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JOB NEWS 0710_ 강릉시 외국인계절노동자 확대_wide open job opportunity!

강릉시, 외국인 계절근로자 확대로 농촌 인력난 해소한다

오늘의 한국취업 뉴스0710

강릉시, 외국인 계절근로자 확대로 농촌 인력난 해소

강원 강릉시가 최근 농업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확대 추세에 따라 근로자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Gangneung City, Gangwon Province, is making diverse efforts to ensure the stable settlement of foreign seasonal workers, following the recent trend of expanding their numbers in the agricultural sector.

강릉 감자 농장에서 일하는 계절 노동자 외국인

9일 강릉시에 따르면 시는 출생·고령화, 농촌 청년 인구 유출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 대응 차원에서 지난 2021년 49명의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도입했다. 이후 매년 수요인원이 증가하면서 지난해 기준 총 130명의 외국인 계절근로자가 입국해 시설원예, 과수, 무·배추 등을 재배하는 농가에 소속돼 근로하고 있다.

According to Gangneung City on the 9th, the city introduced 49 foreign seasonal workers in 2021 as a measure to counter the crisis of rural 소멸 (extinction) due to declining birthrates, an aging population, and the outflow of young people from rural areas. Since then, the demand has increased annually, with a total of 130 foreign seasonal workers entering the country as of last year, working for farms that cultivate facility horticulture, fruit trees, radishes, and cabbage.

또한 시는 2025년 공공형 농촌인력중개센터 국비 공모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올해 초에는 계절근로 우수지자체로 선발돼 배정인원 확대, 농업관련 서류면제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받았다.

Furthermore, the city was selected for the 2025 public rural labor brokerage center national funding project and, earlier this year, was chosen as an 우수지자체 (excellent local government) for seasonal workers, receiving incentives such as an increase in allocated personnel and exemption from agriculture-related documentation.

특히 시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확대에 따라 다양한 복지 지원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우선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지역문화체험의 일환으로 단오 길놀이행사 참여를 비롯해 지역 내 강원FC 축구경기 관람, 바자회 행사, 관광지 탐방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In particular, the city is moving to establish various welfare support measures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foreign seasonal workers. Firstly, as part of regional cultural experiences for foreign seasonal workers, programs such as participation in the Dano street parade, watching Gangwon FC soccer matches within the region, bazaar events, and tourist site visits are being conducted.

의료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계절근로자들을 위해 지난해 유관기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강릉의료원을 통해 긴급처치비, 마약검사비 등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이와 함께 숙소 생활개선사업을 통한 도배·장판, 생필품, 방역 지원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To assist seasonal workers in the medical welfare 사각지대 (blind spot), the city signed an agreement with relevant institutions last year to provide medical expenses such as emergency treatment and drug test fees through Gangneung Medical Center. In addition, various benefits such as wallpapering and flooring, daily necessities, and quarantine support are provided through the accommodation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문법 및 어휘 설명 [Grammar and Vocabulary Explanation]

1. -에 따라 [in accordance with / according to]

설명 (Explanation): 어떤 기준, 변화, 사실에 근거하여 그에 맞게 행동하거나 결과가 나타날 때 사용합니다. [It is used when an action is taken or a result appears based on a certain standard, change, or fact.]

예시 (Example): 확대 추세에 따라 (확대 추세 + -에 따라) - "expansion trend"에 맞춰서, 그것을 기반으로 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확대 추세에 따라 (확대 추세 + -에 따라) - Conveys the meaning of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trend" or "based on the expansion trend."]

활용 (Usage): "규칙에 따라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날씨에 따라 [depending on the weather]".

2. ~에 따른 [due to / resulting from]

설명 (Explanation): 어떤 원인이나 이유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에 따른'은 어떤 원인이나 이유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명사 뒤에 붙어 그 명사가 원인임을 나타냅니다. [It attaches after a noun, indicating that the noun is the cause.]

예시 (Example): 인구 유출에 따른 (인구 유출 + -에 따른) - 인구 유출이 원인이 되어 어떤 결과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 인구 유출에 따른 (인구 유출 + -에 따른) - Indicates that a certain result occurred due to population outflow.]

활용 (Usage): "정책 변화에 따른 혼란 [confusion due to policy changes]", "경제 성장에 따른 변화 [changes resulting from economic growth]".

3. 사각지대 (死角地帶) [blind spot / unreached area]

설명 (Explanation): 글자 그대로는 '죽은 각도의 지역'이라는 뜻으로, 비유적으로는 어떤 서비스, 혜택, 관심 등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이나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Literally meaning 'area of dead angle,' it figuratively refers to an area or people that a service, benefit, or attention does not reach.]

예시 (Example): 의료복지 사각지대 - 의료 혜택이 닿지 않는 지역이나 계층을 의미합니다. [ 의료복지 사각지대 - Refers to areas or social strata where medical benefits do not reach.]

활용 (Usage): "복지 사각지대 [welfare blind spot]", "정보 사각지대 [information blind spot]".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How to Dramatically Advance Your Business Korean Proficiency② 판매, 인플루언서, 도달, 핫스팟

🗣️A Korean job interview? 면접 체크리스트

🎬Learning Korean with Korean Movie①Default 국가부도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