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Da-mi '백번의 추억'(A Hundred Memories) 로 배우는 한국어 (Korean) vol.18 : '-더라고','무작정'
K-드라마 '백번의 추억'으로 배우는 한국어
'인생의 고통과 인간적인 약점'
Learning Korean with K-Drama 'A Hundred Times Memories'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춘 드라마 '백번의 추억'에서 **인생의 고통**과 **인간적인 약점**에 대해 나누는 깊은 대화를 분석해 볼 거예요. 신예은은 **센 척** [00:01:41]하지만 사실 **겁이 엄청 많은** [00:01:46] 자신의 **속마음**을 털어놓고, 전성우는 **주제 넘을지도** [00:00:39] 모른다면서도 겪어야 하는 일은 **무작정** [00:00:45] 피하는 것이 답이 아님을 조언합니다. 이 장면에서 **'눈치'** [00:00:16]나 **'-더라고'** [00:00:49]와 같은 한국적이고 고급스러운 표현들을 함께 배워보시죠.
Hello! Today, we will analyze a deep conversation from the youth drama 'A Hundred Times Memories' about **life's pain** and **human weakness**. Shin Ye-eun confesses her **true feelings**, saying she **pretends to be tough (sen cheok)** [00:01:41] but is actually **very scared** [00:01:46]. Jeon Sung-woo, saying it might **overstep his bounds (juje neomda)** [00:00:39], advises her that **blindly (mujakjeong)** [00:00:45] avoiding things that must be faced is not the answer. Let's learn authentic and advanced Korean expressions like **'nunchi'** [00:00:16] and **'-deorago'** [00:00:49] used in this scene. First, watch the video.
🚀K-드라마와 함께 배우는 깊은 한국 사회 이야기 (내부 링크 1)
선행 학습: 꼭 알아야 할 한국어
Pre-learning: Essential Korean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영상에 나오는 주요 어휘와 문법 표현을 미리 배워두면 학습에 도움이 됩니다! 이 어휘와 문법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 나올 만한 정제된 표현들입니다.
눈치 (Nunchi)
발음: [nunchi]
의미: 상대방의 마음이나 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 한국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social intelligence', 'tact', 'quick wit'의 의미입니다.
예시: 아 이거 내 눈치론 [00:00:16] 어머니가 오빠한테만 주신 거 같은데. (By my **nunchi (social awareness)** [00:00:16], it seems like Mom only gave this to my brother.)
주제 넘다 (主題 넘다)
발음: [juje neomda]
의미: 자신의 분수나 한계를 넘어서는 언행을 하다. 조언이나 간섭을 할 때 겸손하게 사용됩니다. 'to overstep one's bounds', 'to be presumptuous'의 의미입니다.
예시: 이런 말 주제 넘을지도 [00:00:39] 모르는데... (I know this advice might **be overstepping my bounds** [00:00:39], but...)
센 척하다 / 겁이 많다
발음: [sen cheok hada] / [geobi manta]
의미: **센 척하다**는 '강한 척하다'로, 실제로는 그렇지 않지만 강하게 보이려고 행동하는 것입니다. **겁이 많다**는 '두려움이 많다'는 뜻입니다. 'to pretend to be tough' / 'to be very scared'의 의미입니다.
예시: 센 척은 [00:01:41] 하는데 실은 겁이 엄청 많아요 [00:01:46]. (I **pretend to be tough** [00:01:41], but I'm actually **very scared** [00:01:46].)
-더라고 (-deorago)
발음: [-deorago]
의미: 화자가 과거의 경험이나 사실을 직접 겪고 나서 깨닫거나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회상하며 말할 때 사용합니다. 'I realized/discovered that...' 또는 'I found that...'의 의미입니다.
예시: 겪어야 들리는 일은 결국 겪어야 끝이 나더라고 [00:00:49]. (I **found that** [00:00:49] the things you have to go through only end when you go through them.)
무작정 (無作定)
발음: [mujakjeong]
의미: 계획이나 생각 없이 닥치는 대로. 'recklessly', 'blindly', 'unconditionally'의 의미입니다.
예시: 무슨 일인지 몰라도 무작정 [00:00:45] 피하고 숨는게 답은 아닐 거야. (I don't know what's going on, but **blindly** [00:00:45] avoiding and hiding won't be the answer.)
유난히 (類難히)
발음: [yunanhi]
의미: 보통보다 훨씬 더 두드러지게. 특히 그러하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especially', 'particularly', 'unusually'의 의미입니다.
예시: 유난히 [00:01:37] 그래요 제가. (I am **especially** [00:01:37] like that.)
연습 문제
Practice Exercises
배운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어보세요. 정답은 스스로 찾아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입니다! 🧐
문제 1: 대화 완성하기 (Dialogue Completion)
다음 대화의 빈칸을 가장 알맞은 어휘로 채우세요. (Fill in the blanks in the following dialogue with the most appropriate vocabulary.)
A: 새로 온 부장님은 센 척을 (___) 하지만, 회의 때 발표할 때 손을 떠는 걸 봤어.
B: 아무리 (___) 행동을 해도, 눈치가 (___) 사람들은 다 알지.
정답 예시: A: 하는데 / B: 무작정, 빠른
문제 2: 문장 전환하기 (Sentence Conversion)
다음 문장을 문법 '-더라고'를 사용하여 회상하는 문장으로 바꾸세요. (Convert the following sentence into a recollective sentence using the grammar '-더라고'.)
원본: 힘든 일을 겪고 나니 사람이 더 성숙해졌다.
전환: 힘든 일을 겪고 나니 사람이 더 성숙해지는 것을 (___).
정답 예시: 알겠더라고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아래 링크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