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삶(21) 고령자의 시간사용 The Lives of Koreans (21) Elderly Time Use(+ Topik graph)
한국인의 삶 (21) 고령자의 시간사용 편 The Lives of Koreans (21) Elderly Time Use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통계청에서 발간한 「2025 고령자 통계」 보고서의 특별기획, **고령자의 시간사용** 지표를 통해 한국 사회 노년층의 삶을 함께 살펴보고, 관련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배워보겠습니다.
(Hello! This time, we'll look at the special feature of the "2025 Elderly Statistics" report published by Statistics Korea, the **Elderly Time Use** indicator, to examine the lives of the elderly in Korean society and learn related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필수시간: 건강을 위한 충분한 시간
65세 이상 고령자들은 하루 24시간을 **필수시간** (수면, 식사, 개인 유지)에 평균 **11시간 59분** 정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젊은 세대보다 더 긴 수치이며, 건강을 유지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It was found that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spend an average of **11 hours and 59 minutes** on **Essential Time** (sleep, meals, personal maintenance) out of 24 hours a day. This is a longer figure than the younger generation, suggesting that they are using enough time to maintain their health.)
🔗오늘의 한국어: 아산병원 간 이식 이야기의무시간: 사회적 책임의 변화
다음으로, 노동, 가사 노동, 가족 돌봄 등 사회적인 책임과 관련된 의무시간은 평균 **4시간 58분** 정도로 집계되었습니다. 특히 일하는 고령자의 경우, 의무시간이 일하지 않는 고령자보다 3시간 35분 더 많은 추세를 보였습니다. 은퇴 이후에도 고령자들이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Next, **Obligatory Time** related to social responsibilities such as labor, household chores, and family care was counted as an average of about **4 hours and 58 minutes**. In particular, working elderly people showed a tendency to have 3 hours and 35 minutes more obligatory time than non-working elderly people. [cite: 295] This shows that the elderly continue to take on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even after retirement.)
🔗고급 한국어 관용구를 위한 조건여가시간: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핵심
가장 중요한 여가시간은 하루 평균 **7시간 3분**으로,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역으로 꼽힙니다. 이 여가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 달하는 차이가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The most important **Leisure Time** is an average of **7 hours and 3 minutes** per day, which is **considered** an area that direct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It is analyzed that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varies greatly depending on how this leisure time is utilized.)
고령자의 경우, 여가시간 중에서도 TV 시청이나 휴식 등 수동적 여가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활동적인 여가활동 참여 증진이 향후 정책의 핵심 과제가 될 것입니다. For the elderly, it was found that they spend the most time on passive leisure, such as watching TV or resting, even within leisure time. Promoting participation in active leisure activities will be a key policy challenge in the future.
이처럼 고령자의 시간 사용 패턴은 세대별, 가구별로 명확한 차이를 보이며, 이는 정부와 사회가 노년층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됩니다.
(As such, the time use patterns of the elderly show clear differences by generation and household, which become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government and society to establish policies to promot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고령자 (goryeongja)
의미: 65세 이상 나이가 많은 사람을 통틀어 이르는 말. Meaning: The term collectively referring to people aged 65 or older. (The elderly/Senior)
한국은 고령자 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2. 할애하다 (haraehada)
의미: 시간, 노력, 돈 등을 어떤 목적을 위해 나누어 쓰다. Meaning: To allocate, to set aside time, effort, money, etc., for a certain purpose. (To allocate/To set aside)
저는 주말 시간을 외국어 공부에 할애합니다. I set aside my weekend time for foreign language study.
3. 여가 (yeoga)
의미: 의무적으로 하는 일 외에 남는 시간. Meaning: The time remaining outside of obligatory work. (Leisure/Free time)
여가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달라집니다. The quality of life changes depending on how you spend your leisure time.
한국어 문법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아래 글을 읽어보세요.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문법과 표현 5가지오늘의 유용한 문법 3가지 Today's 3 Useful Grammar Points
1. ~을/를 토대로 (~eul/reul todaero)
의미: 어떤 사실이나 자료를 근거로 삼아. Meaning: Based on a certain fact or data. (Based on / On the foundation of)
조사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정책을 만들었습니다. We created a new polic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2. ~에 달하다 (~e darhada)
의미: 수치나 정도가 어떤 수준에 이르다. Meaning: For a quantity or degree to reach a certain level. (To reach / To amount to)
여가 시간이 하루 평균 8시간에 달했습니다. The average daily leisure time reached 8 hours.
3. ~는 반면 (~neun banmyeon)
의미: 앞선 내용과 상반되거나 대조되는 사실을 나타냄. Meaning: Indicates a fact that is contrary or contrasted with the preceding content. (While / On the other hand)
여성 고령자는 가사 노동에 시간을 보내는 반면, 남성 고령자는 활동적인 여가를 선호했습니다. While elderly women spent time on household chores, elderly men preferred active leisure.
한국어 문법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아래 글을 읽어보세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2: 실용 한국어 표현과 문법 배우기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s)
1. 다음 빈칸에 알맞은 어휘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세요. (고령자 / 여가 / 할애)
a) 은퇴한 들이 늘면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합니다.
b) 시간을 이용해 봉사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2. 다음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알맞은 문법 표현을 넣어보세요. (~을/를 토대로 / ~는 반면)
a) 정부는 통계 결과 새로운 복지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b) 젊은 세대는 활동적인 여가를 즐기, 노년층은 휴식을 선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