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2급 30 DAYS CHALLENGE_12일차 : 54번 '답안 분석' Tips (Analyzing Sample Answers)
**토픽 2급**, 특히 3~4급은 한국에서의 취업, 대학 진학, 그리고 사회 생활을 위한 필수 자격증입니다.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이 시험은 여러분의 커리어에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 30일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하세요.
**TOPIK Level 2**, especially grades 3-4, is an essential qualification for employment, university admission, and daily life in Korea. This exam officially certifies you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can be a significant opportunity for your career. Achieve your goals efficiently in a short period with this 30-day study program.
학습 목표 (Learning Goals)
12일차에는 토픽 2급 쓰기 54번 문제의 고급 표현과 문장 구조를 익히는 데 집중합니다. 고득점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내용을 채우는 것을 넘어, 논리적인 흐름과 함께 다양한 어휘 및 문법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 답안을 분석하며 서론-본론-결론의 구성, 자연스러운 연결 표현, 그리고 논리적 전개 방식을 학습합니다.
On Day 12, we will focus on mastering **advanced expressions and sentence structures** for TOPIK II Writing Question 54. To get a high score, it is crucial not only to fill the content but also to use a variety of vocabulary and grammar while maintaining a logical flow. By analyzing sample answers, you will learn the structure of an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as well as natural connecting phrases and logical development.
예시 답안 분석 (Sample Answer Analysis)
다음은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에 대한 쓰기 54번 문제의 예시 답안입니다. 각 부분의 주요 문장과 표현을 분석해 봅시다.
Below is a sample answer for TOPIK Writing Question 54 on the topic of 'Sustainable Development Plans for a City.' Let's analyze the key sentences and expressions in each part.
서론:
"현대 사회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다양한 문제를 직면하고 있다. 환경 오염, 교통 혼잡, 주거 불안정 등은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사회적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
"Modern society is facing various problems due to rapid urbanization. Environmental pollution, traffic congestion, and housing instability have become social challenges that can no longer be ignored. These issues are acting as major factors hinder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and it is urgent to prepare fundamental solutions for them."
분석: 배경 설명과 문제 제기를 자연스럽게 연결했습니다. 직면하다, 외면할 수 없는, 저해하다,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와 같은 고급 어휘를 사용하여 글의 수준을 높였습니다.
Analysis: It naturally connects the background explanation with the problem statement. It elevates the quality of the writing by using advanced vocabulary such as 직면하다 (to face), 외면할 수 없는 (cannot be ignored), 저해하다 (to hinder), and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 (it is urgent to prepare fundamental solutions).
본론: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친환경적인 정책을 우선시해야 한다.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자전거 도로를 확충하며, 녹지 공간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모든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재활용 프로그램과 에너지 절약 캠페인을 통해 생활 속 작은 실천을 유도해야 한다. 둘째, 도시 재생 사업을 통해 구도심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면서도 현대적인 편의 시설을 도입해야 한다. 이처럼 기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은 도시의 경제적,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 city, above all, eco-friendly policies must be prioritized. Efforts are needed to encourage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expand bicycle lanes, and secure green spaces. Furthermore, citizens should be encouraged to practice small actions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recycling programs and energy-saving campaigns that everyone can participate in. Second,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 must revitalize the functions of the old city center, preserving its history and culture while introducing modern amenities. In this way, methods that efficiently utilize existing resources can simultaneously increase the economic and social value of the city."
분석: '무엇보다도', '또한', '이처럼'과 같은 **연결 부사**를 사용하여 논리적인 흐름을 만들었습니다. 우선시하다, 확충하다, 활성화하다, 동시에와 같은 어휘는 주장을 더 설득력 있게 만듭니다.
Analysis: It creates a logical flow by using **connecting adverbs** such as '무엇보다도 (above all)', '또한 (also)', and '이처럼 (in this way)'. Vocabulary like 우선시하다 (to prioritize), 확충하다 (to expand), 활성화하다 (to revitalize), and 동시에 (simultaneously) makes the argument more persuasive.
결론:
"결론적으로,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은 환경과 경제, 사회적 가치가 조화를 이루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친환경 정책과 도시 재생 사업을 추진할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 우리 모두가 이러한 노력에 동참할 때 비로소 도시는 미래 세대에게 물려줄 소중한 유산이 될 것이다."
"In conclusion,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lies in the harmony of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values.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promote eco-friendly policies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ut also elici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citizens. It is only when all of us participate in these efforts that a city will truly become a valuable legacy to pass on to future generations."
분석: '결론적으로'로 시작하여 글을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조화를 이루다, 이끌어내다와 같은 고급 동사 표현과 문법 표현 '~(으)ㄹ 뿐만 아니라', '~(으)ㄹ 때'를 활용하여 논리적인 결론을 제시했습니다.
Analysis: It concludes the essay by starting with '결론적으로 (in conclusion)'. It presents a logical conclusion by utilizing advanced verbal expressions like 조화를 이루다 (to be in harmony) and 이끌어내다 (to elicit), as well as grammatical expressions '~(으)ㄹ 뿐만 아니라 (not only... but also...)' and '~(으)ㄹ 때 (when/at the time of...)'.
주요 어휘 (Core Vocabulary)
직면하다 (jik-myeon-ha-da)
Meaning: to face, to confront
"우리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We are facing a new problem."
저해하다 (jeo-hae-ha-da)
Meaning: to hinder, to obstruct, to impede
"개인의 자유가 경제 발전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Individual freedom can hinder economic development."
활성화하다 (hwal-seong-hwa-ha-da)
Meaning: to activate, to revitalize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합니다."
"Policies are needed to revitalize the economy."
주요 문법 (Core Grammar)
~(으)ㄹ 뿐만 아니라 (-(eul) ppun-man a-ni-ra)
Meaning: not only... but also...
"이 음식은 맛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좋습니다."
"This food is not only delicious but also good for your health."
~(으)ㄹ 때 (-(eul) ttae)
Meaning: when, at the time of...
"배고플 때 이 음식을 먹으면 좋습니다."
"When you are hungry, it is good to eat this food."
조화를 이루다 (jo-hwa-reul i-ru-da)
Meaning: to be in harmony, to be in balance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곳입니다."
"It's a place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are in harmony."
오늘의 문제 (Today's Problems)
1. 다음 중 '저해하다'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단어는 무엇입니까?
2.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문법 표현은 무엇입니까?
그는 한국어를 잘 _____, 요리도 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