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JOB NEWS 0709_ 경북도 광역형 비자사업 착수! _wide open job opportunity!

경북도,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전국 최초 시행

오늘의 한국취업 뉴스(2)

경북,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전국 최초 시행
Gyeongbuk Province, First in the Nation to Implement Wide-Area Visa Pilot Program

경북도는 7월 1일부터 2026년 12월 말까지 시행되는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돌입했다.
Gyeongbuk Province has launched the 'Wide-Area Visa Pilot Program', which will be implemented from July 1st until the end of December 2026.

이 사업은 광역지자체가 지역 실정에 맞춰 외국인 고용 기준을 자체 설계하고, 추천 인력을 법무부가 비자 발급 대상으로 심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는 지방 정부가 인구 감소고령화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지역 산업에 필요한 인력을 탄력적으로 확보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This program operates by allowing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to design their own foreign employment standards based on local conditions, with the Ministry of Justice then reviewing recommended individuals for visa issuance. This can be seen as part of an effort by local governments to actively respond to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and flexibly secure the workforce needed for local industries.

이번 시범사업은 경북도가 전국 최초로 제안해 국가 정책으로 제도화된 사례로, 기존 '지역특화형 비자' 제도보다 범위가 확대되고 요건이 현실화된 것이 특징이다. 이는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외국인 인재 유치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This pilot program is a case where Gyeongbuk Province first proposed it, and it was institutionalized as a national policy, characterized by an expanded scope and more realistic requirements compared to the existing 'Region-Specific Visa' system. This is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reflect regional specificities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foreign talent attraction policies.

---

주요 내용
Key Contents

도는 E-7(특정활동) 비자 중 전문직(23개 직종)과 준전문직(2개 직종)을 중심으로 비자요건을 정비했으며, 향후 2년간 350명의 외국인 인재를 도내 22개 시군 전역에 유치할 계획이다. 이는 경북 지역의 산업 수요충족시키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이다.
The province has revised visa requirements, focusing on professional occupations (23 types) and semi-professional occupations (2 types) under the E-7 (Specific Activities) visa, planning to attract 350 foreign talents across 22 cities and counties in the province over the next two years. This is a strategic approach to meet the industrial demands of the Gyeongbuk region and inject vitality into the local economy.

---

비자 추천 기준

  • 경북도 지정 해외대학 전문학사 이상 + 경력 1년 이상
    Associate's degree or higher from a Gyeongbuk-designated overseas university + 1 year or more of experience
  • 전문학사 + 한국어능력시험 2급 이상
    Associate's degree + TOPIK Level 2 or higher
  • 해당 직종 3년 이상 경력자
    3 years or more of experience in the relevant occupation
  • 국내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
    Holder of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from within Korea
  • 국내 전문대학 이상 졸업자
    Graduate of a Korean junior college or higher

특히 요양보호사의 경우 별도 요건이 적용되며, 사회통합 프로그램 또는 한국어시험 점수 기준도 명시되어 있다. 이는 특정 직종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비자 정책을 운영하려는 의지를 내포한다.
Specifically, separate requirements apply to nursing caregivers, with explicit criteria for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or Korean language test scores. This implies a willingness to operate visa policies flexibly, consider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certain occupations.

여기에 추가적으로, 외국인 인재들이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국 문화 교육 및 정착 지원 서비스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히 인력을 유치하는 것을 넘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생 관계를 구축하려는 경북도의 의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지원은 외국인 인재들이 한국에서 안정적으로 삶의 터전을 마련하고, 지역사회에 융화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Additionally, to help foreign talents adapt well to Korean society,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settlement support services will also be provided. This demonstrates Gyeongbuk Province's commitment to building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eyond simply attracting labor. This support will greatly contribute to foreign talents establishing a stable foothold in life in Korea and integrating into the local community.

---

근무 조건 및 급여
Working Conditions and Salary

비자를 취득한 외국인은 1년 이상 동일 사업장에서 근무해야 하며, 근속과 조건 충족 시 비자 연장이 가능하다. 이는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안정성을 도모하고, 무분별한 이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Foreigners who obtain the visa must work at the same workplace for at least one year, and visa extension is possible upon continued employment and meeting conditions. This appears to be a measure to promote employment stability for foreign workers and to prevent indiscriminate job changes.

