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language news : K-pop demon hunters Barrier-Free Screenings for the disabled_장애인을 위한 '케데헌' 상영

배리어프리 상영회: 장벽 없는 미디어 접근성을 즐기는 법 | Enjoying Media Accessibility Without Barriers

장애인도 함께 하는
케데헌 배리어프리 상영회

K-pop demon hunters Barrier-Free Screenings for the disabled

오늘의 핵심 어휘 | Today's Key Vocabulary

"장벽" (N)
의미: 어떤 목적을 이루는 데 방해가 되는 것.
활용: '물리적 장벽', '언어 장벽', '심리적 장벽' 등으로 쓰입니다.
예시: 우리 회사는 장애인을 위한 물리적 장벽을 없애기 위해 노력합니다.

Barrier (noun)
Meaning: Something that prevents or obstructs progress or access.
Usage: Used in phrases like 'physical barrier', 'language barrier', 'psychological barrier'.
Example: Our company is working to remove physical barri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접근성" (N)
의미: 누구나 어떤 대상에 접근하거나 이용하기 쉬운 정도.
활용: '접근성을 높이다', '웹 접근성', '정보 접근성' 등으로 쓰입니다.
예시: 모든 시민이 대중교통의 접근성을 보장받아야 합니다.

Accessibility (noun)
Meaning: The quality of being able to be reached or entered; the degree to which something is usable by everyone.
Usage: Used in phrases like 'improve accessibility', 'web accessibility', 'information accessibility'.
Example: All citizens should be guaranteed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오늘의 문법: ~(으)ㄴ/는 덕분에 | Today's Grammar: ~(eu)n/neun deokbune

형태: 동사/형용사 + 덕분에
의미: 어떤 좋은 결과의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덕분'은 '은혜나 도움'이라는 뜻으로, 긍정적인 상황에만 사용합니다.
예시:
1. 선생님의 도움 덕분에 시험에 합격했어요.
2. 날씨가 좋은 덕분에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었습니다.

Form: Verb/Adjective + deokbune
Meaning: Used to express the cause or reason for a good result. It is only used for positive situations, as '덕분' means 'grace or help.'
Examples:
1. I passed the exam thanks to the teacher's help.
2. Thanks to the good weather, we were able to have a fun trip.

최근 미디어 콘텐츠의 접근성(Accessibility)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모든 사람이 장벽 없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을 의미하는 '배리어프리(Barrier-Free)' 영화 상영회가 좋은 예시죠. 오늘은 이런 상영회를 통해 한국에서 미디어 접근성이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 이야기해볼게요.

Recently, media content accessibility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Among these, 'barrier-free' movie screenings, which help everyone enjoy content without barriers, are a great example. Today, we'll discuss how media accessibility is developing in Korea through these screenings.

마이크 🧑‍💼

박민수 대리님, 어제 '케이팝 데몬 헌터스' 배리어프리 상영회에 다녀오셨다고 들었어요. 어땠어요?

Mr. Park, I heard you went to the 'K-Pop Demon Hunters' barrier-free screening yesterday. How was it?

박민수 대리 👨‍💼

네, 마이크 씨. 정말 뜻깊은 경험이었어요. 화면 해설청각 장애인용 자막 덕분에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었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느낄 수 있는 자리이기도 했고요.

Yes, Mike. It was a very meaningful experience. Thanks to the screen descriptions and subtitles for the hearing impaired, everyone could enjoy it together. It was also a place where I could feel a company's social responsibility.

청각장애인용 자막과 화면해설이 나오는 영화관 화면

Tip: 한국의 미디어 접근성 | Media Accessibility in Korea

한국에서는 시청자미디어재단과 같은 기관이 주도하여 미디어 접근성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In Korea, organizations like the Korea Communications Agency are leading efforts to expand media accessibility.

영화 외에도 뉴스,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콘텐츠에 화면 해설자막이 제공되는 추세입니다.
In addition to movies, screen descriptions and subtitles are increasingly being provided for various content like news, dramas, and documentaries.

미디어 접근성은 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고 사회 참여를 확대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논리적인 글쓰기 능력을 키워 이와 같은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의견을 표현해 보세요.
Media accessibility is an important tool that guarantees the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pands their social participation. Try developing your logical writing skills to express your opinion on such social issues.

미디어 접근성을 위한 노력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의 일환이 되기도 합니다. 이는 TOPIK 고급 어휘 학습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와 함께 TOPIK 쓰기 영역을 위한 글쓰기 연습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Efforts for media accessibility also become part of a company'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This can also help you with learning advanced TOPIK vocabulary. Practicing writing for the TOPIK writing section is also a good idea.

#배리어프리 #미디어접근성 #사회적가치 #장애인 #한국어학습 #BarrierFree #MediaAccess #SocialValue #Disabilities #LearnKorean #미디어 #한국문화 #포용사회 #koreanforbeginners #koreanforintermediate #힌디어 #hindimeinkorean #koreanlearners #koreanlesson #CSR #koreanphrases #koreansociety #koreanlanguage #koreanculture #사회공헌 #기업사회공헌 #케이팝 #영화관 #봉사활동 #장애인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