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RAP 30-DAY BREAKTHROUGH STRATEGY
1일차: '비슷하지만 다른 의미' 함정 탈출
Day 1: Escaping the 'Similar but Different Meaning' Trap안녕하세요!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의 첫날입니다. 오늘은 TOPIK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비슷하지만 다른 의미' 함정 문제를 공략해 보겠습니다. TOPIK은 단순히 어휘를 아는 것을 넘어, 문맥에 맞게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우리는 유사어, 동음이의어의 미묘한 차이를 분석하며 함정의 덫을 피하는 방법을 배울 것입니다.
Hello! Welcome to Day 1 of the TOPIK TRAP 30-DAY BREAKTHROUGH STRATEGY. Today, we'll tackle the 'Similar but Different Meaning' trap, a common pitfall in the TOPIK exam. TOPIK requires more than just knowing vocabulary; it demands a precise understanding of meaning within context. We will analyze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similar-sounding words and synonyms to learn how to avoid these tricky traps.
실전 문제 풀이: 문맥의 덫을 피해라
Practical Problem Solving: Avoid the Trap of Context지금부터 5개의 실전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문제와 해설을 통해 함정 포인트를 정확히 짚어내는 훈련을 해보세요. Let's solve 5 practical problems. Use the questions and explanations to practice identifying the trap points accurately.
[세트 1] 다음 글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새로운 프로젝트의 계획을 세웠지만, 아직 결재를 받지 못해 진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① 프로젝트는 이미 시작되었다.
② 프로젝트 계획은 세워지지 않았다.
③ 결재를 받아야만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다.
④ 프로젝트 계획에 대한 결재는 필요 없다.
✏️ 정답: ③
해설 및 분석: 지문은 '계획을 세웠지만, 아직 결재를 받지 못해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는 결재가 프로젝트 진행의 필수 조건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③번이 가장 정확한 내용입니다. ①번은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내용과 반대되며, ②번은 '계획을 세웠지만'이라는 내용과 모순됩니다. ④번은 지문의 내용과 정반대입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passage states that the 'plan was made, but the project cannot proceed because the approval has not been received.' This implies that approval is a prerequisite for the project to start. Therefore, ③ is the most accurate statement. ① contradicts the statement that the project 'cannot proceed,' ② contradicts the fact that 'the plan was made,' and ④ is the opposite of the passage's content.
유사한 절차에 쓰이는 '계획'과 '결재'라는 단어를 통해 두 개념을 혼동하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계획은 '준비' 단계이고, 결재는 '승인' 단계로, 두 단계의 선후 관계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TRAP POINT: The Sequence Trap of 'Plan' and 'Approval'
This trap confuses test-takers by using similar procedural words 'plan' and 'approval.' A plan is the 'preparation' stage, while approval is the 'sanction' stage. It's crucial to correctly identify the chron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세트 2] 다음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가장 비슷한 것을 고르십시오.
이번 사업의 성공 여부는 시장 동향에 따라 좌우될 것입니다.
① 현황
② 현상
③ 추세
④ 상황
✏️ 정답: ③
해설 및 분석: '동향(動向)'은 '움직이는 방향'을 의미하며, 주로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추세'나 '경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③번 '추세'가 가장 비슷한 의미를 가집니다. ① '현황'은 현재의 상황을, ② '현상'은 현재 나타나고 있는 사실을, ④ '상황'은 벌어지고 있는 일 자체를 의미합니다.
Solution & Analysis: '동향 (動向)' means 'moving direction,' primarily referring to the 'trend' or 'tendency' of how something will change in the future. Therefore, ③ '추세 (trend)' is the most similar in meaning. ① '현황 (current state)' refers to the present condition, ② '현상 (phenomenon)' refers to a currently occurring fact, and ④ '상황 (situation)' refers to the event itself.
'동향', '현황', '현상' 등은 모두 현재와 관련된 단어이지만, '동향'은 미래 지향적인 의미가 강한 반면, 다른 단어들은 현재의 사실을 묘사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이 미세한 의미 차이를 놓치면 오답을 고르기 쉽습니다.
