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한국인처럼 살기
'꼭 피해야 할 10가지 불문율'10 Unspoken Rules to Follow for Natural Korean Conversations
안녕하세요, 여러분! 한국 사람들과 대화할 때 실수를 줄이고 싶으신가요? 오늘은 한국 사회에서 ‘불문율’처럼 여겨지는 대화 금기사항 10가지를 알려드릴게요. 이 내용만 잘 숙지해도 한국인 친구나 직장 동료와 더 자연스럽고 깊은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거예요. Hello everyone! Do you want to reduce mistakes when talking with Koreans? Today, I will teach you 10 conversational taboos that are considered 'unspoken rules' in Korean society. Just by knowing these, you'll be able to build more natural and deeper relationships with your Korean friends and colleagues.
한국 사람과 대화할 때 피해야 할 10가지 불문율10 Unspoken Rules to Avoid in Korean Conversations
그레이스, 어제 만난 한국인 친구한테 "살이 좀 빠진 것 같네요?"라고 말했는데 표정이 좀 안 좋았어. 칭찬한 건데... 내가 뭘 잘못한 걸까? Grace, I told my Korean friend I met yesterday, "You seem to have lost some weight?" but their expression wasn't good. I was trying to give a compliment... What did I do wrong?
음, 마이크. 한국에서는 외모에 대한 직설적인 평가는 조심해야 해. 칭찬이더라도 때론 부담스럽거나 오해를 살 수 있거든. Hmm, Mike. In Korea, you have to be careful with direct comments about appearance. Even if it's a compliment, it can sometimes be a burden or cause misunderstandings.
불문율 (不文律) (bulmun-yul)
명문화되지 않았지만 사회 구성원들이 암묵적으로 지키는 규칙이나 관습. An unwritten rule or custom that is not officially stated but is implicitly followed by members of a society.
예시: "우리 회사에는 불문율이 하나 있어. 회식 2차는 무조건 가야 해." "There's an unspoken rule in our company. We have to go to the second round of dinner gatherings no matter what."
1. 외모에 대한 직설적인 평가Direct comments on appearance
"오늘 얼굴이 부어 보인다", "살이 찐 것 같다" 등은 친한 사이에서도 조심해야 할 말입니다. 상대방의 외모 변화에 대한 언급은 의도와 다르게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대신, "오늘 정말 멋지네요", "오늘 컨디션 좋아 보여요"와 같이 긍정적이고 현재 상태에 집중한 칭찬이 좋습니다. Comments like "Your face looks swollen today" or "You seem to have gained weight" should be avoided even among close friends. Mentioning changes in appearance can be taken differently than intended. Instead, compliments that are positive and focus on the current state are better, such as "You look really great today" or "You seem to be in good condition today."
직설적 (直說的) (jikseol-jeok)
돌려 말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말하는 태도나 방식. A manner or way of speaking directly without beating around the bush.
예시: "한국에서는 직설적으로 말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In Korea, there are many people who have difficulty speaking directly."
2. 나이에 대한 질문Asking about age
한국 사회에서는 나이에 따라 관계의 서열이나 호칭이 달라지므로, "몇 살이세요?"와 같은 질문은 상대방이 먼저 밝히기 전까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In Korean society, the hierarchy and titles of relationships change with age, so it's best to avoid questions like "How old are you?" until the other person reveals it first.
서열 (序列) (seoyeol)
어떤 기준에 따라 차례대로 늘어선 순서. An order or sequence arranged according to a certain standard, often hierarchical.
예시: "한국에서는 나이에 따라 서열이 정해지는 경우가 많다." "In Korea, hierarchy is often determined by age."
3. 결혼, 출산 계획Marriage and childbirth plans
"결혼은 언제 할 거냐", "아이는 언제 낳을 거냐"와 같은 질문은 상대방의 개인적인 삶에 대한 지나친 관심으로 느껴져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Questions like "When are you getting married?" or "When are you having kids?" can feel like excessive interest in the other person's personal life and can be a burden.
4. 가족 배경Family background
"부모님 뭐 하세요?"와 같은 질문은 자칫하면 가정 환경을 캐묻는 것으로 오해받을 수 있습니다. Questions like "What do your parents do?" can be misunderstood as prying into someone's family background.
5. 재정 상태에 대한 질문Asking about financial status
"월급이 얼마냐", "집은 자가냐"와 같은 질문은 매우 사적인 영역에 속하므로 절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Questions like "What is your monthly salary?" or "Do you own your house?" are in a very private domain and should never be asked.
6. 학벌에 대한 언급Mentioning educational background
한국 사회에서 학벌은 매우 민감한 주제입니다. "어느 대학 나오셨어요?"와 같은 질문은 상대방의 사회적 배경을 따지는 것처럼 들릴 수 있어 불쾌감을 줄 수 있습니다. Educational background is a very sensitive topic in Korean society. Questions like "Which university did you go to?" can sound like you are judging the person's social background and cause discomfort.
민감하다 (敏感-) (min-gam-ha-da)
자극에 대한 반응이 빠르거나 어떤 문제에 대해 쉽게 영향을 받는 상태. To be sensitive or easily affected by a certain issue or stimulus.
예시: "개인적인 질문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이 많아요." "Many people react sensitively to personal questions."
7. 정치적, 종교적 주제Political and religious topics
개인의 신념에 따라 의견 충돌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주제이므로, 가급적 대화 소재로 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These topics can easily lead to conflicts of opinion depending on personal beliefs, so it's best not to use them as conversation material if possible.
~에 따라 (~e tta-ra)
앞의 내용이나 기준에 맞추어 뒷 내용이 이루어질 때 사용되는 문법. A grammatical pattern used to express that the following content is based on or determined by the preceding content or standard.
예시: "상황에 따라 농담을 하거나 진지하게 말해야 해요." "You need to joke or speak serious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8. 이성 관계에 대한 지나친 관심Excessive interest in romantic relationships
"남자(여자) 친구는 있냐" 등 사적인 영역에 대한 질문은 상대방에게 부담을 주거나 사생활 침해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Questions about private matters, such as "Do you have a boyfriend (or girlfriend)?", can be a burden to the other person or feel like an invasion of privacy.
9. 지나친 간섭 및 조언Excessive interference and advice
상대방의 인생이나 결정에 대해 함부로 "그렇게 하는 것보다 이게 나을 것 같다"고 조언하는 것은 매우 무례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Giving unsolicited advice on someone's life or decisions, such as "I think this would be better than what you're doing," can sound very rude.
10. 타인에 대한 험담Gossip about others
함께 없는 사람의 단점을 이야기하는 것은 당신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상대방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Talking about the flaws of a person who isn't present can lower your credibility and leave a negative impression on the other person.
험담 (險談) (heom-dam)
다른 사람의 흠이나 단점을 들추어 헐뜯는 말. Malicious talk or slander that exposes another person's flaws or shortcomings.
예시: "직장 동료에 대한 험담은 절대 하지 마세요." "You should never gossip about your coworkers."
연습문제: 어휘 복습Practice Question: Vocabulary Review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세요. Fill in the blank with the correct word to complete the sentence.
Q. 우리 회사에는 '퇴근 시간 전에는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는다'는 ______이(가) 있다.
정답: 불문율