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Immigration focus news0716 : 경기도 이민사회국 출범 1주년의 의의

이주민도 경기도민입니다: 이민사회국, 출범 1년의 변화 실험

이주민도 경기도민입니다
이민사회국, 출범 1년의 변화 실험

Immigrants Are Also Gyeonggi Citizens: Gyeonggi Immigration & Social Affairs Bureau, A Year of Transformative Experimentation

전국 최초 이민정책 전담 조직, 경기도 이민사회국 (Korea's First Dedicated Immigration Policy Organization, Gyeonggi Immigration & Social Affairs Bureau)

경기도가 이주민 포용정책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Gyeonggi Province has opened new horizons for immigrant inclusion policies. 2024년 7월, 전국 최초로 '이민사회국'을 신설하며 급증하는 이주민 인구와 다문화 사회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온 경기도가 어느덧 출범 1주년을 맞았습니다. In July 2024, Gyeonggi Province, which has been proactively responding to the surging immigrant popul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al trends by establishing the nation's first 'Immigration and Social Affairs Bureau,' has now reached its first anniversary. 기존에는 노동국 산하의 단일 부서에 불과했던 외국인 정책 기능이 이제는 국 단위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대응이 가능해졌습니다. Whereas foreign policy functions were previously limited to a single department under the Labor Bureau,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olicy responses are now possible at the bureau level.

김예화 경기도 이민사회정책과 주무관은 "작년 7월 18일, 경기도 북부청사에 '이민사회국'이 신설됐고, 아래에 '이민사회정책과'와 '이민사회지원과' 두 개 부서가 있다. Kim Ye-hwa, an officer in Gyeonggi Province's Immigration and Social Policy Division, explained, "On July 18 last year, the 'Immigration and Social Affairs Bureau' was newly established at the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s Northern Office, with two subordinate departments: the 'Immigration and Social Policy Division' and the 'Immigration and Social Support Division.' 이는 광역지자체 최초의 이민정책 전담 국 단위 조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This is the first dedicated bureau-level organization for immigration policy among major local governments."

경기도에는 현재 등록 외국인 약 81만 명을 포함, 미등록자까지 합하면 100만 명에 이르는 이주민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In Gyeonggi Province, there are currently approximately 810,000 registered foreigners, and including undocumented individuals, the total number of immigrants residing is estimated to reach 1 million. 이에 도는 포용사회 실현을 목표로 '경기도 이민사회 종합계획(2025~2027년)'을 수립하고, 사회통합, 인권보장, 이민정책, 거버넌스 등 4개 분야 33개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Therefore, with the goal of realizing an inclusive society, the province has established the 'Gyeonggi Province Comprehensive Immigration and Social Plan (2025-2027)' and presented 33 tasks in four areas: social integration, human rights protection, immigration policy, and governance.

확대된 지원 인프라: 경기도이민사회통합지원센터 (Expanded Support Infrastructure: Gyeonggi Immigration & Social Integration Support Center)

올해 7월 의정부에 문을 연 '경기도이민사회통합지원센터'는 기존 안산 외국인인권지원센터의 기능을 대폭 확대·개편한 기관입니다. The 'Gyeonggi Immi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Support Center,' which opened in Uijeongbu this July, is an organization that has significantly expanded and reorganized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Ansan Foreigner Human Rights Support Center. 사무공간은 14배 이상 넓어졌고, 운영 인력도 7명에서 18명으로 늘어났습니다. Its office space has expanded more than 14 times, and its operational staff has increased from 7 to 18. 10개 언어의 다국어 상담 서비스가 도입되어 법률, 노무, 생활정보 등 맞춤형 지원이 제공됩니다. Multilingual counseling services in 10 languages have been introduced, providing customized support for legal, labor, and living information. 지난해에는 교육과 생활상담만 1만 건이 넘었습니다. Last year, educational and lifestyle counseling alone exceeded 10,000 cases.

"예전에는 개별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상담을 받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의정부 센터를 통한 허브 기능 덕분에 지역 간 연계가 활성화됐다. 외국인 주민이 복지와 생활 문제를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어 매우 만족한다는 평가가 있다." - 김예화 경기도 이민사회정책과 주무관 "Previously, counseling was limited to individual regions, but now, thanks to the hub function through the Uijeongbu Center, inter-regional cooperation has been activated. There is an evaluation that foreign residents are very satisfied as they can resolve welfare and living issues in one place." - Kim Ye-hwa, Gyeonggi Province Immigration and Social Policy Division Officer

다각적인 이주민 지원 정책 (Multifaceted Support Policies for Immigrants)

경기도는 이주민 정보 접근성 강화를 위해 다국어 '이주민 포털' 시스템을 2026년까지 구축할 계획입니다. Gyeonggi Province plans to establish a multilingual 'Immigrant Portal' system by 2026 to enhance immigrants' access to information. 이 플랫폼은 체류·생활 정보뿐만 아니라 국가별 커뮤니티 기능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This platform will provide not only residency and living information but also country-specific community functions.