TRAP POINT: The Semantic Difference Trap of Synonyms
Words like '동향,' '현황,' and '현상' are all related to the present, but '동향' has a strong future-oriented nuance, while the others focus on describing current facts. Missing this subtle difference can easily lead to a wrong answer.
[세트 3] 다음 대화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박 대리: 신제품 발표회를 진행할 장소를 아직 못 정했어요.
Park Dae-ri: We haven't decided on a venue to hold the new product launch yet.
그레이스: 이번 주까지는 진행 상황을 알려달라고 했는데, 큰일이네요.
Grace: I was told to update on the progress by this week, this is a big problem.
① 박 대리는 신제품 발표회 장소를 이미 정했다.
② 그레이스는 박 대리가 상황을 알려주지 않아 걱정하고 있다.
③ 신제품 발표회는 다음 달에 열릴 예정이다.
④ 박 대리는 발표회 장소를 찾고 있는 중이다.
✏️ 정답: ④
해설 및 분석: 박 대리의 첫 문장에서 '장소를 아직 못 정했어요'라고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장소를 찾고 있는 중이라는 의미와 동일합니다. ①번은 '정했다'고 했으므로 오답, ②번은 '진행 상황'에 대한 걱정이지만, '알려주지 않아서'가 아니라 '결정이 늦어져서'가 문제의 핵심입니다. ③번은 언급되지 않은 내용입니다.
Solution & Analysis: Park Dae-ri's first sentence clearly states, "I haven't decided on a venue yet." This is synonymous with currently looking for a venue. ① is incorrect as it says the venue has been decided. ② is a trap where Grace is worried about the 'progress,' but the core issue is the delay in the decision, not that the information hasn't been communicated. ③ is not mentioned.
'진행하다'는 '무엇인가를 추진하다'와 '어떤 일이 되어가는 과정'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박 대리는 장소를 '추진(진행)'할 장소를 못 정한 것이고, 그레이스는 그 일의 '과정(진행)'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로 쓰이는 동음이의어를 구분해야 합니다.
TRAP POINT: The Homonym Trap of '진행하다'
'진행하다' has two meanings: 'to push something forward' and 'the process of something happening.' Park Dae-ri is looking for a place to 'push forward' the event, while Grace is concerned about the 'process' of it. It's essential to distinguish between the homonym's different meanings based on context.
[세트 4] 다음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가장 비슷한 것을 고르십시오.
저희 팀의 노력이 결실을 맺을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① 결과
② 열매
③ 희망
④ 성공
✏️ 정답: ①
해설 및 분석: '결실(結實)을 맺다'는 노력에 대한 좋은 결과를 얻는다는 뜻의 관용구입니다. 따라서 '결실'은 '결과'와 가장 비슷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②번 '열매'는 물리적인 의미의 결과물에 가깝지만, 이 문장에서는 추상적인 의미로 쓰였습니다.
Solution & Analysis: '결실을 맺다 (to bear fruit)' is an idiom meaning to achieve a good result from one's efforts. Therefore, '결실' is most similar to '결과 (result).' ② '열매 (fruit)' is closer to a physical outcome, whereas in this sentence, it's used in a more abstract sense.
'결실'은 '열매'라는 물리적인 의미와 '노력의 결과'라는 비유적인 의미를 모두 가집니다. 이 문맥에서는 '노력의 결과'라는 비유적 의미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의미인 '열매'를 고르면 함정에 빠지게 됩니다.
TRAP POINT: The Trap of Figurative vs. Literal Meaning
'결실' has both a literal meaning ('fruit') and a figurative one ('the result of efforts'). In this context, it is used figuratively. Choosing the literal meaning, '열매,' is a common trap.
[세트 5] 다음 글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마이크는 한국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아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다. 하지만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매일 한국 드라마를 보며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다.
① 마이크는 한국어를 잘하지만 한국 문화는 모른다.
② 마이크는 한국 문화에 대해 부족한 점을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다.
