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Topik focused) "도덕적 해이"

도덕적 해이 | Killer Korean in 60 Seconds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Killer Korean in 60 Seconds

1분안에 끝내는 고급한국어

"도덕적 해이"
(Dodeokjeok haei)
Moral Hazard

보험에 가입한 후에는 사고를 조심하지 않는 도덕적 해이가 보험료 인상의 원인이 됩니다.

The moral hazard of not being careful after getting insurance causes an increase in premiums.

정부의 무조건적인 구제금융은 기업들에게 도덕적 해이를 부추길 수 있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There is criticism that the government's unconditional bailout could encourage moral hazard among companies.

공직자들의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한 강도 높은 감시가 필요하다.

Strong monitoring is necessary to prevent moral hazard among public officials.

단어분석

도덕적 (Dodeokjeok) : 도덕에 관계되는. (Related to morality.)

해이 (Haei) : 마음이 풀려 느슨해짐. (Becoming slack or lax in one's mind/Laxity.)

방만 (Bangman) : 제멋대로 풀어져서 단속하지 못함. (Being unrestrained and failing to control/Negligence.)

도덕적 해이 설명문단

도덕적 해이(Moral Hazard)는 경제학에서 주로 쓰이는 용어로, 누군가 다른 사람의 위험을 부담하거나 책임을 지는 상황에서, 원래 위험을 가진 당사자가 자신의 행동을 더욱 부주의하게 바꾸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보호받는다는 사실을 믿고 더 위험한 행동을 하는 책임감 부족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파산해도 정부가 구제해 줄 것이라 믿고 무리한 투자를 감행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Moral Hazard is a term mainly used in economics, referring to a situation where a party changes their behavior to be more careless because someone else bears the risk or responsibility. Simply put, it means a lack of responsibility, where one engages in riskier behavior knowing they are protected. A typical example is a company making reckless investments believing the government will bail them out even if they face bankruptcy.

💰 한국 회사 내 비즈니스 분쟁 business-disputes-in-korean-companies 🔗

이러한 도덕적 해이정보의 비대칭성이 있을 때 심화됩니다. 즉, 위험 행동을 하는 당사자(행위자)의 노력을 감시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때 발생합니다. 보험 가입자가 사고를 예방하려는 노력을 덜 하거나, 대리인이 본인(주인)이 보지 않는 곳에서 게으름을 피우는 것도 모두 도덕적 해이의 예입니다. 한국의 공직 사회나 공기업에서 발생하는 방만 경영 문제도 결국 감시 시스템의 허점으로 인한 도덕적 해이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This moral hazard is exacerbated when there is asymmetric information. It occurs when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o monitor the efforts of the party engaging in the risky behavior (the agent). Examples include an insured person making less effort to prevent accidents, or an agent being negligent when the principal (owner) is not watching. The issue of negligent management that occurs in Korea's public sector or public enterprises can also be interpreted as moral hazard resulting from loopholes in the monitoring system.

⚖️ 공적 vs 사적 영역 (Public vs. Private) killer-korean-in-60-seconds-public-vs 🔗

도덕적 해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감시와 처벌을 강화하는 방법(규제)과, 행위자에게 스스로 책임감을 느끼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법(유인 설계)이 있습니다. 한국 사회는 경제적 발전과정에서 이 문제와 끊임없이 씨름해 왔으며, 투명성을 높이고 이해관계자의 감시를 활성화하는 것이 건전한 사회 시스템을 유지하는 핵심 과제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To resolve moral hazard, there are methods such as strengthening monitoring and punishment (regulation), and providing incentives to encourage the agent to feel responsibility (incentive design). Korean society has constantly grappled with this issue during its economic development, and increasing transparency and activating stakeholder monitoring are considered key tasks for maintaining a sound social system.

🏢 한국 오피스의 진짜 모습 the-true-picture-of-korean-office 🔗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도덕적 해이'는 경제, 사회, 뉴스 등 공식적인 담론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도덕적 해이의 뜻
  • ▶️ 경제 분석 시: "금융 시장의 불안정은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
  • ▶️ 비판적 논평 시: "특정 집단의 도덕적 해이가 공동체의 신뢰를 해치고 있다."
  • ▶️ 정책 제안 시: "정책 수혜자들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도덕적 해이 #모럴 해저드 #경제용어 #책임감부족 #정보의비대칭성 #비즈니스한국어 #MoralHazard #KoreanEconomy #AsymmetricInformation #StudyingKorean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mastering(4) : K DRAMA '멜로가 체질' + topik essential

K-Drama 🏋️힘쎈 여자 도봉순으로 배우는 한국어(1) '~ 게 되다.' Learn Korean with Strong Woman Do Bong Soon

당신이 곧 만나게 될 Korean movie (명작, masterpiece) "어쩔수가 없다" :"No Other Choice" by Park Chan-w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