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삶(18)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The Lives of Koreans (18)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 Topik graph)

한국인의 삶 18편: 학업 성취는 올랐는데, 학교생활은 왜 불만족스러울까?

한국인의 삶 시리즈 18편
학업 성취는 올랐는데, 학교생활은 왜 불만족스러울까?
The 18th Korean Life Series: Achievement is Up, But Why is School Life Unsatisfying?

이번 '한국인의 삶' 시리즈 18편은 국가통계연구원의 「아동‧청소년 삶의 질 2025」 보고서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주관적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 만족도 결과를 분석합니다. (In the 18th part of the 'Korean Life Series', we analyze the results of adolescent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Quality of Lif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2025" report.)

아이들이 스스로 느끼는 학업 성과와 학교에서의 행복감이 어떤 **'고성장-저만족'**의 역설적 추이를 보이고 있는지 조명합니다. (We shed light on the paradoxical trend of **'High-Achievement, Low-Satisfaction'** regarding the academic performance children feel themselves and their happiness in school.)

1. 주관적 학업성취도는 꾸준한 상승세
1.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is on a Steady Rise

학업성취도 상승

청소년(13~18세 대상)이 스스로 평가한 주관적 학업성취도는 **'14년 3.10점에서 '23년 3.32점으로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5점 척도). 여학생(3.36점)이 남학생(3.29점)보다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대도시(3.37점)가 농어촌(3.22점)보다 높았습니다. (Adolescent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steadily rising from 3.10 points in '14 to 3.32 points in '23 (5-point scale). Female students (3.36 points) scored higher than male students (3.29 points), and by region, large cities (3.37 points) were higher than rural areas (3.22 points).)

전반적 추세: 중‧고등학생의 주관적 학업성취도는 ’14년 3.10점에서 ’23년 3.32점으로 상승 추세를 보였습니다. Overall Trend: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high school students showed an upward trend, rising from 3.10 points in '14 to 3.32 points in '23.

이러한 **성취도 상승**의 배경에는 교육열 외에도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 **함께 읽기: 최상급 한국어 문법 및 표현 학습**

2. 학교생활 만족도는 지속적인 감소세
2. School Life Satisfaction is on a Continuous Decline

학업성취도의 상승세와 대비되어, 청소년(9~18세 대상)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In contrast to the rising trend of academic achievement,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adolescents has been on a continuous decline over a long period, causing concern.)

학교생활 만족도

지속적 감소: 학교생활 만족도는 ’14년 3.10점에서 ’23년 2.84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했습니다 (4점 척도). Continuous Declin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continuously decreased from 3.10 points in '14 to 2.84 points in '23 (4-point scale).

지역별 격차: 대도시(2.87점)와 중소도시(2.84점)에 비해 농어촌 거주 학생은 2.76점으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Regional Gap: Compared to large cities and small/medium-sized cities, students residing in rural areas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at 2.76 points.

낮은 만족도는 **정서적 어려움**과도 관련이 깊습니다. 🔗 **함께 읽기: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2]로 한국어 심화 학습**

3. '고성장-저만족'의 역설적 과제
3. The Paradoxical Challenge of 'High-Achievement, Low-Satisfaction'

학업성취도는 높아지지만 만족도는 낮아지는 이 **'고성장-저만족'** 현상은 한국 교육의 근본적인 과제를 시사합니다. 아이들은 스스로 더 잘하고 있다고 느끼면서도, 학교라는 공간에서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는 모순적 상황입니다. 이는 **경쟁 중심의 교육 환경** 속에서 비학업적 요소(관계, 정서, 여가)가 충분히 충족되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This 'High-Achievement, Low-Satisfaction' phenomenon suggests a fundamental challenge in Korean education. It's a paradoxical situation where children feel they are performing better, yet are dissatisfied with the school environment. This implies that non-academic factors are not sufficiently fulfilled within a competition-centered education system.)

특히 학교생활 만족도가 지역 규모가 작아질수록 낮아지는 점은, 교육 자원뿐 아니라 학교 밖의 사회적 인프라와 공동체 환경이 청소년들의 주관적 웰빙(Subjective Well-being)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앞으로는 학업 성취를 넘어, 긍정적 관계와 존중, 다양한 경험을 통한 **주관적 웰빙 향상**에 초점을 맞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The decrease in school satisfaction as the region size shrinks highlights the impact of social infrastructure and community environment outside of school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Future policy efforts must focus on enhancing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positive relationships, respect, and diverse experiences, beyond just academic achievement.)

주관적 웰빙 향상을 위한 **교육 환경 재설계**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 **함께 읽기: TOPIK 54번 고급 한국어 쓰기 주제 분석**

한국어 어휘/문법 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s)

1. [주관적]과 [불만족스럽다]를 사용하여 문장을 완성하세요. (Finish the sentence using [Subjective] and [to be dissatisfied].)

          * (           )인 의견만 내세우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가 (           ) 수 있어요.

2. 문법 [~는 데]와 [~(으)ㄹ수록]을 사용하여 다음 문장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세요. (Connect the following sentences naturally using [~는 데] and [~(으)ㄹ수록].)

          * 한국어 공부를 열심히 하다. (하지만) 알면 알다. 문법이 더 어렵게 느껴지다.

                → 한국어 공부를 열심히 하는데, 알면 알수록 문법이 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주관적 (Jugwanjeok)

의미: 자신의 견해나 관점에 따르는 것.Meaning: Subjective (based on personal opinion/viewpoint).

주관적인 생각보다 객관적인 자료가 중요합니다.Objective data is more important than subjective thoughts.

2. 불만족스럽다 (Bulmanjokseureopda)

의미: 마음에 차지 않아 기쁘지 않은 상태이다.Meaning: To be dissatisfied/unsatisfied.

그는 회사 생활에 불만족스러워서 이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He is dissatisfied with his company life, so he is preparing to change jobs.

3. 역설적 (Yeokseoljeok)

의미: 이치에 맞지 않는 듯하면서도 진리를 담고 있는.Meaning: Paradoxical (seemingly contradictory but true).

부유하지만 행복하지 않다는 것은 역설적인 상황입니다.Being rich but unhappy is a paradoxical situation.

오늘의 유용한 문법 3가지
Today's 3 Useful Grammar Points

1. ~는 데 (-neun de)

의미: 앞선 상황을 배경이나 이유로 제시하며 뒤의 내용과 대비될 때 사용.Meaning: Used to express a background or contrast. ("...although/but...")

날씨가 좋은데, 집에만 있기 아쉽네요.The weather is nice, but it's a shame to stay home.

2. ~(으)ㄹ수록 (~(eu)l-surok)

의미: 어떤 정도가 깊어질수록 뒤의 내용도 비례함을 나타냅니다.Meaning: The more... the more... (Expressing proportionality/continuous change).

한국어를 공부할수록 더 어려워지는 것 같아요.The more I study Korean, the more difficult it seems.

3. ~에 대비되어 (~e daebi-doeeo)

의미: 앞의 내용과 반대되거나 비교되는 상황을 제시합니다.Meaning: In contrast to / Compared to (Expressing contrast).

예상했던 결과에 대비되어, 실제 성적은 낮게 나왔습니다.In contrast to the expected results, the actual grades came out low.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mastering(4) : K DRAMA '멜로가 체질' + topik essential

K-Drama 🏋️힘쎈 여자 도봉순으로 배우는 한국어(1) '~ 게 되다.' Learn Korean with Strong Woman Do Bong Soon

당신이 곧 만나게 될 Korean movie (명작, masterpiece) "어쩔수가 없다" :"No Other Choice" by Park Chan-w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