③ 마이크는 한국 생활에 어려움이 없어 보인다.
④ 마이크는 드라마를 보지 않고 한국어를 공부한다.
✏️ 정답: ②
해설 및 분석: 지문은 마이크가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매일 한국 드라마를 보며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②번 '마이크는 한국 문화에 대해 부족한 점을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다'가 가장 정확한 내용입니다. ①번은 '한국어를 잘한다'는 내용이 언급되지 않았고, ③번은 '부족하다'는 내용과 모순됩니다. ④번은 지문의 내용과 정반대입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passage states that Mike h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but is 'studying Korean while watching Korean dramas every day to overcome this.' Therefore, ②, which says 'Mike is trying to overcome his shortcomings in Korean culture,' is the most accurate. ① is incorrect as his Korean language skills are not mentioned. ③ contradicts the statement that he has a 'lack of understanding.' ④ is the opposite of what the passage says.
지문의 앞부분만 읽고 '한국 문화 이해도가 부족하다'는 내용에만 집중하면 오답을 고르기 쉽습니다. '하지만'이라는 역접 접속사 뒤에 나오는 내용이 글의 핵심입니다. 앞의 내용은 배경일 뿐, 핵심적인 사실은 그가 노력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TRAP POINT: The Reversal Trap of '하지만'
It's easy to choose the wrong answer if you only focus on the first part of the passage, 'he h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e key information lies after the adversative conjunction '하지만 (but)'. The first part is just context; the crucial fact is that he is making an effort.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1. 동향 (動向) (trend, tendency)
의미: 세상이나 사물의 움직이는 방향이나 형편.Meaning: The direction or situation in which things are moving or changing.
예문: 최근 주식 시장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xampl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recent stock market.
2. 결실 (結實) (fruit, result)
의미: 노력한 일에 대한 좋은 결과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Meaning: A metaphorical term for a good outcome from one's efforts.
예문: 오랜 노력 끝에 드디어 결실을 맺었습니다.
Example: After a long effort, we finally achieved results.
3. 좌우(左右)되다 (to be influenced, to be dependent on)
의미: 어떤 것에 영향을 받아 결정되거나 바뀌다.Meaning: To be influenced, determined, or changed by something.
예문: 시험 점수는 평소 공부량에 좌우될 수밖에 없습니다.
Example: Test scores are inevitably dependent on the amount of study you do.
핵심 문법 (Key Grammar)
1. '-을/를 넘어' (beyond)
의미: 어떤 기준, 한계, 범위 등을 초과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Meaning: An expression used to indicate exceeding a certain standard, limit, or scope.
예문: 단순한 친분을 넘어 우리는 진정한 친구가 되었습니다.
Example: Beyond a simple acquaintance, we became true friends.
2. '-(으)며' (and, while)
의미: 두 가지 이상의 행위나 상태가 동시에 진행될 때 사용하는 연결 어미.Meaning: A connective ending used when two or more actions or states occur simultaneously.
예문: 그는 음악을 들으며 책을 읽고 있습니다.
Example: He is reading a book while listening to music.
3. '-(으)ㄴ/는 것' (the fact of doing something)
의미: 동사를 명사형으로 바꾸어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로 사용.Meaning: Converts a verb into a noun form to be used as the subject or object of a sentence.
예문: 한국어를 공부하는 것이 즐거워요.
Example: I enjoy studying Korean.
✏️ 복습 연습 문제 (Review Practice Questions)
1. 다음 빈칸에 가장 알맞은 단어를 고르십시오.
요즘 한국 드라마가 큰 인기를 얻는 _______에 힘입어 한국어 학습자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① 현상
② 동향
③ 상황
④ 결과
정답: ②
해설: '동향'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를 나타냅니다. 드라마가 인기를 얻어 학습자가 늘어나는 '추세'를 의미하므로 '동향'이 가장 적절합니다. '현상'도 가능하지만, '힘입어'라는 표현과 함께 쓰일 때는 '동향'이 더 자연스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