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VN 쌀국수 해리씨 2 : Ms. Haeri, the Rice Noodle Restaurant Owner, Goes to Her Hometown in Vietnam

하모니 연중기획: 쌀국숫집 여사장 해리 씨의 베트남 고향 방문 | Harmony Project: CEO Haeri's Vietnamese Hometown Visit

쌀국숫집 여사장 해리 씨의 베트남 고향 방문(2)
Harmony Project: CEO Haeri's Vietnamese Hometown Visit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문화 특별 기획 '하모니'의 한 장면을 통해 한국에서 성공한 쌀국숫집 여사장 해리 씨가 베트남 고향을 방문하는 감동적인 이야기를 배워볼게요. 한국인 남편과 함께 고향 마을에서 가족과 소통하며 일어나는 에피소드는 국제결혼과 다문화 가정의 현실을 잘 보여줍니다. 대화를 통해 한국어 고급 어휘와 함께 베트남의 아름다운 가족 문화를 느껴보세요. 먼저 영상을 보시죠.

Hello! Today, let's learn through a scene from the multicultural special project 'Harmony', which tells the touching story of Haeri, a successful Pho restaurant CEO in Korea, visiting her Vietnamese hometown. The episodes that unfold as she communicates with her family in her hometown with her Korean husband clearly show the reality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multicultural families. Feel the beautiful Vietnamese family culture along with advanced Korean vocabulary through the dialogue. Let's watch the video first.

선행 학습: TOPIK-레벨 한국어 어휘와 문법
Pre-learning: TOPIK-Level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영상에 나오는 주요 어휘와 문법 표현을 미리 배워두면 훨씬 더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어요! (TOPIK 고급 수준 적용)

Before we dive into the main content, you can learn more effectively and have more fun by pre-learning the key vocabulary and grammar expressions from the video! (TOPIK Advanced Level Applied)

 

고향 (故鄕)

발음: [gohyang]

품사: 명사

의미: 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곳. 해리 씨에게는 베트남의 작은 마을이 고향입니다. 'Hometown' 또는 'birthplace'의 의미입니다.

예시:

1. 그녀는 3년 만에 고향에 돌아와서 가족을 만났습니다. (She returned to her hometown after 3 years and met her family.)

2. 오래된 친구들과 함께 고향 음식을 맛보니 행복했어요. (It was happy to taste hometown food with old friends.)

지극정성 (至極精誠)

발음: [jigeukjeongseong]

품사: 명사

의미: 온갖 정성을 다함. 남편이 아내를 위해 코코넛을 따 주려는 모습에서 지극정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Utmost sincerity,' 'devotion,' 또는 'deep care'의 의미입니다.

예시:

1. 남편은 아내가 좋아하는 코코넛을 따기 위해 지극정성을 보였습니다. (The husband showed utmost devotion to pick the coconut his wife likes.)

2. 어머니는 지극정성으로 자녀를 키우셨습니다. (The mother raised her children with deep care.)

전수받다 (傳授받다)

발음: [jeonsubatta]

품사: 동사

의미: 학문, 기술, 재주 따위를 이어받다. 해리 씨의 여동생이 언니의 쌀국수 레시피를 전수받아 식당을 열었습니다. 'To be passed down' or 'to inherit a skill/recipe'의 의미입니다.

예시:

1. 여동생은 언니에게서 쌀국수 레시피를 전수받아 식당을 시작했습니다. (The younger sister inherited the Pho recipe from her older sister and started a restaurant.)

2. 그는 스승에게 무술을 전수받다고 합니다. (It is said that he was passed down martial arts from his master.)

-았/었/였다는데(요)

의미: 과거의 사실을 간접적으로 듣거나 전달할 때 사용하며, 놀라움이나 새로운 정보의 제시를 나타냅니다. 'I heard that (something happened)' 또는 'It is said that (something happened)'의 의미를 가집니다.

의미 (English): This is used to indirectly quote or convey a past fact, often expressing surprise or presenting new information. It means 'I heard that (something happened)' or 'It is said that (something happened).'.

예시:

1. 해리 씨의 여동생이 최근 식당을 열었다는데요. (I heard that Haeri's younger sister recently opened a restaurant.) [00:12:07]

2. 어제 비가 많이 왔다는데요. 우산이 필요할 것 같아요. (I heard it rained a lot yesterday. I think you'll need an umbrella.)

-다/라면서

발음: [-da/rameonseo]

의미: 앞선 문장의 내용이 뒷 문장의 원인이나 이유, 또는 배경임을 나타내며, 특히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을 인용할 때 사용됩니다. 'Because (someone said/thought that)' 또는 'Saying/Thinking that'의 의미를 가집니다.

의미 (English): This indicates that the preceding clause's content is the reason, cause, or background for the following clause, often used when quoting someone's words or thoughts. It means 'Because (someone said/thought that)' or 'Saying/Thinking that.'

예시:

1. 어머니는 사위가 코코넛을 좋아한다면서 미리 다 심어 놓으셨습니다. (Because the mother thought her son-in-law liked coconuts, she planted them all beforehand.) [00:54:34]

2. 길이 막힌다면서 일찍 출발해야 한다고 합니다. (Saying that the road is blocked, they say we have to leave early.)

-(으)ㄹ 뿐만 아니라

발음: [-(eu)l ppunman anira]

의미: 앞선 사실 외에 다른 사실이 더 있음을 덧붙여 말할 때 사용합니다. 'Not only A, but also B'의 의미를 가집니다.

