다. ②번 선택지는 이 내용을 그대로 담고 있으므로 정답입니다. ①번은 '스트레스 해소 능력이 뛰어나서' 엔도르핀이 분비된다고 하여 인과관계가 뒤바뀌어 있습니다. ③번은 지문의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과 반대이며, ④번은 '스트레스 해소 능력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스트레스가 없는 편'이라는 지나친 일반화로 왜곡하고 있습니다.

Solution and Analysis: The text clearly states that endorphins are secreted when exercising, and these endorphins suppress stress hormones, helping to relieve stress. Option ② directly reflects this information, making it the correct answer. Option ① reverses the cause and effect, claiming that endorphins are secreted because of a high ability to relieve stress. Option ③ is the opposite of the text's statement that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and Option ④ distorts the fact that "they have a superior ability to relieve stress" into an overgeneralized statement that "they have no stress."

함정 포인트 (Trap Point): ①번 선택지처럼 '엔도르핀 분비'와 '스트레스 해소 능력'을 서로 뒤바꿔 놓아 수험생들이 혼란을 느끼도록 유도합니다. 지문에서 '원인(운동)'과 '결과(스트레스 해소)' 사이의 연결고리인 '엔도르핀'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Like option ①, the trap swaps 'endorphin secretion' and 'stress relief ability' to confuse test-takers. You must correctly understand the role of 'endorphins' as the link between the 'cause (exercise)' and the 'result (stress relief)' in the text.

세트 3. 실전 문제

다음 글의 중심 내용을 고르십시오.

도시의 환경 오염이 심각해지면서, 도시 사람들은 녹색 공간에 대한 갈망이 커졌다. 이러한 갈망은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는 '플랜테리어'라는 새로운 트렌드를 탄생시켰다. 플랜테리어는 단순히 미적인 목적을 넘어, 공기 정화 효과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이점을 준다. 많은 사람들이 플랜테리어를 시도하면서, 실내 식물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① 실내 식물 시장이 성장하면서 도시의 환경 오염이 완화되었다.

② 도시의 환경 오염 때문에 사람들이 플랜테리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③ 플랜테리어는 도시 사람들의 갈망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④ 플랜테리어가 심리적 안정감보다 미적 목적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정답: ②

해설 및 분석: 지문의 핵심 인과관계는 ‘도시 환경 오염 심각 → 녹색 공간 갈망 → 플랜테리어 유행’입니다. 즉, 도시의 환경 오염이 원인이 되어 사람들이 플랜테리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내용이 글의 중심입니다. ②번 선택지는 이 중심 내용을 정확하게 요약하고 있습니다. ①번은 '플랜테리어 시장의 성장'이 원인이 되어 '환경 오염이 완화되었다'고 말하며 인과관계가 뒤바뀌어 있습니다. ③번은 '갈망이 커졌다'는 내용과 상반되며, ④번은 지문의 내용과 다르게 해석하고 있습니다.

Solution and Analysis: The cor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n the text is 'severe urban pollution → craving for green spaces → popularity of "plant-erior" (plenterior)'. In other words, the main point of the text is that urban pollution is the cause that led people to become interested in plenterior. Option ② accurately summarizes this main point. Option ① reverses the cause and effect, stating that the growth of the plenterior market caused a reduction in environmental pollution. Option ③ contradicts the statement that "the craving has grown," and ④ misinterprets the tex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①번은 지문에 나오는 '환경 오염'과 '성장'이라는 단어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그럴듯하게 보입니다. 그러나 원인(환경 오염)과 결과(플랜테리어 시장 성장)를 바꾸어 놓았기 때문에 함정이 됩니다.
Option ① seems plausible because it includes the word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rowth' from the text. However, it's a trap because it reverses the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effect (plenterior market growth).

세트 4. 실전 문제

다음 글을 읽고,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늘어나면서 수면 부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는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가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은 뇌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잠들기 어려운 상태를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위해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①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많이 쓰면서 수면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② 스마트폰의 블루라이트가 멜라토닌 분비를 방해하는 것이 수면 부족의 원인이다.

③ 수면 부족 때문에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늘어났다.

④ 스마트폰 사용은 뇌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잠들기 어렵게 만든다.

정답: ③

해설 및 분석: 지문에서는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늘어나면서’ → ‘수면 부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명확히 말하고 있습니다. 즉, 스마트폰 사용 증가가 수면 부족의 원인입니다. ③번은 이 인과관계를 완전히 뒤집어 수면 부족이 스마트폰 사용을 늘렸다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틀린 내용입니다. ①, ②, ④번은 지문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Solution and Analysis: The text clearly states that 'as smartphone usage time increased' → 'the number of cases complaining of sleep deprivation increased'. In other words, increased smartphone usage is the cause of sleep deprivation. Option ③ completely reverses this causality, stating that sleep deprivation increased smartphone usage, which is incorrect. Options ①, ②, and ④ are consistent with the content of the tex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지문에서 언급된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수면 부족'이라는 핵심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지만, 둘의 원인-결과 관계를 반대로 서술하여 함정을 만들었습니다.
The trap uses the key phrases 'smartphone usage time' and 'sleep deprivation' directly from the text, but it creates a trap by reversing their cause-and-effect relationship.

