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복지 제도의 사각지대를 없애야 한다.
We must eliminate blind spots in the welfare system.
우리 회사는 아직도 주 4일제 도입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Our company is still in the blind spot of a four-day work week.
도로 교통의 사각지대 때문에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Accidents frequently occur due to blind spots in road traffic.
단어분석
사각 (Sagak) : 네모의 한 부분, 네 모서리 (A part of a square, four corners)
지대 (Jidae) : 어떤 목적이나 용도로 쓰이는 땅의 구역, 영역 (A zone or area used for a certain purpose)
사각지대 설명문단
사각지대는 원래 운전이나 CCTV 등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물리적인 공간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사회에서는 '특정 시스템이나 정책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소외된 사람이나 계층'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특히 복지, 교육, 고용 등의 분야에서 사각지대라는 표현은 중요한 사회적 문제를 지칭하는 데에 쓰입니다. 예를 들어, '복지 사각지대'는 정부의 복지 정책이 닿지 않는 취약 계층을 의미합니다.
The term blind spot originally refers to a physical area that is not visible, such as in driving or on CCTV. However, in a social context, it is used metaphorically to describe 'marginalized people or groups who do not receive the benefits of a certain system or policy'. The expression blind spot is particularly used to denote important social issues in areas like welfare, education, and employment. For example, 'welfare blind spot' refers to a vulnerable group that is not reached by the government's welfare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