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RAP30: A 30-Day Project to Conquer TOPIK Traps
8일차: '관점 변경' 함정 회피
Avoiding the 'Change of Perspective' Traps오늘은 TOPIK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관점 변경' 함정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이 함정은 지문의 주체(화자, 작가)의 관점과 다른 관점을 정답처럼 보이게 만들어 수험생을 혼란스럽게 합니다. 정확한 독해를 위해서는 글의 주체 관점을 파악하고 끝까지 유지하는 훈련이 매우 중요합니다.
Today, we will analyze the 'change of perspective' trap, a common pitfall in the TOPIK exam. This trap confuses test-takers by presenting an answer choice that seems correct but is based on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subject (speaker, author) of the passage. To achieve accurate comprehension, it is crucial to practice identifying and maintaining the viewpoint of the text's subject throughout the problem-solving process.
세트 1
[문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나는 지난 주말에 새로 개봉한 영화를 보았다. 그 영화는 기대했던 것만큼 재미있지는 않았지만, 배우들의 연기는 정말 훌륭했다. 특히 주인공의 감정 연기는 관객의 마음을 움직이기에 충분했다. 영화의 줄거리는 다소 진부했지만, 영상미가 뛰어나서 보는 내내 눈이 즐거웠다.
- 나는 영화의 줄거리와 배우들의 연기 모두 만족했다.
- 주인공의 연기는 관객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 나는 영화가 재미없어서 끝까지 보지 못했다.
- 영화의 영상미는 훌륭했지만, 줄거리는 평범했다.
정답: 4번
[함정 분석 및 해결]
이 문제는 '나'의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1번은 '줄거리'와 '연기' 모두 만족했다고 했지만, 글쓴이는 줄거리가 '진부했다'고 평가했습니다. 2번은 '주인공의 연기'에 대해 부정적으로 서술하여 원문과 상반됩니다. 3번은 '재미없었다'는 감정만 보고 '끝까지 보지 못했다'는 지나친 결론을 내렸습니다. 정답인 4번은 '나'의 관점에서 '영상미는 훌륭했다'고 했고, '줄거리는 평범했다'(진부했다)고 한 내용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Trap Analysis and Solution]
The key to this problem is to maintain the perspective of 'I'. Option 1 states that both the plot and acting were satisfactory, but the author evaluated the plot as 'clichéd' (진부했다). Option 2 contradicts the original text by negatively describing the main character's acting. Option 3 makes an overgeneralized conclusion ('couldn't finish watching') based only on the feeling that the movie was 'not fun'. The correct answer, 4, precisely matches 'my' perspective: the visuals were excellent ('훌륭했지만') and the plot was ordinary ('평범했다'),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term 'clichéd'.
세트 2
[문제]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어릴 적 나는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을 두려워했다. 그러나 몇 년 전 여행을 통해 낯선 환경에 부딪히며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을 배웠다. 이제는 새로운 도전을 즐기게 되었다. 과거의 소심했던 내가 지금의 나를 보면 깜짝 놀랄 것이다. 물론 아직도 망설일 때가 있지만, 나는 내가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 새로운 도전에 대한 과거의 두려움
- 여행이 나에게 준 긍정적인 영향
- 낯선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
- 여행의 중요성에 대한 필자의 주장
정답: 2번
[함정 분석 및 해결]
이 문제는 '나'라는 화자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 즉 '주제'를 찾는 문제입니다. 1번은 글의 일부 내용일 뿐이고, '과거의 나'의 관점에 치중하고 있습니다. 3번은 '사람들'이라는 일반적인 관점으로 서술해 '나'의 경험에서 벗어납니다. 4번은 '여행의 중요성'을 일반화하여 주장하지만, 글쓴이는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이야기하고 있을 뿐입니다. 2번은 여행이라는 경험이 '나'에게 어떤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는지 정확하게 서술하여 글의 핵심 주제를 담고 있습니다.
[Trap Analysis and Solution]
This problem asks for the most suitable topi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eaker, 'I'. Option 1 is only a part of the text and focuses on the 'past self's' perspective. Option 3 deviates from 'my' experience by describing 'people' in a general perspective. Option 4 generalizes the 'importance of travel' as an argument, whereas the author is merely sharing a personal experience. Option 2 accurately describes the positive change that the experience of travel brought to 'me', capturing the core theme of the passage.
세트 3
[문제] 다음 글에서 필자의 생각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많은 사람들이 성공의 비결을 묻는다. 나는 그들에게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라고 답한다. 실패는 성공의 반대말이 아니다. 오히려 실패는 성공으로 가는 길에서 겪는 당연한 과정이다. 실패를 통해 우리는 배우고 성장할 수 있다. 실패를 경험하지 않은 성공은 불안정하기 마련이다.
- 성공의 비결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이다.
- 실패는 성공으로 가는 과정의 일부이다.
- 실패를 통해 얻는 교훈은 성공에 도움을 준다.
- 안정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실패를 피해야 한다.
