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9일은 한글날~ Learn about 'Hangul' on Hangul Day
한글날에 알아보는 '한글'
Learn about 'Hangul' on Hangul Day
10월 9일, 우리는 한글날을 기념합니다. 이 날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자랑스럽게 여기는 '한글'이 세상에 빛을 본 날입니다. 오늘은 위대한 문자 '훈민정음'이 어떻게 창제(changje)되고 오늘날까지 이어졌는지 그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On October 9th, we celebrate Hangul Day. This day is when 'Hangul,' a source of pride for all Koreans, first came into the world. Today, shall we learn about the history of how the great script 'Hunminjeongeum' was created and has continued to this day?)
훈민정음: 한글의 위대한 탄생
Hunminjeongeum: The Great Birth of Hangul
1443년, 세종대왕은 백성이 문자를 몰라 억울한 일을 당하는 것을 안타까워하며 새로운 문자 창제(changje)를 결심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훈민정음의 시작입니다. 당시 사용하던 한자는 배우기 어렵고 복잡하여 일반 백성들이 사용하기에 매우 어려웠습니다. 이에 세종대왕은 누구나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문자를 만들기 위해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In 1443, King Sejong, feeling sorry for the common people who suffered injustice because they couldn't read, decided to create a new script. This was the beginning of Hunminjeongeum. At the time, Chinese characters were difficult and complex for ordinary people to use. So, King Sejong began research with scholars of the Hall of Worthies to create a script that anyone could easily learn and write.)
한국어 문법과 표현의 최고 경지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
창제 과정과 반포
The Creation Process and Promulgation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스스로 연구하고 만들었습니다. 28개의 기본 글자를 만들었고, 이 글자들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과학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자음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ㄴ'은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떴습니다. 모음은 하늘(•), 땅(ㅡ), 사람(ㅣ)을 상징하는 세 가지 기본 형태에서 파생되었습니다. (King Sejong researched and created Hunminjeongeum himself. He made 28 basic letters, which were scientifically created by imitating the shapes of the vocal organs. For example, the consonant 'ㄱ' was modeled after the shape of the root of the tongue blocking the throat, and 'ㄴ' was modeled after the tip of the tongue touching the upper gums. Vowels were derived from three basic forms symbolizing heaven (•), earth (ㅡ), and human (ㅣ).)
1446년, 훈민정음은 공식적으로 반포(banpo)되었습니다. 세종대왕은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로 시작하는 서문을 통해(tonghae)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In 1446, Hunminjeongeum was officially promulgated. King Sejong clearly stated the purpose of its creation in the preface that began with "Narat-malssami dyungguke dal-a..." (The words of the countr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핍박과 위기
Persecution and Crisis
훈민정음의 반포(banpo)는 순탄치 않았습니다. 최만리 등 당시의 지배층과 학자들은 한자를 숭상하며 한글 창제(changje)를 강하게 반대했습니다. 그들은 한글을 '언문(諺文)', 즉 하찮은 글이라 폄하(pyeomha)하며 사용을 억압(eogap)했습니다. 그러나 백성들은 훈민정음을 통해(tonghae)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삶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문맹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The promulgation of Hunminjeongeum was not smooth. The ruling class and scholars of the time, including Choe Man-li, worshipped Chinese characters and strongly opposed the creation of Hangul. They belittled Hangul as 'eonmun,' a vulgar script, and suppressed its use. However, the common people were able to express their thoughts freely through Hunminjeongeum, solve the inconveniences of their lives, and escape illiteracy.)
일제강점기의 수난
Suffer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일제강점기(1910~1945), 일본은 우리말과 글을 말살(malsal)하려 했습니다. 학교에서는 일본어만을 가르쳤고, 우리말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하지만 조선어학회를 중심으로 많은 학자들이 목숨을 걸고 우리말과 글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jikigi wihae noryeokhaesseumnida). 이들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만들고, 표준어를 제정하는 등 한글을 체계화(chegyehwa)했습니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Japan tried to wipe out our language and script. Schools only taught Japanese, and the use of our language was forbidden. However, many scholars, centered around the Korean Language Society, risked their lives to protect our language and script. They systematized Hangul by creating a unified spelling system and establishing a standard language.)
특히 주시경 선생은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기여했습니다(de giyeohaesseumnida). 그의 제자들이 중심이 된 조선어학회는 '조선어 큰 사전'을 편찬하려 했지만, 일제의 탄압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는 등 고초를 겪었습니다. 이들의 노력 덕분에 한글은 일제의 억압(eogap) 속에서도 그 명맥을 유지(yuji)할 수 있었습니다. (In particular, Master Ju Si-gyeong contributed to promoting the excellence of Hangul. The Korean Language Society, led by his disciples, tried to compile a 'Great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but suffered hardships such as being imprisoned multiple times due to Japanese oppression. Thanks to their efforts, Hangul was able to maintain its legacy even under Japanese oppression.)
