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해 우리는 (Our Beloved Summer) 속의 한국어(Korean) 탐험 (12) : '~ 느라'
K-Drama '그 해 우리는'으로
배우는 한국어
Learning Korean with 'Our Beloved Summer'
안녕하세요! 오늘은 SBS 드라마 '그 해 우리는'의 가슴 아픈 이별 장면을 통해 한국어 표현을 배워볼게요. 이별의 진짜 이유를 고백하는 순간입니다. 영상과 함께 이들의 복잡한 감정과 한국어를 공부해 보세요.
Hello! Today, let's learn Korean expressions through the heartbreaking breakup scene from the SBS drama 'Our Beloved Summer.' This is the moment when the real reason for their breakup is revealed. Study Korean along with their complex emotions by watching the video.
선행 학습: 꼭 알아야 할 한국어
Pre-learning: Essential Korean
영상에 나오는 주요 어휘와 문법 표현을 미리 배워두면 훨씬 더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어요!
확신
Surety, Conviction
발음: [hwaksin] | 품사: 명사
굳게 믿어 의심하지 않는 것을 뜻합니다. 영상 속 최웅은 '우리는 절대 헤어지지 않을 거라는 확신'이 있었다고 말합니다.
예시: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져야 해. (You must have the surety that you can succeed.)
간절하다
Earnest, Desperate
발음: [ganjeolhada] | 품사: 형용사
마음속으로 매우 바라는 느낌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최웅은 국연수가 이별을 고할 때의 눈빛이 '너무 간절해서' 그 이유를 알고 싶었다고 회상합니다.
예시: 그녀는 합격하기를 간절하게 바랐다. (She desperately wished to pass.)
지치다
To be exhausted, to be tired
발음: [jichida] | 품사: 동사
몸과 마음이 매우 힘들거나 피곤해진 상태를 말합니다. 국연수는 이별 이유에 대해 '내가 너무 지쳤었어'라고 말합니다.
예시: 긴 여행 끝에 몸이 너무 지쳤다. (I was so tired after a long trip.)
~느라
Because of...; As a result of...
앞 절의 행위가 뒤 절의 행위나 상태에 대한 원인이나 이유가 됨을 나타냅니다. 주로 부정적인 결과에 쓰입니다.
예시: 시험 공부를 하느라 밤을 새웠다. (I stayed up all night because I was studying for the exam.)
~다는 게
The fact that...
앞서 언급한 사실이나 내용이 중요하거나 강조하고 싶은 포인트임을 나타냅니다.
예시: 지금 우리가 다시 만났다는 게 중요하잖아. (The fact that we've met again now is what's important, isn't it?)
~더라
I recall/found out that...
과거에 경험하거나 새로 알게 된 사실을 회상하며 말할 때 사용합니다.
예시: 그 영화, 정말 재미있더라. (That movie, it was really fun, I recall.)

K-드라마 대화 속 숨은 한국어
Hidden Korean in K-Drama Dialogue
이번 영상은 최웅이 국연수에게 이별의 진짜 이유를 묻는 장면입니다. 과거 이별을 고하던 국연수의 눈빛이 '너무 간절해서' 잊을 수 없었다고 고백합니다 [[00:29]](http://www.youtube.com/watch?v=MBUnFIngb6o&t=29). 하지만 국연수는 '내가 너무 지쳤었어'라는 솔직하지 못한 답변으로 대화를 회피하려고 합니다 [[00:47]](http://www.youtube.com/watch?v=MBUnFIngb6o&t=47). 이처럼 '지쳤다'는 단순히 피곤하다는 의미를 넘어, 관계를 유지할 힘조차 없었음을 암시하는 깊은 감정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한국어 실력을 극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
문화 팁 | Cultural Tip
한국에서는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보다 '지쳤다', '힘들었다'와 같이 자신의 어려운 상황을 이유로 드는 간접적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이는 상대방을 배려하는 문화적 특성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K-드라마로 배우는 한국어 표현
💡 오늘의 팁 | Today's Tip
'~느라'는 부정적인 맥락에 주로 쓰이지만, '취업 준비를 하느라 바빴지만, 결국 성공했다.'와 같이 긍정적인 결과에도 쓸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의미를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한국어 고급 문법 및 표현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아래 링크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 가장 한국어 잘하는 일본인| Arita Momoko
- 실용 한국어: 핵심만 쏙쏙! 비즈니스 이메일 팁 | Practical Korean: Key Tips for Business Emails
- 한국어 고급 문법 및 표현 | Advanced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