급여 조건은 직종별로 차등 적용되며, 최소 연봉 기준은 E-7-1이 2867만 원, E-7-2는 2515만 원 이상이다. 이는 외국인 인재들에게 합리적인 수준의 급여를 보장함으로써 생활 안정을 돕고, 한국에서의 근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한 방안으로 풀이된다.
Salary conditions vary by occupation, with minimum annual salary standards of 28.67 million won for E-7-1 and 25.15 million won or more for E-7-2. This is interpreted as a measure to inspire a desire to work and aid in stable living for foreign talents by guaranteeing them a reasonable level of salary in Korea.

---

지원 기관
Support Institutions

경북도는 구미시에 'K-드림 외국인지원센터'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는 '해외인재유치센터'를 각각 운영해 채용기업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구인·구직 매칭과 비자 발급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체계적인 지원은 외국인 인재들이 한국에 진출하는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정착을 돕는 데 크게 기여한다.
Gyeongbuk Province operates the 'K-Dream Foreigner Support Center' in Gumi and the 'Overseas Talent Attraction Center' in Tashkent, Uzbekistan, providing one-stop support for job matching and visa issuance to both hiring companies and foreigners. This systematic support greatly contributes to minimizing the difficulties foreign talents may experience when entering Korea and helps with their smooth settlement.

특히, 센터에서는 외국인 인재들이 한국 사회와 기업 문화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초기 정착 교육 및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도 병행하고 있다. 이로써 외국인 인재들이 성공적으로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다각적인 지원은 경북도가 외국인 인재를 단순한 노동력이 아닌, 지역 사회의 핵심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선진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In particular, the centers are concurrently offering initial settlement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programs to help foreign talents become familiar with Korean society and corporate culture. This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for foreign talents to settle successfully in Korea. This multifaceted support demonstrates that Gyeongbuk Province recognizes foreign talents not merely as labor but as key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and presents a progressive policy direction that pursues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한국어 어휘 및 문법 설명

1.알아야 할 어휘

✏️제공하다 (提供-): To provide, to offer

설명: 어떤 물건, 서비스, 기회 등을 상대방에게 내어주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예시: 회사는 직원들에게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제공합니다. (The company provides various welfare benefits to its employees.)

원문 적용: "... 한국 문화 교육 및 정착 지원 서비스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상생 (相生): Co-existence and mutual prosperity

설명: 둘 이상의 주체가 서로 돕고 영향을 주고받으며 함께 발전하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주로 경제나 사회 분야에서 긍정적인 협력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시: 기업과 지역사회가 상생하는 모델을 구축해야 합니다. (We need to build a model where businesses and local communities co-exist and prosper together.)

원문 적용: "...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생 관계를 구축하려는 경북도의 의지를 보여준다."

✏️병행하다 (竝行-): To do something concurrently, to carry out in parallel

설명: 두 가지 이상의 일을 동시에 진행하거나 함께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시: 그는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He is living diligently, doing his studies and part-time job concurrently.)

원문 적용: "... 초기 정착 교육 및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도 병행하고 있다."

2. 알아야 할 문법

✏️~에 적응하다: To adapt/adjust to something

설명: 특정 환경이나 상황에 익숙해지거나 그에 맞춰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에'는 대상이 되는 장소나 상황을 지시합니다.

예시: 그는 새로운 직장 환경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It took him some time to adapt to the new work environment.)

원문 적용: "... 외국인 인재들이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

✏️~에 익숙해지다: To get used to/become familiar with something

설명: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것이나 새로운 것에 대해 점차 친숙해지고 능숙해지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에'는 익숙해지는 대상을 가리킵니다.

예시: 매일 한국 드라마를 보니 한국어에 익숙해지고 있어요. (Watching Korean dramas every day is helping me get used to Korean.)

원문 적용: "... 한국 사회와 기업 문화에"

✏️~에 정착하다: To settle down in/at something

설명: 특정 장소나 환경에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고 생활을 시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이주나 이사 후에 사용됩니다. '에'는 정착하는 장소를 나타냅니다.

예시: 많은 사람들이 서울에 정착하기를 희망합니다. (Many people hope to settle down in Seoul.)

원문 적용: "...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How to Dramatically Advance Your Business Korean Proficiency② 판매, 인플루언서, 도달, 핫스팟

🗣️A Korean job interview? 면접 체크리스트

🎬Learning Korean with Korean Movie①Default 국가부도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