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삶(14) 청소년 건강실태_The Lives of Koreans (14) Child & Teen Mental Health (+ Topik graph)
한국인의 삶 (14)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편 The Lives of Koreans (14) Child & Teen Mental Health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2022년 서울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에 대한 인포그래픽을 통해 한국의 젊은 세대 정신건강 현황을 함께 살펴보고, 관련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배워보겠습니다.
(Hello! This time, we'll examine the mental health status of Korea's young generation through an infographic on the "2022 Seoul Child and Teen Mental Health Status" and learn related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서울인포그래픽+ 제356호」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서울의 19세 미만 아동·청소년 중 4.6%가 정신건강 질환으로 진료를 받았습니다. 이는 2018년 대비 무려 70% 증가한 수치입니다.
(According to "Seoul Infographic+ No. 356," 4.6% of children and teenagers under 19 in Seoul received treatment for a mental health disorder in 2022. This is a whopping 70% increase compared to 2018.)
특히 가장 빠르게 증가한 연령대는 6세 미만 아동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질환으로는 '행동 및 정서장애'가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며, 이 중 ADHD가 대표적입니다.
(In particular, the age group that increased the fastest was children under 6. Among the main diseases, 'Behavioral and emotional disorders' accounted for nearly half of the total, with ADHD being a typical example.)
🔗TOPIK II 쓰기 고득점 전략: 몬스터 헌터처럼남성의 경우 '행동 및 정서장애'가, 여성의 경우 '우울증'이 가장 많은 질환으로 꼽힙니다. For males, 'behavioral and emotional disorders' are the most common, while for females, 'depression' is considered the most common disease.
정신건강에 대한 적신호는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에 서울시는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아동의 경우 보호자에게 의존하는 관리 체계의 개선이 시급합니다.
(The "red flag" in mental health can lead to 'extreme choices,' and thus, it is recogniz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While the city of Seoul provides various mental health support services for teenagers,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 which currently relies on guardians.)
🔗K-드라마로 한국어 배우기: 힘쎈여자 도봉순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정신건강 (Jeongsin-geon-gang)
의미: 마음의 건강 상태.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Meaning: The state of one's mental health. It is related to stress, anxiety, depression, etc. (Mental Health)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teenagers are becoming serious recently.
2. 증가하다 (Jeung-gahada)
의미: 수량이나 정도가 더 늘어나는 것. '증가(Increase)'는 명사형입니다. Meaning: For a quantity or degree to increase. 'Jeung-ga' is the noun form. (To increase/to grow)
정신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아동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The number of children who received treatment for mental illness is increasing every year.
3. 이어지다 (I-eo-ji-da)
의미: 어떤 일이 다른 일이나 결과로 계속 연결되는 것. Meaning: For one event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another event or result. (To lead to / to be connected)
스트레스는 다양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Stress can lead to various diseases.
서울의 정신건강 실태는 단순한 통계를 넘어, 우리 사회가 젊은 세대의 행복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보여줍니다.
(The mental health status in Seoul goes beyond mere statistics, showing what efforts our society must make for the happiness of the younger generation.)
🔗한국인의 삶 (7) 스트레스 편 (2)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s)
1. 아래 빈칸에 알맞은 어휘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세요.
스트레스가 쌓이면 신체적, 정신적 (건강 / 질환)이 나빠질 수 있다.
2018년 대비 정신건강 질환자가 크게 (증가 / 감소)했다.
2. 아래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알맞은 문법 표현을 넣어보세요.
전문가들의 의견, 아동 정신건강 관리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아동의 정신질환은 방치할 경우 성인기까지 . (이어지는 편이다 / 이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