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Da-mi '백번의 추억'(A Hundred Memories) 로 배우는 한국어 (Korean) vol.13: '-는 줄 알다 '
K-드라마 '백번의 추억'한국어
'현실의 벽과 새로운 인연의 거절'
Learning Korean with K-Drama 'A Hundred Times Memories'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춘 드라마 '백번의 추억'의 한 장면을 통해 주인공 영래가 **현실**의 벽 앞에서 새로운 **인연**을 어떻게 **거절**하는지 살펴봅니다. 어머니의 사고 후, 영래는 **한재필**에게 도움을 받고 그의 **전화번호**를 건네받지만, 친구 은은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영래는 **연애**에 **관심이 없다**고 선을 긋습니다. 특히, 연애할 **여력**이 없다는 영래의 고백은, 현실을 살아가는 **청춘**의 무게를 보여줍니다. 이 장면을 통해 **고급 한국어** 표현과 **TOPIK** 필수 문법을 함께 배워보시죠. 먼저 영상을 보시죠.
Hello! Today, through a scene from the youth drama 'A Hundred Times Memories,' we examine how the protagonist, Yeong-rae, **rejects** a new **connection** in the face of **reality's** wall. After her mother's accident, Yeong-rae receives help and a **phone number** from a man named **Han Jae-pil**. Despite her friend Eun's interest, Yeong-rae draws the line, saying she is **not interested** in **dating**. In particular, Yeong-rae's confession that she does not have the **capacity (yeoryeok)** to date shows the weight of **youth** living in reality. Let's learn **advanced Korean** expressions and **TOPIK** essential grammar through this scene. Let's watch the video first.
선행 학습: 꼭 알아야 할 한국어
Pre-learning: Essential Korean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영상에 나오는 주요 어휘와 문법 표현을 미리 배워두면 훨씬 더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Before we dive into the main content, you can learn more effectively and have more fun by pre-learning the key vocabulary and grammar expressions from the video!
쩔쩔매다
발음: [jjeoljjeolmaeda]
의미: 어려운 문제나 상황에 부딪혀 어찌할 바를 모르고 허둥대다. 'to be at a loss', 'to be flustered', 'to be helpless'의 의미입니다.
예시: 택시 못 잡아서 쩔쩔 매고 있는데 걔가 태워다 줬어. (I was **flustered** because I couldn't catch a taxi, and he gave me a ride.)
여력 (餘力)
발음: [yeoryeok]
의미: 어떤 일을 하고도 남는 힘이나 시간, 능력. 특히 경제적/시간적 **여유**를 뜻하며, 영상에서는 심적/정신적 여유까지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spare capacity', 'resources', 'wherewithal'의 의미입니다.
예시: 난 연애 관심 없어 그럴 여력도 없고. (I'm not interested in dating, and I don't have the **capacity/resources** for it.)
내 취향도 아니다
발음: [nae chwihyangdo anida]
의미: '내가 좋아하는 유형(my style)'이 아니라는 뜻. '취향(趣向)'은 본래 '흥미가 당기는 방향'을 의미하는 한자어입니다. 'to not be my style'의 의미입니다.
예시: 난 걔는 별로 내 취향도 아니야. (He's not really **my type**.)
-고도 남다 (-godo namda)
발음: [-godo namda]
의미: 앞선 행동을 하고도 남을 만큼 충분한 상황이나 능력, 자격이 있다는 것을 강하게 표현합니다. 동사 뒤에 붙어 사용됩니다.
예시: 어머니는 그러고도 남으실 거 같아. (It seems like your mother is **more than capable of** doing that. - i.e., working hard again immediately.)
-을/를 할까 봐 (-eul/reul halkka bwa)
발음: [-eul/reul halkka bwa]
의미: 어떤 일이 일어날까 봐 **걱정되거나 염려**스러워서 미리 대비하거나 어떤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주로 뒤 문장에 걱정으로 인한 행동이나 상황이 이어집니다.
예시: 엄마 바로 또 일한다 할까 봐 퇴원 안 시키려고. (I don't want to let her leave the hospital because I'm worried she **might** start working again immediately.)
-(으)ㄴ/는 줄 알다 (-(eu)n/neun jul alda)
발음: [-(eu)n/neun jul alda]
의미: 어떤 사실을 **알고 있거나** **특정 상황으로 오해**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동사 뒤에 현재형은 '-는 줄 알다', 과거형은 '-은/ㄴ 줄 알다'를 사용합니다.
예시: 나는 걔가 나한테 관심 있는 줄 알고. (I thought he **was interested** in me. - Expressing a misunderstanding.)
K-드라마 대화 속 숨은 한국어
Hidden Korean in K-Drama Dialogue
이번 장면은 영래의 **가치관**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어머니의 사고를 겪으며 현실의 냉혹함을 깨달은 영래는, 택시를 못 잡아 **쩔쩔매는** 자신을 도와준 **한재필**의 호의와 관심에도 불구하고 연애를 거절합니다. 친구 은은 한재필이 영래에게 **관심이 있는 줄 알고** 복싱장에 초대한 것이라고 농담하지만, 영래는 단호합니다.
