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Da-mi '백번의 추억'(A Hundred Memories) 로 배우는 한국어 (Korean) vol.21 : '--았/었었-',' 낯이 익다 / 낯설다'
K-드라마 '백번의 추억' 한국어
'엇갈린 우정과 불길한 예감'
Learning Korean with K-Drama 'A Hundred Times Memories'
안녕하세요! 오늘 분석할 '백번의 추억' 장면은 **김다미의 복잡한 감정**을 두고 **신예은과 친구**가 나누는 대화와 충격적인 **사고 엔딩**이 담겨 있습니다. 이 장면은 **'절친'** \[00:00:07] 사이에서 발생하는 오해, **'촉'** \[00:00:17]이라는 한국적인 표현, 그리고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에서 쓰이는 **'구급차'** \[00:01:26] 요청 등 현실적인 한국어 표현들을 익힐 수 있는 중요한 클립입니다. 드라마의 분위기를 완전히 뒤바꾸는 이 '사고 엔딩'을 통해 한국어 표현과 함께 드라마적 긴장감도 느껴보세요.
Hello! The 'A Hundred Times Memories' scene we will analyze today contains a conversation between **Shin Ye-eun and her friend** about **Kim Da-mi's complex feelings** and a shocking **accident ending**. This clip is important for learning practical Korean expressions such as misunderstandings between **'best friends (jeolchin)'** \[00:00:07], the unique Korean concept of **'gut feeling (chok)'** \[00:00:17] being correct, and the urgent request for an **'ambulance (gugeupcha)'** \[00:01:26] in an emergency. Experience the dramatic tension along with learning Korean expressions through this 'accident ending' that completely changes the mood of the drama. First, watch the video.
선행 학습: 꼭 알아야 할 한국어
Pre-learning: Essential Korean
드라마 속 긴장감 넘치는 대화를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한 고급 한국어 어휘와 표현을 익혀봅시다. 이 표현들은 감정을 전달하고 상황을 판단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절친 (絶親 - Jeolchin)
발음: [jeolchin]
의미: '절친한 친구'의 줄임말로, 매우 가깝고 친한 친구를 뜻합니다. 일상 대화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표현입니다. 'Best friend', 'Close friend'의 의미입니다.
예시: 절친이라더니 [00:00:07] 친구 마음을 잘 모르는 거 같네. (You say you're **best friends** [00:00:07], but it seems you don't know your friend's heart well.)
촉이 딱 맞다 / 촉이 서다
발음: [chogi ttak matta] / [chogi seoda]
의미: **'촉 (觸)'**은 육감, 직감, 또는 예감을 뜻하며, 특히 여성들 사이에서 분위기를 파악하는 능력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딱 맞다'**는 예감이 정확하다는 뜻입니다. 'Gut feeling is spot on'의 의미입니다.
예시: 아 이거 내가 보기에 촉이 딱 남자던데 [00:00:17] 남자는 무슨. (Ah, from my point of view, my **gut feeling is spot on** [00:00:17].)
불길함을 암시하다
발음: [bulgilhameul amsi hada]
의미: 불행하거나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날 징조나 분위기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to hint at a bad omen', 'to suggest a sinister sign'의 의미입니다. (영상 제목에서 사용)
예시: 불길함을 암시하는 [00:00:00 - Title] 의문의 사고. (A mysterious accident **hinting at a bad omen** [00:00:00 - Title].)
-더니 (-deoni)
발음: [-deoni]
의미: 앞선 사실을 경험하거나 알게 된 후, 그와 관련된 **대조적인 결과**나 **새로운 사실**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although (something happened), then (something else happened)' 또는 'since (something happened), then (I realized something)'의 의미입니다.
예시: 넌 영내가 진짜 나 좋아하는 거 같아 절친이라더니 [00:00:07] 친구 마음을 잘 모르는 거 같네. (You say you're **best friends**, but it seems you don't know your friend's heart well.) - *절친이라고 들었는데(앞선 사실), 실제로는 모른다(대조적인 결과)*
💡 오늘의 팁 | Today's Tip
한국 드라마나 영화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사람들은 **'신고 좀 해줘 (Call it in)'** \[00:01:26]나 **'구급차/119'** \[00:01:26]를 외칩니다. **'119'**는 한국의 소방서 및 구급차 신고 번호로, '구급차'와 함께 가장 빠르게 구조를 요청하는 표현입니다. 이처럼 긴급한 상황 표현을 익혀두면 실생활은 물론, 한국 드라마 감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When an emergency occurs in Korean dramas or movies, people shout **'Call it in (singgo jom haejwo)'** \[00:01:26] or **'Ambulance (gugeupcha)/119'** \[00:01:26]. **'119'** is Korea's emergency number for fire and ambulance services, and it is the fastest way to request rescue along with 'gugeupcha'. Learning these emergency expressions will help you in real life as well as in appreciating Korean dramas!
🚀고급 한국어 관용 표현 익히기 (feat. 감정 표현)
연습 문제
Practice Exercises
배운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어보세요. 정답은 스스로 찾아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입니다! 🧐
문제 1: 대화 완성하기 (Dialogue Completion)
다음 대화의 빈칸을 가장 알맞은 어휘로 채우세요. (Fill in the blanks in the following dialogue with the most appropriate vocabulary.)
A: 넌 맨날 나보고 **촉이** (___) 없다고 하더니, 이번엔 내 (___)이 딱 맞았잖아!
B: 미안. 내가 너를 **절친이라고** (___) 너무 네 마음을 몰랐네.
정답 예시: A: 좋다/날카롭다, 촉 / B: 하더니
문제 2: 문법 적용하기 (Grammar Application)
다음 문장을 문법 '-더니'를 사용하여 **대조적인 깨달음**을 표현하는 문장으로 바꾸세요. (Convert the following sentence into a sentence expressing a **contrastive realization** using the grammar '-더니'.)
원본: 매일 야근해서 피곤하다고 하더니, 사실은 비밀 연애 중이었다.
전환: 매일 야근해서 피곤하다고 (___), 사실은 비밀 연애 중이었다.
정답 예시: 하더니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아래 링크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