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 KOREAN from public service ads⑤ handicapped person_Social Prejudice (장애+사회적 편견)

광고로 배우는 한국어: '평범한 선글라스 광고' 속 사회적 편견 🕶️ | A 'Regular Sunglass Ad' and Social Prejudice in Korea 👓
LEVEL: ALL

광고로 배우는 한국어:
'평범한 선글라스 광고' 속 사회적 편견 🕶️

A 'Regular Sunglass Ad' and Social Prejudice in Korea 👓

여러분, 오늘은 선글라스 광고 하나로 한국어도 배우고, 생각의 지평도 넓혀보는 시간을 가져볼 거예요! 😎

Everyone, today we're going to learn Korean and broaden our perspectives with just one sunglass advertisement! 😎

이 광고, 처음엔 흔한 선글라스 광고인 줄 알았는데... 반전 매력이 있답니다!

This ad, at first, I thought it was just a common sunglass advertisement... but it has a surprising charm!

곧이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다루는 공익 광고로 짠! 하고 변신하거든요.

Soon after, it transforms into a public service announcement that addresses social prejudice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평범한'이라는 단어의 무한 확장! 🚀

The Infinite Expansion of the Word 'Ordinary'! 🚀

광고는 "평범한 선글라스 광고"라는 문구와 "공익 광고"라는 문구를 번갈아 보여주며 시작해요.

The advertisement begins by alternately showing the phrases "a regular sunglass ad" and "a public service announcement."

여기서 우리는 '평범하다'는 형용사가 단순히 '매일 보는 일상'을 넘어, 우리가 무언가를 어떻게 '인식'하느냐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걸 알 수 있죠. 한국어 발음과 인식의 관계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위해 이 글도 확인해보세요.

Here, we can see that the adjective 'ordinary' (pyeongbeomhada) goes beyond simply 'everyday life' and is deeply related to how we 'perceive' (insik) something.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nunciation and perception, check out this article.

오늘의 어휘
Today's Vocabulary

평범하다

pyeongbeomhada

To be ordinary, common, regular

인식

insik

Perception, recognition

공익 광고

gongik gwanggo

Public service advertisement/announcement (PSA)

만약 우리가 장애인을 '평범한 사람'으로 보지 못한다면, 광고에 그들이 나오는 것조차 '평범하지 않게' 느껴질 수 있다는, 뼈 때리는 메시지를 던지는 거예요! 🤯

If we cannot see people with disabilities as 'ordinary people,' then even their appearance in an advertisement might feel 'not ordinary' – that's the hard-hitting message it delivers! 🤯

질문으로 시작하는 한국어 & 사회 성찰 타임! 🤔

Korean Language & Social Reflection Time Starting with a Question! 🤔

광고는 우리에게 이렇게 질문을 던집니다: "평범한 광고에 왜 장애인이 등장하지 않을까요?"

The advertisement poses this question to us: "Why don't people with disabilities appear in ordinary advertisements?"

이 질문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은 아주 유용한 표현들을 익힐 수 있어요!

'~에 등장하다'

'-e deungjanghada'

'(to) appear in/on ~'

설명: '어딘가에 나타나다'는 뜻이에요. 영화, 드라마, 광고 등에서 인물이나 사물이 나올 때 쓸 수 있어요. (예: 드라마에 잘생긴 배우가 등장했다.)

Explanation: It means 'to appear somewhere.' It can be used when characters or objects come out in movies, dramas, advertisements, etc. (Example: A handsome actor appeared in the drama.)

'~지 않다'

'-ji anta'

'(to) not do/be ~'

설명: 부정문을 만들 때 쓰는 마법의 표현!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여서 '아니다'라는 의미를 더해줘요. (예: 저는 매운 음식을 먹지 않아요.)

Explanation: A magical expression used to create negative sentences! It's attached after verbs or adjectives to add the meaning of 'not.' (Example: I don't eat spicy food.)

'~까요?'

'-kkalyo?'

