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Topik focused) "증액", "동결", "삭감"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회사 경영진은 성과에 따라 내년도 예산을 5% 증액하기로 결정했다.
The company management decided to increase next year's budget by 5% based on performance.
경제 불확실성 때문에 대부분의 직원들의 임금은 올해 동결될 전망이다.
Due to economic uncertainty, most employees' wages are expected to be frozen this year.
정부는 불필요한 공공 지출을 삭감하여 재정 건전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The government plans to secure fiscal soundness by cutting unnecessary public expenditure.
단어분석
증액 (增額, Jeungaek) : 금액이나 수량을 늘림. (To increase an amount or quantity/Increase.)
동결 (凍結, Donggyeol) : 일정 수준에서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묶어 둠. (To fix or hold at a certain level without change/Freeze.)
삭감 (削減, Sakgam) : 금액, 수량 등을 잘라 줄임. (To cut and reduce an amount or quantity/Cut, Reduction.)
증액, 동결, 삭감 설명문단
'증액', '동결', '삭감'은 예산, 임금, 공공요금 등 **경제적 수치**의 변동을 나타내는 데 쓰이는 가장 기본적인 비즈니스 및 경제 뉴스 용어입니다. 이 세 가지 결정은 기업의 경영 방향과 정부의 재정 정책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지표가 됩니다. 예를 들어, 증액은 보통 사업 확장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삭감은 **긴축 경영**이나 **재정 위기**를 시사하며, 동결은 **현상 유지** 또는 **불확실성**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의미합니다.
'Increase (증액)', 'Freeze (동결)', and 'Cut (삭감)' are the most fundamental business and economic news terms used to denote changes in **economic figures** like budgets, wages, and public utility fees. These three decisions serve as key indicators for understanding a company's management direction and a government's fiscal policy. For example, Increase usually implies an **optimistic outlook** on business expansion, Cut suggests **tight management** or a **fiscal crisis**, and Freeze signifies **maintaining the status quo** or a cautious approach due to **uncertainty**.
💼 30분 비즈니스 한국어: Day 29 (30-minute-business-korean-day-29-learn)
특히 직장 생활에서는 연봉 협상이나 부서 예산 편성 시 이 단어들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연봉 동결 소식은 사내 분위기에 큰 영향을 미치며, 비효율적인 예산 항목을 삭감하고 핵심 부서에 증액하는 것은 경영진의 전략적 판단을 반영합니다. 따라서 이 단어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문맥에 맞게 사용하는 것은 **고급 비즈니스 한국어 능력**의 필수 요소입니다.
Especially in professional life, you frequently encounter these words during salary negotiations or department budget planning. The news of a salary freeze significantly impacts the workplace atmosphere, and cutting inefficient budget items while increasing them for core departments reflects management's strategic judgment. Therefore, accurately understanding and using these terms in context is an essential part of **advanced business Korean proficiency**.
💰 한국 회사 내 비즈니스 분쟁 (business-disputes-in-korean-companies)
이 용어들은 단순한 수치의 변화를 넘어, 이해관계자들의 **갈등**과 **협상**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최저 임금 동결'은 노동계와 경영계의 첨예한 대립의 결과일 수 있으며, '연구 개발 예산 증액'은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이 세 단어의 활용은 한국의 경제 정책과 기업 문화 전반을 읽어내는 능력을 키워줍니다.
These terms go beyond simple changes in figures; they represent the results of **conflict** and **negotiation** among stakeholders. For instance, a 'minimum wage freeze' can be the result of a sharp confrontation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and an 'R&D budget increase' shows the government's strong will for future growth engines. The usage of these three words develops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overall economic policy and corporate culture of Korea.
🗣️ 한국 직장에서 실제로 쓰이는 한국어 (real-korean-used-in-korean-workplaces)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증액', '동결', '삭감'은 예산, 임금, 공공요금, 기준금리 등의 경제 수치와 함께 쓰입니다.
'Increase', 'Freeze', and 'Cut' are used with economic figures such as budgets, wages, public utility fees, and key interest rates.
- ▶️ 예산 편성 시: "이번 프로젝트는 효율성을 위해 인건비를 삭감하고, 마케팅 비용은 대폭 증액했습니다."
- ▶️ 임금 협상 시: "회사 측은 올해 기본급을 동결하는 대신, 성과급을 증액하는 안을 제시했다."
- ▶️ 정부 정책 논의 시: "야당은 복지 예산 삭감에 강력히 반발하며 전면 증액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