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대략"의 함정: 마이크의 또 다른 실수
The Trap of 'Approximately': Another Mistake by Mike
안녕하세요, 한국어 학습자 여러분! 오늘은 한국 직장 생활에서 흔히 겪는 문화적 오해를 통해 유용한 표현들을 배워볼게요. (Hello, Korean learners! Today, let's learn some useful expressions through a common cultural misunderstanding in Korean office life.)
외국인 마케터 마이크는 지난 사건 이후 더욱 신중해졌지만, 이번에는 ‘대략’이라는 표현에서 다시 한 번 함정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Mike, a foreign marketer, became more cautious after the previous incident, but this time he fell into a trap involving the expression 'approximately'.)

새로운 대형 캠페인 프로젝트의 예산안을 준비하던 중, 클라이언트는 회의 ‘말미’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예산은 ‘대략’ 3천만 원 정도 생각 중입니다.” (While preparing a budget for a major campaign, the client said at the 'end' of the meeting: "We're thinking of a budget of 'approximately' 30 million won.")
마이크는 이 말을 아주 충실하게 받아들여, 총 금액이 정확히 3,000만 원이 되도록 제안서를 구성했습니다. 하지만 클라이언트의 반응은 뜻밖이었습니다. (Mike took this faithfully and prepared a proposal that totaled exactly 30 million won. But the client's response was unexpected.)
“생각보다 너무 타이트하네요. 저희는 여유 있게 3천에서 4천까지도 가능하다고 봤는데요.” “It's tighter than we expected. We were actually considering something between 30 and 40 million.”
결과적으로 마이크의 기획안은 ‘제안의 깊이 부족’으로 평가되었고, 프로젝트는 연기되었습니다. (As a result, Mike's proposal was deemed 'lacking in depth,' and the project was postponed.)
사태를 파악한 최고봉 과장은 클라이언트와 다시 소통하여 상황을 수습했고, 마이크에게 따뜻하게 조언했습니다. (Manager Choi stepped in to resolve the situation with the client and gave Mike warm advice.)
최고봉 과장: 마이크, 이번 일은 실수지만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어. Choi: Mike, this was a mistake, but it can be a great learning experience.
마이크: 네, 과장님. 숫자만 보면 되는 줄 알았어요. Mike: Yes, sir. I thought numbers were all that mattered.
최고봉 과장: 한국어는 분위기와 맥락이 더 중요하다고 말할 때가 많아. 문자보다 맥락이 더 중요하지. Choi: In Korean, tone and context often matter more. Context is more important than the literal words.
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대략 (daeryak)
의미: 정확하지 않고 어림잡아. Meaning: Not exact; approximately or roughly.
출근 시간은 대략 9시입니다. The time to arrive at work is approximately 9 AM.
2. 말미 (malmi)
의미: 어떤 일이나 기간의 끝 무렵. Meaning: The end or latter part of a task or period.
회의 말미에 질문 시간이 있습니다. There will be a Q&A session at the end of the meeting.
3. 수습 (susup)
의미: 일이 생긴 뒤에 뒤처리를 하여 바로잡는 것. Meaning: The act of handling or resolving a situation after it has occurred.
팀장이 문제를 수습하려고 노력했다. The team leader tried to resolve the problem.
오늘의 필수 문법 3가지
Today's 3 Essential Grammar Points
1. -(는)ㄴ 줄 알다 (-(neun)n jul alda)
의미: 어떤 사실에 대해 '그렇게 알고 있다'는 의미로 사용하며, 주로 잘못 알고 있었을 때 쓰입니다. Meaning: To think or to know something, often used when one has a misconception.
나는 그가 한국 사람인 줄 알았어요. I thought he was Korean.
2. ~보다 (~boda)
의미: 둘 이상을 비교할 때 기준이 되는 대상을 나타냅니다. Meaning: Used to compare two or more things, indicating the standard of comparison.
이 컴퓨터가 저 컴퓨터보다 빠릅니다. This computer is faster than that computer.
3. ~에 빠지다 (~e ppajida)
의미: 어떤 상태나 상황에 깊이 들어가게 되다. '함정'이나 '사랑' 등과 함께 자주 쓰입니다. Meaning: To fall or get deeply into a state or situation. Often used with 'trap' or 'love.'
그는 사랑에 빠졌습니다. He fell into love.
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s)
1. 다음 문장에서 틀린 부분을 찾아 고치세요. (Find and correct the mistake in the following sentence.)
"나는 그 사람이 한국에 없다는 줄 알았어요."
2. 다음 문장을 완성하세요. (Complete the following sentence.)
"말미에 대해 질문하고 싶습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