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RAP 30-DAY BREAKTHROUGH STRATEGY
2일차: '부분과 전체' 혼동 함정 극복
Day 2: Overcoming the 'Part and Whole' Confusion Trap안녕하세요!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의 두 번째 날입니다. 오늘은 지문의 일부 내용에 매몰되어 전체 맥락을 놓치는 함정을 극복하는 방법을 배우겠습니다. TOPIK은 긴 지문 속에서 핵심 정보를 정확히 찾아내고, 전체 글의 논리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우리는 지엽적인 정보에 현혹되지 않고, 전체 주제를 파악하는 훈련을 할 것입니다.
Hello! Welcome to Day 2 of the TOPIK TRAP 30-DAY BREAKTHROUGH STRATEGY. Today, we'll learn how to overcome the trap of getting lost in a small part of the text and missing the overall context. TOPIK requires the ability to accurately find key information within a long passage and grasp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entire text. We will practice identifying the overall theme without being misled by localized details.
실전 문제 풀이: 지문의 큰 그림을 그려라
Practical Problem Solving: See the Big Picture of the Passage지금부터 5개의 실전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문제와 해설을 통해 지문의 전체 내용과 부분 내용을 구분하는 훈련을 해보세요. Let's solve 5 practical problems. Use the questions and explanations to practice distinguishing between the overall content and partial details of the passage.
[세트 1] 다음 글의 중심 생각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환경 보호를 위해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고 개인 컵을 사용하자는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카페에서는 개인 컵을 가져오는 손님에게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일회용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① 일회용품 사용은 환경에 매우 해롭다.
②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③ 카페 할인 혜택이 사람들의 행동을 변화시켰다.
④ 개인 컵 사용 운동은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 정답: ②
해설 및 분석: 지문은 개인 컵 사용 운동이 확산되고, 할인 혜택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이 일회용품을 선호한다고 언급합니다. 이는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 필요하다는 전체적인 흐름을 담고 있습니다. ①번은 지문의 배경일 뿐 중심 생각은 아니며, ③번은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일회용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내용과 모순됩니다. ④번은 '아직도 많은 사람이 번거로워한다'는 내용 때문에 오답입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passage mentions that the personal cup movement is spreading and discounts are being offered, but many people still prefer disposable items. This points to the overall idea that continued effort is needed to reduce disposable cup use. ① is background information, not the main idea. ③ is incorrect because it contradicts the statement that 'many people still tend to prefer disposable items due to the hassle.' ④ is incorrect because of the statement that 'many people still find it bothersome.'
'할인 혜택을 제공'과 같은 부분적인 사실을 정답처럼 보이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이는 지문의 일부 내용일 뿐, '하지만' 뒤에 나오는 내용까지 포함한 전체적인 맥락을 읽어야 정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TRAP POINT: The Trap of Being Misled by Partial Facts
This trap makes a partial fact, such as 'offering discounts,' seem like the correct answer. This is only a part of the passage; you must read the entire context, including the information after '하지만 (but),' to find the correct answer.
[세트 2] 다음 글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새로운 직장에서는 매주 금요일마다 동료들과 함께 점심을 먹고 영화를 보러 가거나 야외 활동을 즐긴다. 이러한 회사 문화 덕분에 직원들의 업무 만족도가 높아졌고, 서로에 대한 이해가 깊어져 협업이 더욱 원활해졌다.
① 이 회사의 모든 직원이 금요일마다 야외 활동을 한다.
② 이 회사에서는 협업보다는 개인의 업무 만족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③ 직장 동료와 함께하는 활동은 업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④ 업무 만족도가 높아진 이유가 야외 활동 때문만은 아니다.
✏️ 정답: ③
해설 및 분석: 지문의 핵심은 금요일 활동이 직원들의 업무 만족도를 높이고, 협업을 원활하게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이는 직장 동료와 함께하는 활동이 업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③번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①번은 '야외 활동'만 언급했기 때문에 부분적인 내용이고, '모든' 직원이 한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②번은 '협업이 더욱 원활해졌다'는 내용과 반대됩니다. ④번은 지문에 언급되지 않은 추측입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core of the passage is that the Friday activities increased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improved collaboration. This matches statement ③, which says that activities with colleagues have a positive impact on work. ① is a partial statement because it only mentions 'outdoor activities' and there's no guarantee that 'all' employees do it. ② contradicts the statement that 'collaboration has become smoother.' ④ is a conjecture not mentioned in the passage.
