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해 우리는'으로 배우는 한국어
Learning Korean with 'Our Beloved Summer'
안녕하세요! 오늘은 SBS 드라마 '그 해 우리는'의 에필로그 중 로맨틱한 고백 장면을 통해 한국어 표현들을 배워볼게요. 헤어졌던 최웅과 국연수가 다시 만나 깊어진 감정을 확인하는 순간이죠. 이 영상 속 대사들을 보며 감정 표현에 유용한 한국어를 익혀보세요
Hello! Today, let's learn Korean expressions through the romantic confession scene from the epilogue of the SBS drama 'Our Beloved Summer.' It's the moment when Choi Woong and Kook Yeon-soo, who had broken up, meet again and confirm their deepened feelings. Watch the dialogues in this video and learn useful Korean expressions for conveying emotions.
선행 학습: 꼭 알아야 할 한국어
Pre-learning: Essential Korean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영상에 나오는 주요 어휘와 문법 표현을 미리 배워두면 훨씬 더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어요!
Before we dive into the main content, you can learn more effectively and have more fun by pre-learning the key vocabulary and grammar expressions from the video!
좋아하나 봐
의미: '좋아하다' (to like)에 추측을 나타내는 '-나 봐'가 붙은 표현입니다. '생각해보니 좋아하는 것 같다' 또는 '좋아하는 모양이다'와 같이 자신의 추측이나 느낌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I think I like you' 또는 'It seems I like you'의 의미입니다.
예시:
1. 걔네 둘이 매일 같이 다니는 걸 보니 사귀나 봐. (Seeing them hang out every day, I guess they're dating.)
2. 하늘이 어두워진 걸 보니 비가 오려나 봐. (Looking at the dark sky, it seems like it's going to rain.)
싫진 않아
의미: '싫다' (to dislike)의 반대 의미로 '좋다'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으면서 긍정적인 감정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표현입니다. 'It's not that I dislike it' 또는 'I don't mind'의 의미입니다. 한국어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죠.
예시:
1. A: 피자 싫어해? (Don't you like pizza?) B: 아니, 싫진 않아. (No, I don't dislike it.)
2. 그 사람이 같이 일하자고 했는데 싫진 않아. (He asked me to work together, and I don't mind.)
시간 낭비
의미: '시간'과 '낭비'가 결합된 명사입니다. '시간 낭비하다'처럼 동사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waste of time'을 의미합니다. 영상 속 최웅은 과거의 자신을 회상하며 이 표현을 사용합니다.
예시:
1. 쓸데없는 일에 시간을 쓰는 것은 정말 시간 낭비야. (Spending time on useless things is a real waste of time.)
2. 게임만 하면 시간 낭비라고 생각했어. (I thought playing games was a waste of time.)
-던 (Retrospective Modifier)
의미: 과거에 경험하거나 반복적으로 일어났던 행동을 회상하거나 기억할 때 사용합니다. 동사 어간에 붙어 과거의 상태를 설명합니다. 'the... that I used to...' 또는 'the... that was...'의 의미입니다.
의미 (English): It's used to recall or remember an action that was experienced or occurred repeatedly in the past. It's attached to a verb stem to describe a past state. It means 'the... that I used to...' or 'the... that was...'.
예시:
1. 공부가 시간 낭비라고 말하던 너는... (You, who used to say studying was a waste of time...)
2. 예전에 자주 가던 식당이 문을 닫았어요. (The restaurant I used to go to often has closed down.)
-나 보다 / -나 봐
의미: 말하는 사람이 직접 보고 들은 사실을 바탕으로 무언가를 추측할 때 사용합니다. 동사 어간 뒤에 붙습니다. 'It seems that...' 또는 'I guess that...'의 의미를 가집니다.
의미 (English): It's used when the speaker makes an assumption based on what they've seen or heard directly. It's attached to a verb stem. It means 'It seems that...' or 'I guess that...'.
예시:
1. 좋아하는 것 같아? → 좋아하나 봐. (Do you think I like it? → I guess I like it.)
