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광고(Radio Ads) + Topik listening : "장애인 이동권리" (KBS캠페인) '~ 길 바라다.'
KBS 공익 캠페인
'초록여행'으로 배우는 한국어
Learning Korean with the KBS 'Green Trip' Public Campaign
안녕하세요! KBS 공익 캠페인 '초록여행' 영상을 통해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따뜻한 이야기를 배워볼게요. 이 감동적인 이야기는 몸이 불편한 남편을 둔 아내 '연지' 씨의 **고충**과, 장애인 편의 제공 차량 덕분에 걱정 없이 여행을 즐기는 이야기입니다. 한국 사회의 **공감**과 **배려 문화**를 엿볼 수 있어요. Hello! Let's learn a heartwarming story about **Accessible Travel Rights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KBS public campaign video, 'Green Trip.' This is a moving story about the **difficulties** 'Yeonji' faced as a wife with a disabled husband, and how she was able to enjoy a worry-free trip thanks to the accessible vehicle service. You can glimpse the culture of **empathy** and **consideration** in Korean society.
필수 한국어 어휘 및 문법 Essential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영상 속 주요 어휘와 문법 표현을 미리 학습해 봅시다! Let's pre-learn the key vocabulary and grammar expressions from the video!
어휘 1: 장애인 이동권 (Jang-ae-in i-dong-gwon)
Romanization: Jang-ae-in i-dong-gwon
의미 | Meaning: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권리. (현대 한국 사회의 주요 이슈)
어휘 2: 버겁다 (Beo-geop-da)
Romanization: Beo-geop-da
의미 | Meaning: 힘에 겨워서 감당하기 어렵다. 정신적, 육체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상태. (TOPIK 고급 어휘)
어휘 3: 진땀을 빼다 (Jin-ttam-eul ppae-da)
Romanization: Jin-ttam-eul ppae-da
의미 | Meaning: 매우 애쓰거나 고생하다는 의미. 힘이 들거나 몹시 긴장하여 땀을 흘리다. (TOPIK 중/고급 관용구)
문법 1: -느라(고) (-neu-ra-(go))
Romanization: -neu-ra-(go)
의미 | Meaning: 앞선 행동이 뒷문장의 원인이며, 특히 그 행동 때문에 부정적인 결과나 어려움이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TOPIK 중/고급 문법)
문법 2: -길 바라다 (-gil ba-ra-da)
Romanization: -gil ba-ra-da
의미 | Meaning: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 소망이나 희망을 나타냅니다. 격식 있고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문법 3: -더라도 (-deo-ra-do)
Romanization: -deo-ra-do
의미 | Meaning: 앞선 내용이 실현되더라도, 뒤의 내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Even if/though'의 양보 조건)
캠페인 속 '공감'과 '배려' 한국어 Empathy and Consideration in the Campaign
이 영상은 장애인 복지 시스템 **'초록여행'**을 소개하며, 서비스 혜택을 받는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사회에 **공감**을 요청합니다. 남편을 휠체어에서 차로 옮기는 일이 **버거웠던** 아내가, 편의 차량 덕분에 '걱정 없이' 여행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는 메시지는 **장애인 이동권**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This video introduces the disability welfare system, **'Green Trip,'** and requests **empathy** from society through the story of a family benefiting from the service. The message that the wife, for whom transferring her husband was **overwhelming**, could finally enjoy a trip 'without any worries' thanks to the accessible vehicl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ccessible Travel Rights for the Disabled.'**
한국에서 배려는 타인의 어려움을 미리 헤아려 도와주려는 마음입니다. 영상 속 연지 씨의 경우처럼, 사회 전체가 **'더 이상 특별한 일이 아니길 바라는'** 마음으로 장애인 이동권을 생각하는 것이 바로 진정한 **배려**이죠.
In Korea, 'consideration (배려)' is the willingness to anticipate others' difficulties and help them. As in the case of Yeonji in the video, genuine consideration is for society as a whole to think of accessible travel rights with the wish that they 'will no longer be a special thing.'
타인의 시선에서 세상을 이해하는 한국어를 배우면 한국 사회의 깊은 곳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적 약자를 대하는 **'양보하다'**와 '함께하다' 같은 표현들은 공익 캠페인의 핵심 가치와 일치합니다. 영상의 마지막 문구처럼, "모두 마음 편하게 떠나는 여행이 더 이상 특별한 일이 아니길 바랍니다"는 공식적인 자리에서 소망을 전달할 때 유용합니다. Learning Korean that understands the world from another person's perspective helps you grasp the depths of Korean society better. Expressions like **'to yield'** and 'to be together' when dealing with the socially vulnerable align with the core values of public campaigns. Like the video's closing phrase, the expression "We hope that a trip where everyone can leave comfortably will no longer be a special thing" is useful for conveying a wish in a formal setting.
💡 **오늘의 학습 팁:** TOPIK 시험 준비 시 **'-느라(고)'**와 **'-더라도'**의 차이를 명확히 하세요. **'-느라(고)'**는 원인과 어려움을, **'-더라도'**는 양보의 조건을 강조합니다. ('비가 오더라도 약속은 지켜야 합니다'). 💡 **Today's Learning Tip:** If you are preparing for the TOPIK test, be aware of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느라(고)' and '-더라도'. '-느라(고)' emphasizes the difficulty along with the cause, and '-더라도' emphasizes the concessive condition. (e.g., 'Even if it rains, you must keep the promise.').
1. 다음 문장을 완성하세요: "혼자서 무거운 짐을 옮기는 것은 **버겁습니다**." (Hint: 'overwhelming') 1. Complete the sentence: "Moving heavy luggage alone is **overwhelming**." (Hint: overwhelming)
2. '-길 바라다'를 사용하여 다음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하세요: "내년에 다시 만날 수 있**길 바랍니다**." 2. Translate the following sentence into Korean using '-길 바라다': "I hope we can meet again next y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