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삶(19) 청소년 인구와 가구 변화 The Lives of Koreans (19) Child/Youth Population and Household Shifts (+ Topik graph)
한국인의 삶(19) 청소년 인구와 가구 변화
Child/Youth Population and Household Shifts
사회적 배경 (아동‧청소년 인구 및 가구 변화)
Social Background (Changes in Child/Youth Population and Households)
아동·청소년 인구 변화 (0~18세)
Changes in the Child/Youth Population (Ages 0-18)
아동‧청소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The child/youth population is continuously decreasing.
통계청 추계에 따르면, 2025년에는 7,082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13.7%**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According to the Statistics Korea estimate, this population is projected to be 7.082 million in 2025, accounting for **13.7%** of the total population.
TOPIK 60일 챌린지 29일차 - 공부 전략 보러가기이주배경을 가진 아동‧청소년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2025년에 6.3%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The proportion of children/youth with an immigrant background is steadily increasing and is expected to reach 6.3% in 2025.
한국어 실력 레벨업, 6월 24일 인사이트 글로 더 깊이 이해하기아동·청소년 가구 변화
Changes in Child/Youth Households
아동‧청소년 가구의 한부모 양육 비율은 **2024년 7.7%**로, 2016년 이후 큰 변화가 없습니다. 이 중 **69%**는 어머니가 양육하고 있습니다. The single-parent upbringing ratio in child/youth households is **7.7% in 2024**, showing little change since 2016. Among these, **69%** are being raised by the mother.
아동‧청소년(0~17세) 가구의 맞벌이 비율은 2016년 48.5%에서 2024년 **58.5%**로 증가 추세를 보입니다. The dual-income ratio in child/youth households (ages 0-17) shows an increasing trend, rising from 48.5% in 2016 to **58.5%** in 2024.
맞벌이 비율은 막내 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상승하여, 13~17세 자녀 가구의 경우 **64.1%**로 가장 높았습니다. The dual-income ratio increases the higher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is, peaking at **64.1%** for households with children aged 13-17.
첫 출근 대화로 배우는 실전 한국어 회화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s)
1. 다음 문장에서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고르세요. (인구 / 맞벌이 / 추계)
한국의 (인구)는 2025년에 7,082천 명으로 (추계)됩니다.
Choose the correct words for the blanks in the sentence above.
2. 다음 문장에서 문법 표현 '~ㄹ/을수록'을 사용하여 다시 쓰세요.
아이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부모의 맞벌이 비율도 높아집니다.
Rewrite the following sentence using the grammar pattern '~ㄹ/을수록'.
오늘의 필수 어휘 및 유용한 문법
Essential Vocabulary & Useful Grammar
1. 인구 (In'gu) (人 口)
의미: 특정한 지역이나 국가에 살고 있는 사람의 수. (Population) Meaning: The number of people living in a specific area or country.
서울의 인구는 천만 명이 넘습니다. Seoul's population exceeds ten million people.
2. 추계 (Chugye) (推 計)
의미: 어떤 수량이나 가치 등을 추측하여 계산함. (Estimate/Projection) Meaning: The act of estimating and calculating a quantity or value.
내년도 예산 추계를 다시 해야 합니다. We need to redo the budget projection for next year.
3. 맞벌이 (Matbeor-i) (맞 벌이)
의미: 결혼한 부부가 모두 경제 활동을 하는 것. (Dual Income/Working Couple) Meaning: When both spouses in a marriage work for income.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The trend of dual-income households is increasing.
4. 문법: ~에 이르다 (~e ireuda) (도달/결과)
의미: 어떤 수준이나 상태, 또는 결과에 도달했음을 나타냅니다. (To reach/Amount to) Meaning: Used to indicate that a certain level, state, or result has been reached.
손실액이 1억 원에 이르렀다. The amount of loss reached 100 million won.
5. 문법: ~을/를 차지하다 (~eul/leul chajihada) (비율/공간)
의미: 어떤 공간이나 전체에서 일정한 비율을 차지함을 나타냅니다. (To occupy/To account for) Meaning: Used to indicate occupying a certain space or accounting for a specific ratio within a whole.
여성 인구가 전체의 50%를 차지한다. The female population accounts for 50% of the total.
6. 문법: ~ㄹ/을수록 (~l/eulsurok) (비례 관계)
의미: 앞선 내용의 정도가 깊어질 때, 뒤의 내용도 그에 비례하여 변화함을 나타냅니다. (The more... the more) Meaning: Indicates that as the degree of the preceding action/state increases, the following action/state also changes proportionally.
열심히 공부할수록 성적이 좋아집니다. The harder you study, the better your grades be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