2. 사람들이 웃는 걸 보니 영화가 재미있나 봐. (Seeing people laugh, it seems the movie is fun.)
-지 않다 (Negative Form)
의미: 동사나 형용사를 부정할 때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표현입니다. 한국어에서 감정을 직접적으로 말하기보다 완곡하게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의미 (English): This is the most basic expression used to negate a verb or adjective. It's often used in Korean to express feelings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예시:
1. 내일은 회사에 가지 않아. (I'm not going to work tomorrow.)
2. 나는 그가 싫지 않아. (I don't dislike him.)

K-드라마 대화 속 숨은 한국어
Hidden Korean in K-Drama Dialogue
이 영상은 헤어졌던 최웅과 국연수가 다시 만나 진심을 고백하는 순간을 담고 있습니다. '좋아해'라는 직접적인 표현 외에도 '좋아하나 봐', '싫진 않아'와 같은 간접적인 표현들이 한국어 대화의 뉘앙스를 잘 보여줍니다. 사랑과 관계에 대한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법을 이 장면을 통해 배워보세요.
This video captures the moment when Choi Woong and Kook Yeon-soo, who had broken up, meet again and confess their true feelings. In addition to the direct expression '좋아해' (I like you), indirect expressions like '좋아하나 봐' (I think I like you) and '싫진 않아' (I don't dislike you) beautifully showcase the nuances of Korean conversation. Learn how to honestly express emotions about love and relationships through this scene.
박민수 대리님, 한국에서는 '좋아한다'는 말을 그렇게 돌려서 표현하나요? '좋아하나 봐'나 '싫진 않아' 같은 표현이 신기해요.
Deputy Park Min-su, do Koreans express 'liking someone' in such a roundabout way? Expressions like '좋아하나 봐' and '싫진 않아' are fascinating.
네, 그레이스 씨. 한국 문화에서는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보다 은유적이고 완곡하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상대방을 배려하고 관계의 긴장을 최소화하려는 문화적 습관이죠. 이런 표현을 잘 익히면 한국인과 더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을 겁니다. 한국어 실력 향상에 대한 글도 참고해 보세요.
Yes, Grace. In Korean culture, there is a tendency to express emotions metaphorically and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This is a cultural habit of considering the other person and minimizing tension in a relationship. If you master these expressions, you'll be able to have deeper conversations with Koreans. Also, check out the article on improving your Korean skills.
관련 표현 및 문화 팁 | Related Expressions and Cultural Tips
'좋아해'라는 직설적인 고백도 좋지만, '좋아하나 봐', '생각보다 괜찮네'처럼 상대방의 반응을 살피며 조심스럽게 다가가는 것이 한국 로맨스 드라마의 특징입니다. 이러한 간접적인 표현을 이해하는 것이 감정의 뉘앙스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While a direct confession like '좋아해' is great, cautiously approaching someone by observing their reaction with phrases like '좋아하나 봐' or '생각보다 괜찮네' (you're better than I thought)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 romance dramas. Understanding these indirect expressions is a great help in grasping the nuances of feelings.
💡 오늘의 팁 | Today's Tip
한국어 능력 평가(TOPIK) 시험을 준비한다면, 드라마 속 문맥을 통해 문법을 익히는 것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던'과 '-는 곳'처럼 문법이 사용되는 실제 상황을 기억하면, 시험 문제를 풀 때 훨씬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If you're preparing for the Korean Proficiency Test (TOPIK), learning grammar through the context of dramas is very effective. Remembering the actual situations where grammar points like '-던' and '-는 곳' are used will make it much easier to apply them when solving test questions.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아래 링크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 헷갈리는 비즈니스 한국어 표현 | Confusing Business Korean Expressions
- 실용 한국어: 핵심만 쏙쏙! 비즈니스 이메일 팁 | Practical Korean: Key Tips for Business Emails
- 한국어 고급 문법 및 표현 | Advanced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