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 KOREAN from public service ads(19) 갑질 Abuse of power
광고로 배우는 한국어
'갑'과 '을'이 아닌 '사람'이 우선되는 사회
Learn Korean with Ads: A Society Where 'People' Come First
오늘은 공익광고협의회의 캠페인 영상 '갑'과 '을'이 아닌 '사람'이 우선되는 사회를 통해 한국어를 배워보겠습니다. 이 광고는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논의되는 '갑을 관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사람을 존중하는 사회를 만들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영상 속 핵심 표현들을 살펴보며 한국어 실력을 향상시키고 한국 사회와 문화를 더 깊이 이해해 보세요.
Today, let's learn Korean through the Public Service Advertising Council's campaign video, 'A society where people come first, not 'Gap' and 'Eul'. This advertisement addresses the ongoing issue of 'Gap-Eul relationships' in Korean society and conveys a message of creating a society that respects people. By examining the key expressions in the video, you can improve your Korean skills and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영상 분석 및 핵심 표현 (Video Analysis & Key Expressions)
1. "내려놓으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Things visible only when you let go)
내려놓다 (to let go, to put down): 물리적으로 물건을 내려놓는 것 외에, 짐이나 욕심 등을 마음속에서 덜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 To let go, to put down. In addition to physically putting down an object, it means to relieve burdens or greed from one's mind.
-으면 비로소 (-only then, when... finally): 어떤 조건이나 행동이 충족되어야 비로소 특정 결과가 나타난다는 의미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An expression emphasizing that a specific result appears only when a certain condition or action is met.
예시 (Example):
- 고민을 내려놓으면 비로소 마음이 편안해질 거예요. (Only when you let go of your worries will your mind be at peace.)
- 오랜 연습 후에 비로소 완벽한 공연을 할 수 있었어요. (Only after long practice were we finally able to perform a perfect show.)
2. "갑질이 아닌 상생" (Coexistence, not 'Gapjil')
갑질 (abuse of power by 'Gap'): '갑'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을'에게 부당하게 권력을 행사하는 행위를 비판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 A critical term referring to the act of a person in a 'Gap' position unfairly exercising power over an 'Eul'.
상생 (coexistence, mutual prosperity): 둘 이상이 서로 돕고 함께 잘 살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 Means two or more entities helping each other and living well together.
-이/가 아닌 (not... but): 특정 대상이 아니라 다른 대상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Used to emphasize a different object, not a specific one.
예시 (Example):
- 책상이 의자가 아닌 탁자입니다. (It's a table, not a chair.)
- 그것은 문제가 아닌 기회입니다. (That is an opportunity, not a problem.)
3. "사람이 우선되는 사회" (A society where people come first)
우선되다 (to be prioritized, to come first): 어떤 것이 다른 것보다 중요하게 여겨지거나 먼저 처리됨을 의미합니다. / Means something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or handled before other things.
-(으)ㄴ/는 사회 (a society where...): 특정 행동이나 상태가 특징이 되는 사회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 Used to describe a society characterized by a certain action or state.
예시 (Example):
- 배려심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We must create a caring society.)
-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는 사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I hope it becomes a society where fair competition takes place.)
문화 팁 (Culture Tip): 한국 사회에서 '갑'과 '을'은 종종 비즈니스나 개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권력의 불균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갑'은 계약의 상위자나 권력을 가진 사람을, '을'은 그 반대의 입장에 있는 사람을 지칭합니다. / In Korean society, 'Gap' and 'Eul' are often used to describe power imbalances that occur in business or personal relationships. 'Gap' refers to the superior party in a contract or a person with power, while 'Eul' refers to the person in the opposite position.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