'야외 활동'이라는 세부 사항에 집중하게 하여, '영화 보러 가는 것' 등 다른 활동을 놓치게 만듭니다. 또한 '모든'이라는 극단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글의 내용과 다르게 보이게 하는 함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글의 전체적인 결론인 '업무에 긍정적인 영향'에 집중해야 합니다.
TRAP POINT: The Trap of Misunderstanding the Whole from Details
This trap makes you focus on a specific detail like 'outdoor activities,' causing you to miss other activities like 'going to see a movie.' It also uses extreme language like 'all,' making the statement seem different from the text. You must focus on the overall conclusion: 'a positive impact on work.'
[세트 3] 다음 대화의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마이크: 제가 이번 주말에 발표 자료를 거의 다 만들었어요.
Mike: I've almost finished the presentation materials this weekend.
박 대리: 수고했어요. 그럼 다음 주 월요일까지는 최종본을 볼 수 있겠네요?
Park Dae-ri: Good job. So, I can see the final version by next Monday?
마이크: 네, 최종 검토만 마치면 바로 드릴게요!
Mike: Yes, I'll give it to you as soon as I finish the final review!
① 마이크는 발표 자료를 거의 완성했다.
② 박 대리는 다음 주 월요일까지 최종본을 받기를 원한다.
③ 마이크는 아직 발표 자료를 완성하지 못했다.
④ 마이크는 이번 주말에 발표 자료를 마무리할 것이다.
✏️ 정답: ④
해설 및 분석: 마이크는 '거의 다 만들었다'고 했고, '최종 검토만 마치면' 주겠다고 했습니다. 이는 '이번 주말'에 끝낸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번 주말에 거의 다 만들었고, 최종 검토 후에 줄 것'이라는 전체적인 맥락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④번 '이번 주말에 마무리할 것이다'는 대화의 내용과 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통 최종 검토는 주말 이후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①, ②, ③은 모두 대화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Solution & Analysis: Mike said he 'almost finished' it and will give it after 'the final review.' The overall context is that he almost completed it over the weekend and will provide it after a final review, which doesn't guarantee it will be finalized *this weekend*. Therefore, ④ 'He will finalize it this weekend' is likely different from the conversation's content. ①, ②, and ③ all align with the conversation.
'이번 주말'에 '거의 다 만들었다'는 정보를 보고 '이번 주말에 다 끝낼 것'이라고 속단하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거의'와 '최종 검토'라는 단어를 통해 아직 완성되지 않았고, 전달까지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는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해야 합니다.
TRAP POINT: The Trap of Partial Judgment on Time and Completion
This trap makes you jump to the conclusion that 'it will be finished this weekend'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it was almost finished' this weekend. You must grasp the overall meaning, using words like 'almost' and 'final review,' to understand that it's not yet complete and will take more time.
[세트 4] 다음 글에서 알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을 고르십시오.
인터넷 쇼핑몰은 편리함과 저렴한 가격 때문에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고 있다. 하지만 배송 문제나 상품 정보 부족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실시간 채팅 상담 서비스나 AI 챗봇을 도입하여 고객 불만을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① 인터넷 쇼핑몰의 장점 중 하나는 저렴한 가격이다.
② 인터넷 쇼핑몰은 단점도 가지고 있다.
③ AI 챗봇은 고객 불만 해결에 사용되고 있다.
④ 인터넷 쇼핑몰의 단점은 모두 해결되었다.
✏️ 정답: ④
해설 및 분석: 지문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을 뿐, '모두 해결되었다'고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노력'과 '해결 완료'는 전혀 다른 의미이므로, ④번은 글에서 알 수 없는 내용입니다. ①, ②, ③은 모두 지문에 직접적으로 언급되거나 유추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passage only states that they are 'trying to solve the problems,' not that they have 'all been solved.' 'Effort' and 'full resolution' have completely different meanings, so ④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known from the text. ①, ②, and ③ are all directly mentioned or can be inferred from the passage.
부분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두 해결되었다'고 과장하여 해석하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TOPIK 문제에서는 '모두', '항상', '전부'와 같은 극단적인 표현이 포함된 선택지는 대부분 오답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TRAP POINT: The Trap of Extreme Expressions like 'All' or 'Always'
This trap makes you over-interpret the fact that efforts are being made partially as 'all problems have been solved.' In TOPIK problems, remember that answer choices containing extreme expressions like 'all,' 'always,' or 'entirely' are highly likely to be incorrect.