'(I) wonder if ~ / Shall we ~?' (interrogative ending)

설명: 상대방의 의견을 묻거나 함께 생각해보자는 뉘앙스를 줄 때 쓰는 의문형 종결어미예요. 아주 부드러운 질문이죠! (예: 우리 오늘 저녁에 영화 볼까요?)

Explanation: It is an interrogative ending used to ask for the other person's opinion or to suggest thinking together. It's a very soft question! (Example: Shall we watch a movie tonight?)

Mike:

그 선글라스 광고 정말 신선했어요! 장애인이 등장할 줄은 몰랐어요.

Mike:

That sunglass ad was really fresh! I didn't expect people with disabilities to appear.

Grace:

맞아요. 저도 처음엔 깜짝 놀랐어요. '평범하다'는 단어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됐어요.

Grace:

That's right. I was surprised at first too. It made me rethink the word 'ordinary.'

Mike:

그러게요. 우리 사회의 '편견 없는 시선'이 정말 중요하겠죠? 사회적 편견에 대한 다른 글도 읽어보는 건 어때요?

Mike:

Indeed. An 'unbiased perspective' in our society is truly important, isn't it? How about reading another article about social prejudice?

이 질문은 결국 우리에게 이렇게 되묻는 것과 같아요: "우리가 일상에서 장애인을 평범하게 보지 못하는 것과 똑같은 거 아닐까요?"

Ultimately, this question is like asking us back: "Isn't it the same as us not being able to see people with disabilities as ordinary in our daily lives?"

크으, 생각할수록 고개가 끄덕여지네요!

Wow, the more I think about it, the more I nod my head in agreement!

다음 문장의 빈칸을 채워보세요:
(Fill in the blank in the following sentence:)

그 배우는 드라마에 .

The actor in the drama.

편견은 던져버려! 새로운 일상으로 GoGo! ✨

Throw Away Prejudice! Let's Go to a New Daily Life! ✨

광고의 최종 메시지는 "이 모든 것이 평범한 선글라스 광고"예요.

The advertisement's final message is "All of this is a regular sunglass ad."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전혀 다를 바 없는 '평범한 존재'라는 걸 강조하죠.

It emphasizes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ordinary beings', no different from those without disabilities.

그리고 마지막 문구, "새로운 일상, 편견 없는 시선으로부터"는 한국 사회가 얼마나 '포용''다양성 존중'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잘 보여줍니다.

And the final phrase, "A new daily life, from an unbiased perspective," clearly shows how much Korean society values 'inclusivity' (poyong) and 'respect for diversity' (dayangseong jonjung).

주요 표현
Key Expressions

~로부터

~robeuteo

from ~ (indicating origin or source)

설명: 어떤 일의 시작점이나 출처를 나타낼 때 쓰는 조사예요. (예: 서울로부터 부산까지 기차를 탔어요.)

Explanation: It's a particle used to indicate the starting point or source of something. (Example: I took a train from Seoul to Busan.)

편견 없는

pyeon'gyeon eomneun

Unbiased, without prejudice

설명: '어떤 대상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치우친 생각이 없는' 상태를 의미해요.

Explanation: It means being 'free from stereotypes or biased thoughts about a certain subject.'

포용

poyong

Inclusivity, embracing

다양성 존중

dayangseong jonjung

Respect for diversity

어때요? 짧은 광고 하나로 이렇게 많은 한국어 표현을 배우고, 한국 사회의 멋진 가치관까지 엿볼 수 있다니!

How was it? To be able to learn so many Korean expressions and even get a glimpse of the wonderful values of Korean society from just a short advertisement!

한국어 공부, 정말 재미있죠? 😊

Learning Korean is really fun, isn't it? 😊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콘텐츠 제작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Clicking on advertisements greatly helps content creation.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How to Dramatically Advance Your Business Korean Proficiency② 판매, 인플루언서, 도달, 핫스팟

🗣️A Korean job interview? 면접 체크리스트

🎬Learning Korean with Korean Movie①Default 국가부도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