시를 통해 알아보는 한국 문화의 깊이 (The Depth of Korean Culture through Poetry)
한글의 부활과 오늘날
The Revival and Present of Hangul
광복 이후, 한글은 대한민국 공식 문자로 자리 잡았습니다(jari jaba-sseumnida). 한글날은 1926년 조선어 연구회가 훈민정음 반포(banpo) 480주년을 맞아 '가갸날'을 제정(jejeong)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1928년 '한글날'로 개칭(gae-ching)되었으며, 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면서 '정통 11년 9월 상한(上澣)'이라는 기록을 바탕으로 양력 10월 9일로 공식 지정되었습니다. 1997년 훈민정음 해례본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deungjae)되며 그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After liberation, Hangul became the official script of the Republic of Korea. Hangul Day began in 1926 when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Society established 'Gagyanal' to commemorate the 480th anniversary of the promulgation of Hunminjeongeum. Later, it was renamed 'Hangulnal' in 1928, and after the discovery of the Hunminjeongeum Haeryebon in 1940, it was officially designated as October 9th based on the record of 'Jeongtong 11th year, 9th month, first decade'.)
오늘날 한글은 K-pop, K-drama 등 한류 문화와 함께 전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습니다(peojyeo-nagago isseumnida). 특히 세계적인 언어 학습 플랫폼 '듀오링고(Duolingo)'에 따르면(e ttareumyeon), 한국어는 2022년 기준 약 1,070만 명의 학습자를 보유하며(boyuhamyeo) 전년 대비 29% 증가했고, 전 세계에서 7번째로 많이 학습되는 언어가 되었습니다. 단순한 문자를 넘어 한국의 정체성과 문화를 상징하는 위대한 유산이 된 것입니다. (Today, Hangul is spreading throughout the world with Hallyu culture like K-pop and K-drama. Especially, according to the global language learning platform 'Duolingo,' Korean had about 10.7 million learners as of 2022, a 29%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and became the 7th most learned language in the world. It has become a great heritage that symbolizes Korea's identity and culture, beyond just a simple script.)
TOPIK 시험 대비 쓰기 스킬 (TOPIK Writing Skills for Exam Preparation)
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창제 (Changje)
의미: 이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만들어 내는 것. Meaning: The act of creating something that didn't exist before for the first time. (Creation)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했습니다. King Sejong created Hangul.
2. 반포 (Banpo)
의미: 법령, 규칙, 문자 등을 세상에 널리 알리는 것. Meaning: The act of widely announcing or making public laws, rules, or a script. (Promulgation/Proclamation)
1446년에 훈민정음이 반포되었습니다. Hunminjeongeum was promulgated in 1446.
3. 폄하 (Pyeomha)
의미: 다른 사람의 가치나 명예를 낮추어 비난함. Meaning: The act of demeaning or criticizing someone's value or honor. (Belittlement/Denigration)
그들은 한글을 폄하하며 사용을 반대했습니다. They belittled Hangul and opposed its use.
오늘의 유용한 문법 3가지
Today's 3 Useful Grammar Points
1. ~을/를 통해 (~eul/leul tonghae)
의미: 어떤 수단이나 과정을 거쳐서. Meaning: Through a certain means or process. (Through/Via)
이 책을 통해 한국 역사에 대해 배웠습니다. I learned about Korean history through this book.
2. ~에 따르면 (~e ttareumyeon)
의미: 어떤 정보의 출처를 나타내는 표현. Meaning: An expression used to indicate the source of information. (According to)
뉴스에 따르면 내일 비가 올 거예요. According to the news, it will rain tomorrow.
3. ~는 데 기여하다 (~neun de giyeohada)
의미: 어떤 일에 도움을 주거나 공헌하다. Meaning: To help or contribute to a certain matter. (To contribute to)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It is important to contribute to environmental protection.
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s
1. 빈칸에 알맞은 말을 고르세요. (Choose the correct word for the blank.)
그는 친구의 성공을 진심으로 기뻐하지 않고, 오히려 성공의 가치를 ( )했습니다.
① 창제 ② 반포 ③ 폄하
2. 밑줄 친 부분을 문법에 맞게 바꾸세요. (Change the underlined part to be grammatically correct.)
이 책은 한글의 역사(을 통해 / 에 따르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