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 hard difficulty ! Topik 54 : 평생교육의 필요성_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TOPIK II 쓰기 54번: 평생 교육의 필요성 - 고급 한국어 학습

TOPIK II 쓰기 54번
[평생 교육의 필요성]

TOPIK II Writing Task 54: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예상문제 (Anticipated Question)

우리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평생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평생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700자 이내로 쓰십시오. 단,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야 합니다.

Our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nd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to adapt to these changes. Write your own opinion on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within 700 characters. However, you must include the following contents:

  • 평생 교육이 왜 필요한가?

    Why is lifelong education necessary?

  • 평생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는 분야는 무엇인가?

    What fields feel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 평생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What are the measures to activate lifelong education?


문제 해설 (Question Analysis)

이번 문제는 평생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는 유형입니다. 서론-본론-결론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리적인 글을 구성해야 합니다. 서론에서는 평생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배경을 제시하고, 본론에서는 평생 교육이 왜 필요한지, 어떤 분야에서 필요한지, 그리고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해야 합니다. 특히 본론의 세 가지 소주제를 명확히 구분하여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is question is a type that argues for one's own opinion on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You need to structure a logical essay divided into three parts: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In the introduction, you should present the background behind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body, you must specifically describe why lifelong education is necessary, in which fields it is needed, and what measures can be taken to activate it.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clearly separate these three sub-topics in the body.


모범 예시 답안 (Sample Answer)

현대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개인은 물론 사회 전체가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특히, 기술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존의 지식만으로는 더 이상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만큼, 평생 교육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Modern society is undergoing rapid changes, and amidst this wave of change,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the entire society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must continuously acquire new knowledge and skills. Especially as the pa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ccelerates, it is becoming difficult to maintain competitiveness with existing knowledge alone, and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more than ever.


평생 교육은 크게 두 가지 이유로 필요하다. 첫째, 개인의 측면에서 보면, 급변하는 사회에서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고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직업 전환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기반이 된다. 둘째, 사회적 측면에서는 평생 교육을 통해 사회 구성원 전체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고령화 사회에 대비할 수 있다. 나이가 들어도 계속해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 활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Lifelo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two main reasons. First,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by acquiring new skills and knowledg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one can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and increase adaptability. This serves as a foundation for securing flexibility in career changes and creating new opportunities. Second, from a societal perspective, lifelong education can improve the overall level of society's members and prepare for an aging society.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eople to continue contributing to society as they get older, it helps maintain social vitality.


평생 교육의 필요성이 특히 크게 느껴지는 분야는 정보통신기술(ICT)과 관련된 영역이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관련 지식을 지속적으로 배우지 않고서는 자신의 전문성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복지 분야 역시 고령화와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복지 시스템과 접근법을 학습하는 평생 교육이 필수적이다.

The fields where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is particularly felt are those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is is becaus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like AI and big data, it is difficult to maintain one's expertise without continuously learning related knowledge. Furthermore, in the social welfare field, lifelong education is also essential for learning new welfare systems and approaches to respond to the aging population and various social issues.


평생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먼저, 정부 차원에서 국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구축하고,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기업은 직원의 재교육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사내 교육 프로그램을 의무화하고, 관련 비용을 지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은 스스로 학습에 대한 주체적인 태도를 가져야 한다. 단순히 자격증 취득을 넘어 새로운 지식 자체를 즐기는 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

To activate lifelong education, several measures must be sought. First, at the government level, an online learning platform that anyone can easily access should be established, and high-quality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provided. Second, companies should make internal training programs for employee retraining and skill enhancement mandatory and support the related costs. Finally, individuals must take a proactive attitude towards their own learning. A culture where one enjoys new knowledge itself, beyond just acquiring a certificate, must be established.


결론적으로, 급변하는 시대에 평생 교육은 개인의 생존과 성장은 물론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정부, 기업, 개인이 모두 한마음으로 평생 교육 활성화에 힘쓴다면, 우리는 더욱 활력 있고 역동적인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In conclusion, in this rapidly changing era, lifelong education is an essential factor for not only the survival and growth of individuals but als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ntire society. If the government, companies, and individuals all work together to activate lifelong education, we will be able to create a more vibrant and dynamic society.


핵심 어휘 및 문법 (Key Vocabulary and Grammar)

강조하다 (強調하다)

To emphasize, to stress

의미: 어떤 내용이나 사실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두드러지게 나타내거나 부각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Meaning: To make a certain content or fact stand out or highlight it because it is considered important.

예시:

  • 전문가는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The exper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 최근 취업 시장에서는 실무 경험이 강조되는 추세입니다.

    Recently, practical experience is being emphasized in the job market.

적응력 (適應力)

Adaptability

의미: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에 맞추어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Meaning: The ability to actively cope with a new environment or situation.

예시:

  • 성공적인 기업은 시대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다.

    A successful company has excellent adaptability to changes in the times.

  • 유연한 사고는 사회생활에서 적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Flexible thinking helps to increase adaptability in social life.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다

To prepare for an aging society

의미: 노인 인구가 증가하는 사회적 변화에 맞춰 정책이나 제도를 미리 준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eaning: To prepare policies or systems in advance for the social change of an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예시:

  • 정부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다양한 노인 복지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The government is preparing various elderly welfare policies to prepare for an aging society.

  • 많은 국가들이 저출산과 함께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Many countries are working to prepare for an aging society along with low birth rates.

~기 어려운 만큼

As much as it is difficult to...

의미: 앞의 내용이 원인이 되어 뒤의 내용이 초래될 때 사용합니다. '...기 때문에', '...해서'와 유사한 의미로 쓰입니다.

Meaning: Used when the preceding content causes the following content. It is used with a similar meaning to 'because of...' or 'so...'.

예시:

  •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기 어려운 만큼, 전문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As it is hard for technology to develop so quickly, the role of experts has become more important.

  • 내용이 복잡하기 어려운 만큼, 쉬운 설명이 필요하다.

    As the content is difficult, an easy explanation is needed.

~지 않고서는

Without doing...

의미: 특정 행위를 하지 않으면 뒤에 오는 결과가 불가능하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Meaning: Used to emphasize that the following result is impossible or has a negative impact without a specific action.

예시:

  • 매일 연습하지 않고서는 실력이 늘 수 없다.

    You cannot improve your skills without practicing every day.

  • 서로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관계를 유지하기 어렵다.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relationship without understanding each other.

~적인 태도를 가져야 하다

Must take a ... attitude

의미: 어떤 행동을 하거나 사물을 대하는 방식에 대한 당위성을 나타냅니다.

Meaning: Indicates the necessity of a certain way of acting or dealing with things.

예시:

  • 우리는 환경 문제에 대해 책임적인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We must take a responsible attitude towards environmental issues.

  • 성공을 위해서는 실패에 굴하지 않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To succeed, you must take a positive attitude that does not yield to failure.


실력 점검 문제 (Practice Question)

'지속적으로 배우다', '적응력', '성공'을 포함하는 문장을 만드세요.

Create a sentence using the words 'continuously learn', 'adaptability', and 'success'.

모범 답안: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을 지속적으로 배우고 적응력을 길러야만 성공할 수 있다.



TOPIK 54번 정복! 하나씩 따라해보세요.

Conquer TOPIK 54! Follow along step by step.

@Super real Korean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