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 hard difficulty ! Topik 54 : 반려동물과 사회 문제 _Ways to Promote Public Transportation Use

TOPIK II 쓰기 54번: 반려동물과 사회

TOPIK II 쓰기 54번
[반려동물과 사회]

TOPIK II Writing Task 54: Pets and Society


예상문제 (Anticipated Question)

반려동물이 1,500만 마리가 넘으면서 하나의 사회 트렌드와 경제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사람에 대한 공격, 소음, 오물 등 부수되는 문제 또한 적지 않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펫티켓, 동물 학대, 유기동물 문제 등)을 분석하고,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성숙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600~700자로 쓰십시오. 단, 아래의 내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With the number of pets exceeding 15 million, they are becoming a social trend and an economic force. However, there are also many accompanying problems, such as attacks on people, noise, and waste. Analyz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is change (petiquette, animal abuse, abandoned animals, etc.) and write your opinion, in 600-700 characters, on specific measures to create a mature society where people and animals coexist. However, you must include the following contents:

  • 반려동물 인구 증가가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What are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the increase in the pet population on society?

  • 반려동물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What efforts are needed to solve pet-related problems?

  •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What are some specific measures to create a mature pet culture?


문제 해설 (Question Analysis)

이 문제는 반려동물 인구 증가라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여 사람과 동물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방안을 논리적으로 제시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서론-본론-결론의 명확한 구조를 활용하여 논리적인 흐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펫티켓, 동물 학대, 유기동물 문제를 구체적인 예시로 들면서 해결 방안을 제시하면 좋습니다.

This question evaluates your ability to logically present solutions for creating a society where people and animals coexist harmoniously, by identifying the various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social change of an increasing pet population. It is important to create a logical flow using a clear structure of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It is especially effective to provide specific examples of problems such as petiquette, animal abuse, and abandoned animals while suggesting solutions.


모범 예시 답안 (Sample Answer)

우리 사회는 반려동물 가구 천만 명 시대에 진입하면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반려동물은 이제 단순히 '애완'의 대상을 넘어 가족의 일원으로 인식되며, 정서적 안정감을 주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와 함께 펫티켓을 둘러싼 갈등, 동물 학대, 그리고 유기동물 문제 등 여러 사회적 과제들도 대두되고 있다.

Our society is undergoing many changes as it enters the era of 10 million pet-owning households. Pets are now seen not just as 'pets' but as family members, having a positive impact by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and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However, along with this, various social challenges such as conflicts over petiquette, animal abuse, and the problem of abandoned animals are also emerging.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의 노력이 절실하다. 먼저, 반려동물 소유자와 비소유자 모두 서로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또한, 동물 학대나 유기 행위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과 함께 법적 처벌을 강화하는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 특히, 반려동물 소유자의 책임 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홍보가 중요하다.

To solve these problems, society-wide effort is urgently needed. First, both pet owners and non-owners need an attitude of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Furthermore, institutional improvements, such as strengthening legal penalties for animal abuse or abandonment, are urgently needed along with a change in social perception. In particular, education and public awareness campaigns to increase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mong pet owners are crucial.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 등록제를 의무화하고, 동물 등록 정보가 유기동물 문제 해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관리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동물 학대 예방을 위해 동물 학대 행위자에 대한 사육 금지 제도를 도입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의무화해야 한다. 셋째, 공공장소에서의 펫티켓 교육을 강화하고, 반려견 놀이터나 산책로 등 동물 친화적 공간을 확대하여 반려인과 비반려인 모두가 불편 없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Specific measures to create a mature pet culture are as follows. First, the pet registration system must be made mandatory, and the management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that animal registration information can be effectively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abandoned animals. Second, to prevent animal abuse, a system to ban animal abuse offenders from owning pets must be introduced, and educational programs to prevent re-offending should be made mandatory. Third, petiquette education in public places must be strengthened, and pet-friendly spaces like dog parks and walking trails should be expanded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both pet owners and non-owners can coexist without discomfort.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반려동물은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서 존중받고, 모든 구성원이 행복하게 공존하는 성숙한 공동체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these diverse efforts, pets will be respected as members of our society, and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 mature community where all members coexist happily.


핵심 어휘 및 문법 (Key Vocabulary and Grammar)

~에 진입하다

To enter into (an era, a market, a new phase, etc.)

의미: 어떤 새로운 단계나 영역으로 들어가기 시작하다.

Meaning: To start entering a new stage or area.

예시:

  • 한국은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Korea has entered an aging society.

  • 그 회사는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The company succeeded in entering a new market.

~이/가 대두되다

To emerge/come to the forefront

의미: 어떤 문제나 주제가 새롭게 나타나거나 중요하게 떠오르다.

Meaning: For a problem or topic to newly appear or become important.

예시:

  • 환경 보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s emerging.

  • 최근에는 인공지능 윤리 문제가 대두되었다.

    Recently, the issue of AI ethics has come to the forefront.

~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In order to solve...

의미: 어떤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법을 제시할 때 사용하는 표현.

Meaning: An expression used when suggesting a way to solve a problem.

예시:

  • 수면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생활 습관이 필요하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leep deprivation, regular lifestyle habits are necessary.

  • 교통 체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을 확충해야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traffic congestion problem, public transportation must be expanded.

~을/를 조성하다

To create/form/develop (a culture, an environment, etc.)

의미: 어떤 분위기나 환경 등을 만들어 내다.

Meaning: To create a certain atmosphere or environment.

예시:

  • 건강한 사회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We must create a healthy social atmosphere.

  • 정부는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를 조성하고 있다.

    The government is creating jobs for young people.

~로서

As (a status or capacity)

의미: 어떤 지위나 자격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조사.

Meaning: A particle indicating a certain status or capacity.

예시:

  • 그는 전문가로서 이 문제에 대해 발언했다.

    He spoke on this issue as an expert.

  • 우리 모두는 시민으로서 투표에 참여해야 한다.

    All of us as citizens must participate in voting.


실력 점검 문제 (Practice Question)

'책임 의식', '강화해야 한다', '사회적 갈등'을 포함하는 문장을 만드세요.

Create a sentence using the words 'sense of responsibility', 'must be strengthened', and 'social conflict'.

모범 답안: 반려동물 소유자의 책임 의식을 강화해야 사회적 갈등을 줄일 수 있다.



TOPIK 54번 정복! 하나씩 따라해보세요.

Conquer TOPIK 54! Follow along step by step.

@Super real Korean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