이주노동자 지원도 확대됩니다. Support for migrant workers is also being expanded. 도는 노후 쉼터 15곳 리모델링을 지원하고, 제조업체 작업장에는 환경개선비를 지원합니다. The province supports the remodeling of 15 old shelters and provides environmental improvement costs for manufacturing workplaces. '행복일터' 지정으로 안전 점검을 진행하며, 열악한 숙소에 대한 TF도 운영 중입니다. Safety inspections are conducted through the designation of 'Happy Workplaces,' and a task force for substandard accommodation is also in operation. 특히, '경기도형 E-7 광역비자' 제도를 도입하여 첨단 ICT와 요양 등 분야에서 전국 쿼터의 절반 이상을 배정받았습니다. Notably, the 'Gyeonggi-type E-7 Regional Visa' system has been introduced, allocating over half of the national quota in fields such as advanced ICT and elder care.

아동 정책도 강화되어 전국 최초로 2037명 이주민 자녀에게 취학 안내장을 발송하고, 미등록 아동 체류 연장 등 제도개선을 건의했습니다. Child policies have also been strengthened, with the nation's first issuance of school enrollment guides to 2,037 immigrant children, and proposal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such as extending stays for undocumented children. '공적 확인제도'도 도입하여 기본권 보장에 힘쓰고 있습니다. A 'public verification system' has also been introduced to strengthen the guarantee of fundamental rights.

외국인 주민을 위한 EMS 요금 할인, 폭력 피해 이주여성을 위한 전문상담센터 설립, 이주민과 선주민이 함께하는 통합축제 등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Various policies are being promoted, including EMS fee discounts for foreign residents,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counseling centers for immigrant women who are victims of violence, and integrated festivals where immigrants and existing residents can participate together.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정착 지원 강화를 위한 조례 제정 및 전담센터 설립도 추진 중입니다. The establishment of ordinances and dedicated centers to attract and support the settlement of foreign students is also underway.

"이주민도 경기도민" (Immigrants are Gyeonggi Citizens Too)

김원규 경기도 이민사회국장은 "이민사회국 출범 이후 도민과 이주민 모두가 존중받고 조화롭게 공존하는 사회를 위해 전국을 선도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이주민도 경기도민입니다'라는 원칙 아래 모두가 어울려 살아가는 포용사회를 실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Kim Won-gyu, Director of the Gyeonggi Immigration and Social Affairs Bureau, sta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Immigration and Social Affairs Bureau, we have been implementing leading policies nationwide to foster a society where both citizens and immigrants are respected and coexist harmoniously," emphasizing, "Under the principle that 'immigrants are also Gyeonggi citizens,' we will realize an inclusive society where everyone lives together in harmony."

외국인이 알아야 할 한국어 어휘 및 문법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for Foreigners)

어휘 (Vocabulary) 1

  • 신설 (新設) [sin-seol]
  • English Meaning: New establishment; newly established
  • Explanation: 기존에 없던 것이 새로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기관, 조직, 제도 등에 사용됩니다. It means that something that did not exist before is newly created. It is mainly used for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systems.
  • Example: 경기도는 이주민을 위한 이민사회국을 신설했습니다. Gyeonggi Province newly established an Immigration & Social Affairs Bureau for immigrants.

어휘 (Vocabulary) 2

  • 주무관 (主務官) [ju-mu-gwan]
  • English Meaning: Officer in charge; administrative officer
  • Explanation: 주로 공무원 조직에서 특정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를 지칭하는 직책입니다. It is a position that refers to a working-level official who is in charge of specific duties, mainly in a public official organization.
  • Example: 김예화 주무관은 이민사회정책과 소속입니다. Officer Kim Ye-hwa is affiliated with the Immigration & Social Affairs Policy Division.

어휘 (Vocabulary) 3

  • 선제적 (先制的) [seon-je-jeok]
  • English Meaning: Proactive; pre-emptive
  • Explanation: 어떤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대처하거나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t means to respond or take action in advance before a problem occurs.
  • Example: 경기도는 이주민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민사회국을 만들었습니다. Gyeonggi Province created the Immigration & Social Affairs Bureau to proactively respond to the increase in immigrants.

문법 (Grammar) 1

  • -에 나선다 (-e naseonda)
  • English Meaning: "to embark on doing something"; "to step forward to do something"
  • Explanation: 어떤 목적을 가지고 특정 행동이나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시작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주로 '대응에 나서다', '해결에 나서다' 등과 같이 쓰입니다. It is an expression used when actively participating in or starting a specific action or task with a certain purpose. It is mainly used with phrases like '대응에 나서다' (to respond) or '해결에 나서다' (to embark on solving).
  • Example: 정부는 저출산 문제 해결에 나섰습니다. The government has embarked on solving the low birth rate problem.

문법 (Grammar) 2

  • -에 이르는 (-e ireuneun)
  • English Meaning: "reaching (a certain number/extent)"; "up to (a certain point)"
  • Explanation: 어떤 수치나 범위, 상태에 도달하거나 그것에 해당함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It is used to indicate reaching a certain numerical value, range, or state, or corresponding to it.
  • Example: 경기도에는 100만 명에 이르는 이주민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There are immigrants numbering up to 1 million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문법 (Grammar) 3

  • -뿐만 아니라 (-ppunman anira)
  • English Meaning: "not only... but also..."
  • Explanation: 앞 내용에 더해 뒷 내용까지 포함됨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열거의 의미를 가집니다. It is used to indicate that the content of the preceding clause includes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use. It has the meaning of enumeration.
  • Example: 이주민 포털은 체류 정보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기능도 제공합니다. The immigrant portal provides not only residency information but also community features.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