[세트 5]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스트레스는 현대인의 만성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항상 나쁜 것만은 아니다. 적당한 스트레스는 업무 효율을 높이고, 새로운 도전에 대한 동기 부여가 되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스트레스를 무조건 피하기보다는 적절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① 스트레스는 건강에 해롭다.
② 스트레스는 업무 효율을 높인다.
③ 스트레스의 긍정적 측면과 관리의 중요성
④ 만성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하는 방법
✏️ 정답: ③
해설 및 분석: 지문은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측면을 먼저 제시한 뒤, '하지만'이라는 접속사를 통해 긍정적인 측면을 이야기하고,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이라며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글의 전체적인 주제는 '스트레스의 긍정적 측면과 관리의 중요성'입니다. ①, ②는 모두 지문의 일부 내용일 뿐 전체 주제를 포괄하지 못합니다. ④번은 지문에 언급되지 않은 내용입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passage first presents the negative aspects of stress, then uses the conjunction '하지만 (but)' to discuss its positive aspects, and final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tress management with the phrase '중요한 것은 (what's important is).' Therefore, the overall theme of the text is 'the positive aspects of stress and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① and ② are only parts of the passage and do not encompass the entire theme. ④ is not mentioned in the passage.
글의 초반부에 나온 '스트레스는 만성 질환의 주요 원인'이라는 부분적인 정보만 보고 ①번을 고르기 쉽습니다. 하지만 글은 '하지만'이라는 역접 접속사를 통해 스트레스의 긍정적인 면도 언급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글 전체의 논리 전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RAP POINT: The Trap of Judging Based on a Specific Part of the Text
It's easy to choose ① by only looking at the partial information at the beginning, 'Stress is a major cause of chronic diseases.' However, the text mentions the positive aspects of stress through the adversative conjunction '하지만 (but)' and ultimate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It is crucial to grasp the logical progression of the entire text.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1. 만성 (慢性) (chronic)
의미: 병이나 현상이 오래 지속되거나 습관적으로 나타나는 것.Meaning: A disease or phenomenon that lasts for a long time or appears habitually.
예문: 스트레스는 만성 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Example: Stress can be a cause of chronic headaches.
2. 전반적 (全般的) (overall, general)
의미: 어떤 일의 전체에 걸쳐 있는 것.Meaning: Something that covers the entire scope of a matter.
예문: 이번 회의에서는 회사의 전반적인 상황을 논의했습니다.
Example: In this meeting, we discussed the company's overall situation.
3. 협업 (協業) (collaboration)
의미: 여러 사람이 한 가지 일을 위해 서로 힘을 모아 함께 일하는 것.Meaning: The act of several people working together toward a single task.
예문: 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팀원들 간의 협업이 필수적입니다.
Example: Collaboration among team member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 of this project.
핵심 문법 (Key Grammar)
1. '-에 따라' (depending on, according to)
의미: 어떤 기준이나 상황에 따라 달라짐을 나타내는 표현.Meaning: An expression used to indicate that something changes depending on a standard or situation.
예문: 날씨에 따라 옷차림이 달라집니다.
Example: The way you dress changes depending on the weather.
2. '-으로 인해' (due to, because of)
의미: 어떤 일이 발생하는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Meaning: An expression used to indicate the cause or reason for something happening.
예문: 이번 사고로 인해 도로가 통제되고 있습니다.
Example: The road is being controlled due to this accident.
3. '-(으)며' (and, while)
의미: 두 가지 이상의 행위나 상태가 동시에 진행될 때 사용하는 연결 어미.Meaning: A connective ending used when two or more actions or states occur simultaneously.
예문: 그는 음악을 들으며 책을 읽고 있습니다.
Example: He is reading a book while listening to music.
✏️ 복습 연습 문제 (Review Practice Questions)
1. 다음 빈칸에 가장 알맞은 단어를 고르십시오.
최근에는 _______ 쇼핑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여러 서비스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① 편리한
② 오프라인
③ 온라인
④ 새로운
정답: ③
해설: '쇼핑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서비스'라는 문맥에서 가장 적절한 것은 '온라인 쇼핑'입니다. 온라인 쇼핑은 편리함과 함께 배송 문제, 상품 정보 부족 등의 단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프라인'은 '보완'의 대상이 되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