세트 5. 실전 문제

다음 글에서 알 수 없는 것은?

세계적인 경제 불황으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비용 절감 노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재택근무를 확대하고 불필요한 출장을 줄이는 등 업무 방식을 효율적으로 바꾸는 것이 그 핵심이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① 기업들이 경제 불황을 겪고 있다.

② 기업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업무 방식을 바꾸고 있다.

③ 효율적인 업무 방식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④ 생산성 향상 때문에 경제 불황이 심화되고 있다.

정답: ④

해설 및 분석: 지문의 핵심 인과관계는 ‘경제 불황 → 비용 절감 노력 → 업무 방식 효율화 → 생산성 향상’입니다. 즉, 경제 불황이 원인이고, 생산성 향상은 그 결과입니다. ④번은 ‘생산성 향상’이 원인이 되어 ‘경제 불황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하며 인과관계가 완전히 뒤집혔을 뿐만 아니라, 지문의 내용과도 전혀 다른 주장을 하고 있으므로 알 수 없는 내용입니다.

Solution and Analysis: The core causality in the text is 'economic recession → efforts to reduce costs → more efficient work methods → improved productivity'. This means the economic recession is the cause, and improved productivity is the result. Option ④ reverses this completely, stating that 'improved productivity' is the cause of 'deepening economic recession,' which is not only a reversal of causality but also a claim entirely different from the content of the text, making it impossible to know from the passage.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지문에는 '경제 불황'과 '생산성 향상'이라는 단어가 모두 등장합니다. 하지만 둘의 관계는 원인과 결과가 아닌, '경제 불황 때문에 (원인) 생산성 향상을 노력하고 있다 (결과)'는 맥락임을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The text includes both 'economic recession' and 'improved productivity.' However, you must not miss that their relationship is not cause-and-effect in the way presented in the option, but rather 'because of the economic recession (cause), they are working to improve productivity (result)'.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1. 호소하다 (to complain, to appeal)

Meaning: 자신의 어려운 상황이나 억울함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는 행위.

Meaning: The act of informing others of one's difficult or unfair situation and asking for help.

Example: 그는 만성적인 수면 부족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았다.

Example: He visited a hospital complaining of chronic sleep deprivation.

2. 억제하다 (to suppress, to restrain)

Meaning: 어떤 감정이나 행동, 현상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막거나 누르는 것.

Meaning: To stop or hold back an emotion, action, or phenomenon from occurring.

Example: 이 약은 통증을 유발하는 물질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Example: This medicine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secretion of pain-causing substances.

3. 갈망 (craving, strong desire)

Meaning: 무언가를 매우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나 욕구.

Meaning: A strong desire or longing for something.

Example: 그는 자유에 대한 갈망 때문에 결국 회사를 그만두었다.

Example: He eventually quit his job because of his craving for freedom.

어휘 복습 퀴즈

1. 잠을 잘 못 자서 힘들다고 ( 호소하며 ) 병원에 갔어요.

2. 스트레스를 주는 생각을 ( 억제하고 ) 좋은 음악을 들어보세요.

3. 바쁜 일상 속에서 휴식에 대한 ( 갈망 )이 커지고 있어요.


핵심 문법 (Key Grammar)

1. -(으)면서 (while, as)

Meaning: 두 가지 이상의 행동이나 상태가 동시에 진행될 때 사용합니다.

Meaning: Used when two or more actions or states are happening simultaneously.

Example: 그는 음악을 들으면서 공부를 한다.

Example: He studies while listening to music.

Example: 시간이 흐르면서 우리의 관계는 더욱 깊어졌다.

Example: As time passed, our relationship deepened.

2. -기 때문이다 (because of, due to)

Meaning: 앞선 내용의 원인이나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원인 + -기 때문이다' 형태로 쓰입니다.

Meaning: Used to explain the cause or reason for the preceding content. It is used in the form of 'cause + -기 때문이다'.

Example: 오늘 회의가 취소된 것은 팀장님이 출장을 가셨기 때문이다.

Example: Today's meeting was canceled because the team leader went on a business trip.

Example: 제가 한국어를 열심히 공부하는 이유는 한국 문화가 좋기 때문입니다.

Example: The reason I study Korean hard is because I like Korean culture.

문법 복습 퀴즈

1. 그는 책을 ( 읽으면서 ) 커피를 마시고 있다. (읽다)

2. 그가 늦게 온 것은 길이 ( 막혔기 ) 때문이다. (막히다)

#TOPIK #한국어능력시험 #TOPIK함정 #인과관계오류 #TOPIK독해 #TOPIK공부 #KoreanLanguage #LearningKorean #TOPIKReading #CauseAndEffect #TOPIKPreparation #KoreanVocabulary #KoreanGrammar #TOPIKTest #韓国語 #韓国語勉強 #韓国語能力試験 #韓国語文法 #韩国语能力考试 #韩语学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