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news today 0711_ 외국인 근로자 체류기간 연장(최대5년) foreign workers can stay and work in Korea for up to 5 years
🔥 속보: 외국인 근로자
체류 기간 연장 (최대 5년)
공고 (Official Notice)
오는 2025년 7월 28일부터 외국인 근로자(주로 비전문취업 E-9 비자 소지자)가 한국에서 의무적인 1개월 출국 없이 최대 5년까지 연속으로 체류하며 근무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기존의 3년 근무 후 1개월 출국, 그리고 2년 연장이라는 복잡한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는 획기적인 변화입니다.
Breaking News: From July 28, 2025, foreign workers (primarily E-9 visa holders for non-professional employment) will be able to stay and work in Korea for up to 5 consecutive years without the mandatory 1-month departure. This is a groundbreaking change that significantly streamlines the complicated procedure of working for 3 years, leaving for 1 month, and then extending for 2 years.
💡 주요 변경 사항 (Key Changes)
아래 표를 통해 변경 전후의 주요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Please refer to the table below for the main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상세정보 확인 📢 하이코리아
구분 (Category) |
기존 (2025년 7월 27일까지) (Before - Until July 27, 2025) |
변경 (2025년 7월 28일부터) (After - From July 28, 2025) |
---|---|---|
최초 계약 (Initial Contract) |
3년 (3 years) |
3년 (동일) (3 years - Same) |
의무 출국 (Mandatory Departure) |
3년 근무 후 1개월 이상 의무 출국 (Mandatory departure for 1 month or more after 3 years of work) |
의무 출국 폐지 (Mandatory departure abolished) |
체류 연장 (Stay Extension) |
1개월 출국 후 재입국 시 2년 연장 가능 (총 4년 10개월) (Eligible for 2-year extension upon re-entry after 1-month departure (Total 4 years 10 months)) |
출국 없이 바로 2년 연장 가능 (총 5년) (Eligible for 2-year extension immediately without departure (Total 5 years)) |
최대 체류 기간 (Maximum Stay Period) |
4년 10개월 (3년 + 1개월 출국 + 1년 10개월) (4 years 10 months (3 years + 1-month departure + 1 year 10 months)) |
5년 (3년 + 2년) (5 years (3 years + 2 years)) |
즉, 이제는 3년 근무 후 추가 2년 연장을 위해 본국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한국으로 돌아올 필요가 없어집니다!
In other words, there's no longer a need to return to your home country and then back to Korea for an additional 2-year extension after 3 years of work!
🔍 도입 배경 (Background of Implementation)
이번 제도 개선은 외국인 근로자와 기업 모두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더 효율적인 인력 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의 일환입니다.
This system improvement is part of the government's efforts to alleviate difficulties for both foreign workers and businesses, and to promote more efficient workforce management.
외국인 근로자의 부담 경감: (Reducing Burden on Foreign Workers)
경제적 부담 (Economic burden): 왕복 항공료 등 경제적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Economic burdens such as round-trip airfare will be significantly reduced.
시간 및 정서적 피로 (Time and emotional fatigue): 출국 및 재입국 절차의 번거로움이 사라져 시간 낭비와 심리적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The hassle of departure and re-entry procedures is eliminated, reducing time wastage and psychological fatigue.
불법 체류 유인 감소 (Reduced incentive for illegal stay): 불필요한 출국으로 인한 불법 체류 유인이 줄어들어 안정적인 체류를 도모합니다.
The incentive for illegal stays due to unnecessary departures is reduced, promoting stable residency.
기업의 인력 운영 효율화: (Streamlining Workforce Management for Businesses)
숙련 인력 이탈 방지 (Preventing loss of skilled labor): 3년 근무 후 발생하던 숙련 인력의 공백을 방지하여 생산성 저하를 막습니다.
Prevents productivity decline by avoiding skilled labor gaps that occurred after 3 years of work.
인력 운영 안정성 확보 (Ensuring stability in workforce management): 예측 불가능한 인력 수급 문제를 해소하여, 안정적인 외국인 근로자 활용이 가능해집니다.
Resolves unpredictable labor supply issues, enabling more stable utilization of foreign workers.
고용 유지율 제고 (Boosting employment retention rates): 숙련된 근로자의 장기 근무 환경을 조성하여 고용 안정성을 높입니다.
Enhances employment stability by creating an environment for skilled workers to work long-term.
📈 기대 효과 (Expected Impacts)
이번 조치로 예상되는 긍정적인 파급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The positive ripple effects expected from this measure are as follows:
외국인 근로자 측면: (For Foreign Workers)
경제적 부담 감소 및 안정적인 한국 생활.
Reduced financial burden and stable life in Korea.
숙련도 향상 및 직무 만족도 증진.
Improved skill levels and increased job satisfaction.
기업 측면: (For Businesses)
숙련 인력 이탈 방지 및 생산성 향상.
Prevention of skilled labor turnover and increased productivity.
채용 및 교육 비용 절감.
Reduction in recruitment and training costs.
국가 경제 측면: (For the National Economy)
생산성 증대 및 산업 현장의 활력 제고.
Increased productivity and revitalization of industrial sites.
인력난 해소 및 내수 시장 활성화 기여.
Contribution to resolving labor shortages and stimulating the domestic market.
❗ 유의 사항 (Important Notes)
이 제도 변경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Please note the following regarding this system change:
적용 대상 (Applicable Scope): 주로 비전문취업(E-9) 비자 소지자에게 해당됩니다.
Primarily applies to non-professional employment (E-9) visa holders.
고용 허가제 유지 (Employment Permit System Remains): 기존 고용허가제 틀 내에서 변경되며, 고용노동부의 허가는 여전히 필요합니다.
Changes within the existing Employment Permit System framework;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s permit is still required.
사업장 변경 제한은 유효 (Restrictions on workplace change still effective): 원칙적으로 최초 계약 사업장에서 근무해야 하며, 정당한 사유가 있을 때만 변경 가능합니다.
In principle, workers must remain at their initial contracted workplace; changes are only permitted for legitimate reasons.
추가 정보 확인 (Check for further information): 상세 지침은 관련 부처의 공식 발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Please continue to check official announcements from relevant ministries for detailed guidelines.
이번 외국인 근로자 체류 및 근무 기간 연장 조치는 국내 산업 현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한민국이 더욱 매력적인 일터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This extension of the foreign worker stay and work period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domestic industrial sites and contribute to South Korea's establishment as a more attractive workplace.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