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hrases 30 for Topik Level 3 (1) : ~ 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다
Key phrases 30
한국어 핵심 구절 30일 완성
Essential Korean Phrases for TOPIK Level 3 (Day 1)
Day 1: 주장 및 요구 제기 Raising Claims and Demands
이 시리즈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합격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 여러분을 위해 필수 핵심 구문과 표현을 30일 동안 교육합니다. 각 날짜별 프로그램은 핵심 구절 소개와 실전 문제 풀이를 통해 학습 효율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핵심 어휘 및 문법 분석 Core Vocabulary and Grammar Analysis
핵심 어휘 (Core Vocabulary)
필요성 [piryo-seong] (N.)
의미: 어떤 일에 반드시 있어야 하거나 해내야 할 성질. (The quality of being essential.)
예문: 환경 보호 교육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protection education cannot be overemphasized.)
제기되다 [jegi-doeda] (V.)
의미: 의견이나 문제가 논의를 위해 내놓아지다. (To be proposed or brought up for discussion.)
예문: 새로운 정책에 대한 찬반 의견이 동시에 제기되었다. (Opinions for and against the new policy were raised simultaneously.)
해소하다 [haeso-hada] (V.)
의미: 얽힌 일이나 막힌 상태를 풀어서 없애다. (To resolve, relieve, or eliminate.)
예문: 긴 대화를 통해 두 사람 사이의 오해를 완전히 해소했다. (The misunderstanding was completely resolved through a long conversation.)
핵심 문법 (Core Grammar)
-에 대한 [-e daehan] (P.)
의미: 앞에 오는 명사와 관련되거나 그것을 대상으로 함을 나타냄. (Indicates relation to or being directed towards; 'about' or 'regarding'.)
예문: 환경 오염 문제에 대한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The government's preparation of countermeasures regard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sue is urgent.)
-의 목소리가 커지다 [-ui moksori-ga keojida] (Exp.)
의미: 어떤 집단이나 사람들의 요구, 주장, 불만 등이 강해짐. (Indicates that the demands or claims of a group are getting stronger.)
예문: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회사 측은 결국 임금 인상을 논의하기로 했다. (As the voice of the workers grew louder, the company decided to discuss a wage increase.)
-고자 하다 [-goja hada] (G.)
의미: 어떤 행위를 할 의도나 목적을 나타냄. (Indicates the intention or purpose of performing an action; formal 'intend to do'.)
예문: 저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사회 문제 해소하고자 합니다. (We intend to resolve social problems through this project.)
✅ 연관 학습: 주장/요구 표현 더 깊이 보기
TOPIK 60일 완성 Day 10: '요청, 요구' 표현 심화 학습실전 문제 풀이 (Practical Problem Solving)
세트 1. Key Phrase: -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다
[문제 1] 다음 밑줄 친 부분과 바꿔 쓸 수 있는 것을 고르시오.
정부는 국민들의 안전을 위해 대형 재난 시 대피소 확충에 대피소 확충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대피소 확충을 서둘러야 한다는 논란이 일었다.
- 대피소 확충이 우선순위에서 밀려났다.
- 대피소 확충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정답)
- 대피소 확충에 대한 관심이 사그라들었다.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c
해설: 원문('요구가 높아지고 있다')은 '어떤 것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의미로, 이는 '어떤 것이 필수적이라고 여겨져 공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는 뜻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와 가장 유사합니다. 따라서 c가 정답입니다.
세트 2. Key Phrase: -의 목소리가 커지다
[문제 2] 다음 글을 읽고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최근 환경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기업들에게 친환경적인 생산 방식을 도입하라는 _______.
- 필요성이 감수되었다.
- 반전의 계기가 되었다.
- 논란을 해소하였다.
- 시민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답)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d
해설: '친환경적인 생산 방식'을 요구하는 주장이 강해지는 상황을 나타내며, 이러한 요구가 강해지는 상황을 가장 잘 나타내는 표현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입니다. D가 정답입니다.
✅ 연관 학습: 사회 문제와 관련된 한국어 표현
TOPIK 60일 완성 Day 29: 사회 이슈 관련 비판 표현세트 3. 실전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문제 3] 다음 대화의 흐름상 가장 어색한 것을 고르시오.
마이크: 박 대리님, 요즘 직원들의 복지가 부족하다는 불만이 좀 있는 것 같습니다.
박 대리: 맞아요. 유연 근무제 도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관련 부서에서 검토 중입니다. (A)
마이크: 다행이네요. 그럼 직원들의 의견을 들을 기회는 있나요?
박 대리: 물론이죠.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노동조합의 목소리가 커져서 회의가 열릴 예정입니다. (B)
마이크: 아, 그럼 유연 근무제 도입은 이미 시행될 것이라고 결정되었습니다. (C)
박 대리: 아직 결정된 것은 없습니다. 다만 필요성이 제기되고, 요구의 목소리가 커졌을 뿐입니다. (D)
- (A)
- (B)
- (C) (정답)
- (D)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c
해설: '필요성이 제기되다'나 '목소리가 커지다'는 주장이나 논의의 시작 단계를 나타내며, 최종 '결정'이나 '시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박 대리가 (D)에서 '아직 결정된 것은 없습니다'라고 밝히고 있으므로, 마이크의 단정적인 발언 (C)가 대화 흐름상 어색합니다.
복습 연습 문제 (Review Practice)
1. 시민들의 항의로 인해 정부는 환경 오염 문제 (----) 대책 마련의 (----)이 (--------------).
2. 유해 물질 배출을 중단하라는 (---------)들의 (----------)가 점점 (-------------- )고 있다.
3. 갈등을 (---) 위해 양측 대표는 깊은 대화를 (---- ) 했다. (Hint: 'intend to do')
(정답 예시: 1. 에 대한, 필요성, 제기되다 / 2. 시민단체, 목소리, 커지 / 3. 해소, 하고자)
✅ 연관 학습: 한국어 작문 능력을 키우는 방법
TOPIK 60일 완성 Day 22: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핵심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