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OPIK 30-Day Trap-Breaking Strategy

9일차: 지나친 일반화 함정 공략
Day 9: Conquering the 'Overgeneralization' Trap
TOPIK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함정 중 하나는 '지나친 일반화'입니다. 지문 속의 특정 사례나 부분적인 내용을 전체적인 사실인 것처럼 포장하여 수험생을 혼란에 빠뜨리는 방식이죠. 이러한 함정 문제는 ‘항상’, ‘모두’, ‘반드시’와 같은 극단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매력적인 오답을 만듭니다. 오늘 우리는 이러한 함정 문제를 파악하고, 보편성을 따져서 올바른 정답을 찾는 훈련을 해보겠습니다.
One of the most common traps in the TOPIK exam is overgeneralization. This tactic confuses test-takers by presenting a specific case or partial information from the text as a universal truth. These trap questions often use extreme expressions like ‘항상’ (always), ‘모두’ (all), and ‘반드시’ (necessarily) to create plausible-looking wrong answers. Today, we will practice identifying these trap questions and finding the correct answers by carefully checking for overgeneralizations.
실전 문제 풀이 및 분석 1
Practice Problem Solving & Analysis 1
다음 글을 읽고, 내용과 일치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우리 회사는 지난 10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작년에는 신규 사업 진출에 성공하여 매출액이 20% 증가하는 성과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모든 직원이 이러한 성장에 만족하는 것은 아닙니다.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원의 약 60%가 현재의 업무 환경과 복지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회사는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한 여러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 회사의 매출액은 매년 20% 이상 증가했다.
- 직원들은 회사의 성장에 모두 만족하고 있다.
- 회사는 직원의 모든 불만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
- 대부분의 직원이 업무 환경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정답: 4번
Solution: 4
함정 분석 (Trap Analysis):
1번, 2번, 3번 선택지는 지나친 일반화 오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문에는 '작년에 20% 증가'라고 했지만, '매년 20% 이상'이라는 내용은 없습니다. 또한, '모든 직원이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모두 만족한다'는 진술은 거짓입니다. 마지막으로, 회사는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지, '모든 불만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4번은 '약 60%가 불만을 가지고 있다'는 내용을 '대부분의 직원이 만족하지 못한다'로 자연스럽게 요약하고 있어 가장 정확한 진술입니다.
Options 1, 2, and 3 contain the error of overgeneralization. The text states that revenue increased by 20% last year, not 'over 20% every year'. Furthermore, the text explicitly says 'not all employees are satisfied', making the statement 'all employees are satisfied' false. Lastly, the company is 'reviewing various measures', not 'deciding to accept all complaints'. Option 4 accurately summarizes the fact that 'about 60% of employees have complaints' as 'most employees are not satisfied with the work environment', making it the most accurate statement.
실전 문제 풀이 및 분석 2
Practice Problem Solving & Analysis 2
다음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의 절반 이상이 하루에 한 시간 이상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대부분은 출퇴근 시간이나 잠자리에 들기 전에 동영상을 보는 습관이 있다. 특히 10대와 20대 젊은 층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며, 이들은 주로 짧은 영상 콘텐츠를 선호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집중력 저하와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학습 콘텐츠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본다.
- 스마트폰으로 하루 한 시간 이상 동영상을 보는 사람이 많다.
- 젊은 층은 짧은 길이의 영상 콘텐츠를 더 좋아한다.
- 스마트폰 동영상 시청은 반드시 집중력 저하라는 결과를 낳는다.
- 스마트폰 학습 콘텐츠 시장도 커지고 있다.
정답: 3번
Solution: 3
함정 분석 (Trap Analysis):
이 문제는 '내용과 다른 것'을 찾는 문제로, 오답을 골라야 합니다. 3번 선택지는 지문 내용과 다릅니다. 지문에서는 전문가들이 ‘집중력 저하와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만 언급했습니다. 이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지, '반드시(necessarily)' 그런 결과를 낳는다고 단정하지 않았습니다. '반드시'라는 극단적인 표현이 함정 포인트입니다. 1, 2, 4번은 모두 지문에 언급된 내용과 일치합니다.
This is a question that asks to find the statement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 meaning you need to choose the incorrect option. Option 3 is different from the text. The text only mentions that experts warned that 'it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a decrease in concentration'. This presents a possibility, not a definitive conclusion that it 'necessarily' leads to such results. The extreme expression '반드시' (necessarily) is the trap here. Options 1, 2, and 4 are all consistent with the information mentioned in the text.