This scene clearly shows Yeong-rae's **values**. Having faced the harshness of reality after her mother's accident, Yeong-rae rejects dating, despite the kindness and interest shown by **Han Jae-pil**, who helped her when she was **flustered**. Although her friend Eun jokes that Han Jae-pil invited her to the boxing gym because he **was interested in her** (using **-는 줄 알다** to express misunderstanding), Yeong-rae is firm.
영래는 어머니가 몸이 회복되자마자 다시 일할까 **걱정되어** 퇴원시키지 않으려는 책임감을 보입니다. 그리고 자신을 모르는 사람과 교제할 **여력**이 없으며, 한재필은 **'내 취향도 아니다'**라고 확실히 선을 긋습니다. 이는 **청춘**이 사랑보다 **생존**과 **책임**을 우선시하는 **현실의 무게**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Yeong-rae shows responsibility by not wanting to discharge her mother from the hospital, **worried** (halkka bwa) that she **might** start working again immediately. She then clearly draws the line, stating she has no **capacity (yeoryeok)** to date someone who doesn't know her, and that Han Jae-pil is **'not her type'** (nae chwihyangdo anida). This symbolically shows the **weight of reality** where **youth** prioritizes **survival** and **responsibility** over love.
그레이스 씨. 이 장면에서 영래가 '엄마 바로 또 일한다 할까 봐'라고 말하는 것은 **'-을/를 할까 봐'** 문법을 사용하여 한국 자녀들이 부모님의 노고를 걱정하는 전형적인 표현입니다. 또한, '어머니는 그러고도 남으실 거 같아'라는 은의 대사는, 영래 어머니의 **강한 책임감**을 **'-고도 남다'** 문법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연애** 문제보다 **현실의 벽**을 먼저 인식하는 영래의 태도는 한국 사회 청년들의 **현실적 가치관**을 대변합니다.
Grace. Yeong-rae's line, 'I'm worried she **might** start working again immediately,' uses the **'-을/를 할까 봐'** grammar, which is a typical expression of Korean children worrying about their parents' hard work. Furthermore, Eun's line, 'Your mother seems **more than capable of** doing that,' emphasizes the mother's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using the **'-고도 남다'** grammar. Yeong-rae's attitude of recognizing the **wall of reality** before considering **dating** reflects the **realistic values** of young people in Korean society.
관련 표현 및 문화 팁 | Related Expressions and Cultural Tips
**'김치국을 사려 마셔 버린 거지'**는 '김칫국부터 마시다'라는 관용구에서 변형된 표현으로, **섣부른 기대나 추측**을 했다는 의미입니다. '나는 그것도 모르고 나 혼자 김치국을 사려 마셔 버린 거지'는 '나는 그 사실도 모르고 나 혼자 (한재필의 관심에 대해) 미리 앞서서 기대했던 거지'라는 자책과 오해의 심리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걔는 별로 내 취향도 아니야'는 격식 없는 자리에서 자신의 이상형이 아님을 말할 때 사용하는 구어체 표현입니다.
The phrase **'I drank the kimchi soup alone'** is a variation of the idiom 'to drink the kimchi soup first,' meaning to have **premature expectations or assumptions**. The full line conveys a feeling of self-reproach and misunderstanding: 'I didn't even know that and I went ahead and had premature expectations (about Han Jae-pil's interest).' Also, 'He's not really my type' is a colloquial expression used in informal settings to say someone is not one's ideal type.
💡 오늘의 팁 | Today's Tip
**'-는 줄 알다'** 문법은 한국어 대화에서 **오해나 착각**을 표현할 때 핵심적으로 사용됩니다. 친구 은이 한재필의 의도를 착각하고 '복싱장 초대한 거 있잖아 그거 너 때문이었나 봐'라고 말하는 부분에 숨겨진 문법입니다. 여러분도 새로운 정보를 접했을 때 '아! 네가 거기 사는 줄 알았어'처럼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대화**를 시도해 보세요.
The **'-는 줄 알다'** grammar is a core expression in Korean conversation used to express **misunderstanding or illusion**. It's the hidden grammar behind Eun's statement, 'The boxing gym invitation, I thought it was because of you.' Try using it in your conversations, like, 'Ah! I **thought you lived** there' when encountering new information, to make your talk more **natural**.
연습 문제
Practice Exercises
배운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어보세요. 정답은 스스로 찾아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입니다! 🧐
Try solving the problems us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you've learned. Finding the answers yourself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learn! 🧐
문제 1: 문법 완성하기 (Grammar Completion)
다음 문장을 문법 '-을/를 할까 봐'를 사용하여 완성하세요. (Finish the following sentence using the grammar '-을/를 할까 봐'.)
1. 내일 비가 (___), 우산을 챙겼다.
2. 너무 늦게 도착 (___), 서둘렀다.
정답 예시: 1. 올까 봐 / 2. 할까 봐
문제 2: 어휘 연결하기 (Vocabulary Matching)
다음 한국어 단어와 가장 관련 깊은 영어 단어를 연결하세요. (Connect the Korean word with the most related English word.)
A. 쩔쩔매다
B. 여력
C. 내 취향도 아니다
i. Spare capacity/Resources
ii. To be at a loss/Flustered
iii. To not be my type
정답: A. (ii), B. (i), C. (iii)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아래 링크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