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Topik focused) "자리에서 내려오다" step-down-from-position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국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힌 장관은 결국 자리에서 내려왔다.
Faced with strong public backlash, the minister finally stepped down from his position.
경영 실적 악화에 대한 책임을 지고 CEO가 자리에서 내려오기로 결정했다.
The CEO decided to step down, taking responsibility for poor business performance.
권력은 영원하지 않아요. 언젠가는 누구나 자리에서 내려올 때가 옵니다.
Power is not eternal. A time comes for everyone to step down from their position.
단어분석
자리 (Jari) : 앉는 곳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회적인 지위, 직책, 직위를 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It can mean a physical seat, but often refers to a social status, post, or position.)
에서 (eseo) : 장소나 위치를 나타내는 조사로, '...로부터' (from)의 의미를 가집니다. (A particle indicating a place or location, meaning 'from'.)
내려오다 (Naeryeooda) :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다. 이 관용구에서는 '높은 지위'에서 '낮은 지위' 또는 '지위가 없는 상태'로 이동함을 비유합니다. (To move from a high place to a low place. In this idiom, it metaphorically means moving from a 'high position' to a 'lower position' or 'no position'.)
물러나다 (Mulleonada) : '자리에서 내려오다'와 매우 유사한 동의어입니다. '뒤로 물러서다'라는 뜻에서 파생되어 '직위에서 사임하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A very similar synonym. Derived from 'to step back', it is used to mean 'to resign from a position'.)
'자리에서 내려오다' 설명문단
'자리에서 내려오다'는 문자 그대로 '의자에서 일어나 내려오다'라는 뜻이 아니라, **높은 사회적 지위나 권력을 가진 직책**에서 물러나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이 표현은 단순히 회사를 그만두는 '퇴사하다'나 하루 일과를 마치고 나가는 '퇴근하다'와는 다릅니다. 이는 주로 **대통령, 장관, CEO, 회장, 감독** 등 상당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인물이 그 직위를 그만둘 때 사용됩니다.
'Jariseo naeryeooda' is an idiom that doesn't literally mean 'to get down from a chair', but rather signifies **stepping down from a high social status or position of power**. This expression is different from '퇴사하다' (to quit a company) or '퇴근하다' (to leave work for the day). It is primarily used when a person with significant authority and responsibility—such as a **president, minister, CEO, chairman, or director**—leaves that position.
🏢 한국 기업의 비즈니스 분쟁 (Business Disputes)
이 표현은 자발적인 **'사임(辭任)'**을 의미할 수도 있고, 외부의 압력이나 여론 악화로 인한 비자발적인 **'퇴진(退陣)'**이나 **'해임(解任)'**의 결과일 수도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그 뉘앙스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스스로 자리에서 내려왔다"는 자발적 사임을, "결국 자리에서 내려오게 되었다"는 여론이나 상황에 밀려 물러났다는 느낌을 줍니다.
This expression can imply a voluntary **'resignation (사임)'** or an involuntary **'stepping down (퇴진)'** or **'dismissal (해임)'** due to external pressure or worsening public opinion. The nuance changes depending on the context. For example, "stepped down on one's own" implies voluntary resignation, while "was eventually forced to step down" suggests being pushed out by public opinion or circumstances.
💼 한국 회사에서의 실제 생활 (Life in a Korean Company)
한국 뉴스, 특히 정치나 경제 섹션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기업의 리더십 변화, 정치인의 거취 문제, 또는 스캔들로 인한 책임 공방이 벌어질 때 이 키워드를 흔히 들을 수 있습니다. 이는 한국 사회가 특정 '자리'에 부여하는 무게감과 그에 따른 책임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This is an expression frequently encountered in Korean news, especially in the politics and economy sections. You can often hear this keyword during discussions of leadership changes in companies, the future of politicians, or debates over responsibility due to scandals. This shows that Korean society places significant weight on certain 'positions' and the responsibilities that come with them.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자리에서 내려오다'는 주로 공적인 인물의 사임이나 퇴진을 보도하거나 요구할 때 사용됩니다.
'To step down from one's position' is mainly used when reporting or demanding the resignation or removal of a public figure.
- ▶️ 정치 뉴스: "야당 대표는 이번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내려왔습니다."
- ▶️ 기업 드라마: "회장님! 이제 그만 자리에서 내려오시죠."
- ▶️ 역사적 맥락: "왕은 백성들의 요구에 못 이겨 스스로 왕의 자리에서 내려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