실전 문제 풀이 및 분석 3
Practice Problem Solving & Analysis 3
(가)와 (나)의 내용이 모두 참일 때, 반드시 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을 고르십시오.
(가) 모든 사람은 행복해지고 싶어 한다.
(나) 행복해지고 싶은 사람들은 모두 노력한다.
- 행복해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노력하는 사람들이다.
- 노력하는 사람들은 행복해지고 싶어 한다.
- 세상의 모든 사람이 노력하고 있다.
- 행복해지고 싶은 모든 사람은 노력한다.
정답: 3번
Solution: 3
함정 분석 (Trap Analysis):
이 문제는 논리적인 추론 능력을 요구하는 유형입니다. (가)와 (나)는 참이지만, 3번 선택지는 지나친 일반화입니다. (가)와 (나)를 종합하면 '모든 사람은 행복해지고 싶어 하고, 행복해지고 싶은 사람은 모두 노력한다'가 됩니다. 이는 '모든 사람은 노력한다'는 결론으로 이어지지만, 이는 '행복해지고 싶어 하는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즉, 노력하는 사람 중에 행복해지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상의 모든 사람이 노력하고 있다'는 진술은 보편적인 참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This question requires logical reasoning. While (가) and (나) are true, option 3 is an overgeneralization. Combining (가) and (나) results in 'All people want to be happy, and all people who want to be happy make an effort.' This seems to lead to the conclusion that 'all people make an effort', but this only applies to those who 'want to be happy'. In other words, there might be people who make an effort but don't want to be happy. Therefore, the statement 'All people in the world are making an effort' cannot be considered a universal truth.
지나치다 (To be excessive/overdone)
Definition: To go beyond the appropriate or reasonable limit. (정도나 한계를 넘다)
활용 (Usage):
- 그 사람은 항상 지나친 농담을 해서 사람들이 불편해해요.
- It's always awkward because he makes excessive jokes.
- 걱정하는 마음은 이해하지만, 지나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 I understand your concern, but if you go overboard, it can be harmful.
보편성 (Universality/Generality)
Definition: The quality or state of being common to all or applicable to all cases. (두루 널리 퍼져 있거나 모든 것에 적용되는 성질)
활용 (Usage):
- 이 연구는 특정 지역이 아닌 보편성을 갖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 This study showed results with universality, not just for a specific region.
- 인간의 사랑은 모든 문화권에서 찾아볼 수 있는 보편적인 감정이다.
- Human love is a universal emotion found in all cultures.
논리적 추론 (Logical inference)
Definition: The process of drawing a conclusion based on a series of facts or premises. (이미 알려진 판단을 근거로 새로운 판단을 이끌어내는 사고 과정)
활용 (Usage):
- 그의 주장은 논리적 추론에 따라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 His argument is not convincing based on logical inference.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논리적 추론 능력이 필요합니다.
- Logical reasoning skills are necessary to solve problems.
-는 것으로 나타나다 (It turned out that ~)
Meaning: This grammar pattern is used to present the result of a survey, research, or observation. It indicates that a certain fact or situation was revealed. (조사, 연구, 관찰 등의 결과가 어떤 사실이나 상황으로 드러났음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활용 (Usage):
- 이번 여론 조사에서는 젊은 층의 투표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The recent public opinion poll showed that the voter turnout of young people was low.
- 건강 검진 결과, 그는 정상 체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 The health check-up results revealed that he was of normal weight.
-에 따르면 (According to ~)
Meaning: Used to cite the source of information, such as a report, document, or a person's words. (보고서, 자료, 사람의 말 등 정보의 출처를 밝힐 때 사용합니다.)
활용 (Usage):
-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내일은 비가 올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 According to the weather agency's announcement, there is a high chance of rain tomorrow.
- 전문가의 의견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 According to the expert's opinion, this project has a high chance of success.
복습 연습문제: 다음 문장들의 빈칸에 알맞은 어휘나 문법을 채워 넣으세요.
- 이번 시장 조사 결과, 고객의 70%가 새로운 제품에 만족하__(으)ㄴ 것으로 나타났다.
- 그는 작은 실패에도 __게 실망하는 경향이 있다. (힌트: 'overdone'의 의미를 가진 어휘)
- 회사 내부 규정__에 따르면, 모든 직원은 출근 시간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 지구 온난화는 지역적인 문제가 아니라, 인류 전체가 직면한 __적인 문제이다. (힌트: 'universal'의 의미를 가진 어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