의미 (English): This is used to add another fact in addition to the preceding fact. It means 'Not only A, but also B.'

예시:

1. 재단뿐만 아니라 집안의 조상 사당도 마련해 놓습니다. (They prepare not only the altar but also the family's ancestral shrine.) [00:06:34]

2. 이 식당은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가격도 저렴합니다. (This restaurant is not only delicious but also inexpensive.)

다문화 가정의 아름다운 하모니
The Beautiful Harmony of a Multicultural Family

해리 씨와 창음 씨 부부의 이야기는 한국과 베트남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한국에서 성공을 이룬 해리 씨가 오랜만에 고향에 돌아와 가족들을 만나는 모습은 감동적입니다. 특히, 한국인 사위를 위해 코코넛 나무를 심어 놓은 장모님의 '지극정성'은 국경을 넘는 가족의 사랑을 느끼게 합니다. 영상에서는 베트남의 독특한 장례 및 제사 문화도 엿볼 수 있습니다. 🔗 🚀한국의 제사 문화와 비교해보는 한국어를 통해 더 깊이 이해해 보세요.

The story of Haeri and Chang-eum's couple helps us understand both Korean and Vietnamese cultures. It is touching to see Haeri, who found success in Korea, return to her hometown after a long time to meet her family. In particular, the mother-in-law's 'utmost devotion' (jigeukjeongseong) of planting coconut trees for her Korean son-in-law makes us feel the family love that transcends borders. The video also gives a glimpse into Vietnam's unique funeral and ancestral rites culture. You can understand it more deeply by reading 🔗 🚀Korean Ceremonial Manner 2 to compare it with Korean ancestral rites culture.

그레이스 👩‍🏭:

박민수 대리님, 한국인 남편이 아내를 위해 코코넛을 따 주려 노력하는 모습이 정말 인상적이었어요. 사위 사랑이 대단했던 장모님과 부부의 '지극정성'이 느껴지네요.

Deputy Park Min-su, the scene of the Korean husband trying to pick a coconut for his wife was truly impressive. I can feel the 'utmost devotion' (jigeukjeongseong) of both the couple and the mother-in-law, whose love for her son-in-law was extraordinary.

박민수 대리 👨‍💼:

네, 그레이스 씨. 이 영상은 '사랑''가족'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쌀국수 레시피를 전수받아 베트남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여동생의 모습은, 한국에서의 경험이 고향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곧 '다문화 가정의 긍정적 역할'을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 🚀가족 간의 진심을 담은 한국어 표현을 더 배우고 싶다면 이 글을 참고해 보세요.

Yes, Grace. This video deals with universal themes of 'love' and 'family' while showing how cultural differences can be overcome. In particular, the younger sister, who runs a restaurant in Vietnam after inheriting the Pho recipe, shows that the experience in Korea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her hometown. This is a good example of the 'positive role of multicultural families.' If you want to learn more 🔗 🚀Korean expressions containing sincere feelings between family members, refer to this article.

문화적 교류의 상징, 쌀국수 | Pho, a Symbol of Cultural Exchange

해리 씨의 식당은 한국의 외식 문화와 베트남의 전통 음식이 만난 결과입니다. 한국에서 배운 경영 노하우와 베트남 현지의 맛을 결합한 성공적인 사례입니다. 이처럼 음식은 문화를 이해하는 가장 빠르고 즐거운 통로가 됩니다. 🔗 🚀한국인의 소울푸드에 대한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Haeri's restaurant is the result of a fusion between Korean dining culture and traditional Vietnamese food. It is a successful case that combines the management know-how learned in Korea with the local taste of Vietnam. In this way, food becomes the quickest and most enjoyable pathway to understanding culture. Also, check out the article on 🔗 🚀Korean soul food!

💡 오늘의 팁 | Today's Tip

한국어 고급 문법 중 **'-다/라면서'**는 인용과 이유를 동시에 나타내어 논리적인 문장 구성에 유용합니다. TOPIK 쓰기 영역에서도 고득점을 위한 필수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베트남 사람이라면서 향신료를 잘 먹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Saying that they are Vietnamese, there are also people who cannot eat spices well.)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Among advanced Korean grammar, **'-다/라면서'** is useful for constructing logical sentences by simultaneously indicating quotation and reason. It is also an essential expression for high scores in the TOPIK Writing section. For example, you can use it like, '베트남 사람이라면서 향신료를 잘 먹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Saying that they are Vietnamese, there are also people who cannot eat spices well.).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아래 링크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드라마한국어#하모니연중기획#베트남#쌀국수#K-Culture#LearnKorean#KoreanExpressions#다문화#국제결혼#고향 #K-DramaKorean#VietnamPho#LearningKorean#KoreanForAdvanced#KoreanWords#KoreanLanguage#TOPIKPrep#KoreanCulture#StudyKorean#KoreanLesson #KoreanGrammar#KoreanPhrases#KoreanStudy#Hangeul#지극정성#전수받다#고향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 superrealkorean, All rights reserved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mastering(4) : K DRAMA '멜로가 체질' + topik essential

K-Drama 🏋️힘쎈 여자 도봉순으로 배우는 한국어(1) '~ 게 되다.' Learn Korean with Strong Woman Do Bong Soon

당신이 곧 만나게 될 Korean movie (명작, masterpiece) "어쩔수가 없다" :"No Other Choice" by Park Chan-w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