정답: 4번
[함정 분석 및 해결]
'필자의 생각과 다른 것'을 고르는 문제입니다. 필자는 '실패는 성공으로 가는 길에서 겪는 당연한 과정'이며, '실패를 경험하지 않은 성공은 불안정하다'고 주장합니다. 1, 2, 3번은 모두 필자의 생각과 일치합니다. 하지만 4번은 '안정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실패를 피해야 한다'고 말해, 필자의 주장과 정반대의 관점을 취하고 있습니다. 지문을 정확히 읽고 필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rap Analysis and Solution]
This question asks for the statement that is 'different from the author's opinion'. The author argues that 'failure is a natural process on the path to success' and 'success without experiencing failure is bound to be unstable'. Options 1, 2, and 3 are all consistent with the author's thoughts. However, option 4 states that 'one should avoid failure for stable success', which takes a perspective directly opposite to the author's argument. It is important to read the passage carefully and understand the author's viewpoint.
세트 4
[문제] 다음은 어느 가게의 공지사항입니다. 이 글을 쓴 사람의 의도와 일치하는 것을 고르십시오.
고객 여러분께. 최근 저희 가게의 신메뉴에 대한 많은 관심과 격려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예상보다 많은 고객님들이 찾아주셔서 재료 수급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부득이하게 신메뉴 판매 시간을 조정하게 되었습니다. 신메뉴는 오후 2시부터 6시까지만 판매하오니, 고객님들의 양해 부탁드립니다. 더 좋은 서비스로 보답하겠습니다.
- 가게의 신메뉴가 많은 인기를 얻고 있음을 알리려고
- 신메뉴에 대한 고객들의 피드백을 수렴하려고
- 신메뉴의 판매 시간을 변경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려고
- 재료 수급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도움을 요청하려고
정답: 3번
[함정 분석 및 해결]
이 문제는 공지사항의 '작성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문제입니다. 글쓴이는 판매 시간 조정이라는 '결과'를 알리면서 그 '원인'인 재료 수급의 어려움과 많은 고객의 관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번은 원인에 해당하는 부가적인 정보입니다. 2번은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며, 4번은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양해'를 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글쓴이의 주된 의도는 '판매 시간을 변경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Trap Analysis and Solution]
This problem asks for the 'writer's intention' behind the notice. The author is announcing the 'result' of adjusting the sales time while explaining the 'causes'—difficulty in ingredient supply and high customer interest. Option 1 is seconda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use. Option 2 is not mentioned, and option 4 misinterprets the request for 'understanding' (양해) as a request for help. Therefore, the author's main intention is to 'explain the reason for changing the sales time'.
세트 5
[문제] 다음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AI는 단순 반복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인간이 더 창의적이고 복잡한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하지만 AI 기술의 오용과 윤리적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AI 기술이 가져올 긍정적인 면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
- AI 기술은 반복적인 작업을 대신해 준다.
- AI 기술의 발전은 긍정적인 변화만 가져온다.
- AI 기술의 오용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 AI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정답: 2번
[함정 분석 및 해결]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을 찾는 문제입니다. 글쓴이는 AI가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고 했고, 긍정적인 면(단순 반복 작업 자동화)과 부정적인 면(오용 및 윤리적 문제)을 모두 언급했습니다. 1, 3, 4번은 모두 글쓴이의 관점과 일치합니다. 2번은 '긍정적인 변화만' 가져온다고 말해, 글에 제시된 '오용과 윤리적 문제'라는 부정적인 관점을 배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만', '항상', '모두'와 같은 극단적인 표현은 함정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Trap Analysis and Solution]
This question asks for the statement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 of the passage'. The author mentioned that AI brings 'many changes' and referred to both positive aspects (automating repetitive tasks) and negative aspects (misuse and ethical issues). Options 1, 3, and 4 are all consistent with the author's perspective. Option 2, however, states that AI brings 'only positive changes', thereby excluding the negative perspective of 'misuse and ethical issues' mentioned in the text. As such, extreme expressions like '~만' (only), '항상' (always), and '모두' (all) are highly likely to be traps.
진부하다 (陳腐하다) [jin-bu-ha-da]
(형용사)
의미: 이미 많이 알려져서 새롭거나 신선한 느낌이 없다. (To be trite, clichéd, or hackneyed.)
예문: 그 드라마의 줄거리는 너무 진부해서 재미가 없었다.
(The plot of that drama was so clichéd that it wasn't fun.)
모색하다 (摸索하다) [mo-sae-ka-da]
(동사)
의미: 어떤 일을 해결하기 위해 방법을 찾다. (To search for, to grope for a solution.)
예문: 우리는 새로운 시장 진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We are searching for a new strategy to enter the market.)
~기에 충분하다 [gi-e-chung-bun-ha-da]
의미: 어떤 행위나 상황을 하기에 부족함이 없이 적당하거나 넉넉하다. (To be sufficient or enough for doing something.)
예문: 그의 노래 실력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기에 충분했다.
(His singing skills were enough to move people's hearts.)
~기 마련이다 [gi-ma-ryeon-i-da]
의미: 어떤 상황이나 일이 당연히 그렇게 될 것임을 나타낸다. (It is natural that...; It is bound to happen.)
예문: 연습을 많이 하지 않으면 실수하기 마련이다.
(It is natural to make mistakes if you don't practice a 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